열녀춘향/ 김수미

낯설어서 불편한, 불편해서 깨어난

 

김수미(동국대 박사과정, 세종문화회관 <문화공간> 편집장)

 

일시 : 2013. 3. 14~31

장소 : 게릴라극장

관람일시 : 3월 30일 3시

극단 : 성북동 비둘기

작, 연출 :김현탁

출연 : 김미옥, 최우성, 오성택, 김선영, 염순식, 박문지, 전채희, 이은주, 박선혜, 박현지, 강민지, 염문경, 김신혜, 정인정, 이진성

—————————————————————————————————————————————————————-

 

김현탁의 작업은 그에게 지난해 ‘새개념 연극상’을 수여한 평론가들의 시선을 통해서도 짐작할 수 있듯 국내 현대 연극의 변화와 흐름을 잘 드러내고 있는 무대 중 하나다.

포스트드라마의 선상에서 이해되는 공연답게 원전 텍스트는 보기 좋게 해체되었고, 남성이데올로기(강자)라는 구조 속에서 재단되어 온 여성(약자)을 대변하는 이야기 중심에 ‘춘향’을 내세워 육체와 성(性)에 대한 담론을 거침없이, 그러나 매우 낯설게 하기로 제시했다.

<춘향전>의 원전 텍스트는 ‘의미 전달’을 위한 대사가 아니라 그저 ‘소리 언어’(마치 제3외국어에 가까운)로 사용되었다. 대사가 관객에게 특별히 결정된 단 하나의 이해를 요구하지 않고 다양한 의미를 품은 음악의 선율처럼 유유히 흘러감으로써, 관객은 언어란 것을 귀가 아니라 몸으로 듣는 체험을 하게 된다. 무대 위의 배우에게 정확한 의미가 내포된 언어를 들어야 처음부터 끝가지 속 시원하게 이해된다고 생각했던 관객은 그렇게 순간 낯설어진다. 그 적당한 거리두기를 통해 <춘향전>은 다양한 상상과 이해로 관객에게 들어오게 된다.

<춘향전>의 원전 대사가 정확한 이해를 전달하도록 사용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장면의 분위기와 느낌을 짐작하거나 전달받는 일은 아이러니하게도 별로 어렵지 않다. 문장 속에서 튀어나오는 몇몇 간단한 단어들의 교집합으로도 가능했고, 장면에 어울리도록 배우가 문장에 일정한 선율을 부여한 일부 노력 또한 이를 가능케 했다. 이는 차후에 정확한 대본 연구가 좀 더 필요한 부분이겠으나, 적어도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김현탁이 어려운 고어로 쓰인 원전 텍스트를 마구잡이로 해체한 것이 아니라 나름의 규칙과 치밀한 연출적 고민 하에 재해석하여 새로운 텍스트의 실례를 제시함으로써 관객이 생각할 만한 여지를 남겨줬다는 것이다.

립스틱 꾸껑을 여닫으며 춘화를 설명할 때에도, 고추를 쓰다듬으며 계란을 덧입힐 때에도, 관객이 함께 상상하지 않고서는 성립될 수 없는 열린 상황들이 계속해서 연출된다. 객석에 앉아 있다가 시시 때때로 무대의 등장인물로 나서기 위해 수시로 일어서는 배우들 덕분에 무대와 객석간의 경계는 자꾸만 허물어진다. 덕분에 관객은 더 이상 넋 놓고 구경이 안 된다.

한편, 배우가 물체에 새로운 기호를 부여함으로써 기존에 사회적으로 공인되어 온 기호의 통념을 깨뜨려야 하는 관객은 한 번 더 낯설어진다. 가방을 춘화라고 지시할 때, 이어폰으로 그림의 등장인물을 설명할 때에도 관객은 계속 어리둥절하다. 그러나 그 약속을 거부하지 않고 받아주면서 ‘새로운 기호 부여하기’란 게임에 참여하는 순간, 관객에게는 새로운 세계가 열린다. “왜 지금까지 나는 한 번도 ‘가방’을 의심하지 않았지?”하는 간단한 질문에서부터 “나는 지금 어떻게 살고 있는 거지?”하는 근원적인 질문까지, 약속에 불과한 기호의 세계 속에서 살면서 당연히 듣고 보고 믿었던 것들을 새삼스럽게 돌아보게 되는, 낯설어서 불편한, 불편해서 깨어난 새로운 시공간의 경험인 셈이다.

그러나 ‘필사적인 노동’으로 만든 소녀시대 장면 끝에 이어진 마무리 장면은 기껏 애써서 감각적으로 깨워놓은 관객을 너무 급하게 이성과 관념의 세계로 되돌려 놓는 군더더기처럼 보였다. 8개의 팔이 지시하는 숫자의 폭력으로 현현된 알사탕이 입 속에서 한꺼번에 토해지고, 킬 힐을 보기 좋게 벗어던지며 기분 좋게 사라지는 여배우들의 뒷모습은 ‘폭력(욕망)으로부터의 해방’이라는 메시지를 간단히 요약 정리해서 제시하는 듯 보였기 때문이다.(끝)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