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기의 공연산책] 한일수교 50주년기념 초청공연과 인천시립극단의 연극/ 박정기

박정기의 공연산책 한일수교 50주년기념 초청공연과 인천시립극단의 연극

 

박정기

 

1, 한일수교 50주년기념 초청공연, 류잔지 컴퍼니의 가와타케 모쿠아이 원작, 류잔지 쇼 연출의 <의적 지로키치>

스타시티 예술공간 SM에서 류잔지 컴퍼니의 가와타케 모쿠아이(河竹黙阿彌) 원작, 니시자와 에이지(西澤榮治) 각본, 김광연 마이다 아스카(三井田明日香) 번역, 류잔지 쇼(流山兒祥) 연출의 <의적 지로키치>를 관람했다.

가와타케 모쿠아미(河竹默阿彌 1816~1893)는 일본의 가부키[歌舞伎] 극작가다. 본명은 요시무라 신시치[吉村新七]. 가와타케 신시치[河竹新七] 2세 또는 후루카와 모쿠아미[古河默阿彌]라고도 함. 다재다능하며 많은 작품을 쓴 작가로서 시적인 아름다움과 창의적인 구성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유명하다.

에도의 이치무라 자[市村座]에서 오랜 견습 기간을 거치면서 여러 종류의 희곡을 썼다. 40대에 배우 이치가와 고단지[市川小團次] 4세를 위해 세와모노[世話物:가부키에서 서민을 주인공으로 당시의 세태를 묘사한 것으로서 지다이모노(時代物)와 대비된다]와 시라나미모노[白浪物:도적을 주인공으로 한 것]를 써서 명성을 높였다. 메이지 유신[明治維新:1868] 뒤에는 사실적인 정확성을 강조하면서 전통 사극을 각색하기 시작했다. 메이지 초기 일본 사회의 근대화와 서구화를 상세히 묘사한 새로운 세와모노를 개척한 선구자이기도 했다. 65세 때인 1881년에 은퇴를 결심하고 그동안의 작가 생활을 마무리하는 희곡 〈시마치도리 쓰키노시라나미 島鵆月白浪〉를 썼다.

1882~93년에 지카마쓰 몬자에몬[近松門左衛門]의 희곡을 연출하고, 이치카와 단주로[市川團十郞] 9세를 위한 무용극과 오노에 기쿠고로[尾上菊五郞] 5세를 위한 희곡을 썼다. 360편이 넘는 희곡 가운데 가장 유명한 작품으로는 〈아오토조시하나노 니시키에 靑砥稿花紅彩畵〉·〈게이안 타이헤이키 慶安太平記〉·〈산닌 기치사구루와노하쓰가이 三人吉三廓初買〉·〈쓰타 모미지우스노야토게 蔦紅葉宇都谷峠〉·〈구모니마고우에노노하쓰하나 天衣紛上野初花〉·〈렌지시 連獅子〉·〈쓰치구모 土蜘〉·〈모미지가리 紅葉狩〉 등이 있다.

무대는 정면에 색색의 칸으로 길게 드리워진 휘장이 있어 등퇴장 로 구실을 하고, 무대 좌우에도 등퇴장 로가 마련되어 있다. 하수쪽 등퇴장 로에는 청색의 휘장에 흐를 류(流)자가 무늬처럼 들어가 있다. 자우의 벽에는 창문이 있고, 창 위쪽의 덧창은 돗자리처럼 보이는 천으로 차일을 했다. 무대 상수쪽 객석 가까이에 반자(半尺)높이의 무대가 있고, 벽에는 노송 그림이 그려져 있다. 한글자막과 영상을 투사해 극적효과를 높인다.

연극은 도입에 검은 의상을 착용한 출연자들의 무대를 종횡으로 누비는 군무(群舞)에서 시작된다.

이름난 단검의 소지자 신스케라는 청년이 고을의 무사 히라오케에게 단검을 빌려주는 대가로 100냥을 받는다. 그 청년은 오토모라는 한 기생여인의 사랑을 받는다. 그 기생에게, 무사 히라오케도 음심을 품고 있었기에, 신스케와 오토모의 사랑을 갈라놓기 위해, 여자 사기꾼이자 역술가인 오쿠마와 지주의 치안관을 가장한 무사를 끌어들여 신스케의 100냥을 도로 빼앗고 단검을 찾지 못하게 될 처지로 만든다. 청년 신스케와 기생 오토모는 강물에 뛰어들어 자결하려 한다. 바로 그때 도적 지로키치가 두 사람을 구해내고, 두 사람의 사연을 듣고 지주의 성에 들어가 100냥을 훔쳐다 준다. 지로키치는 그 과정에서 지주성의 문지기 오소베이의 제지를 받지만, 어찌 지로키치의 상대가 되랴? 문지기 오소베이는 도적을 잡지 못한 죄가 아닌, 같은 패거리로 몰리는 처지가 된다. 오소베이의 둘째아들 요노스케는 지주의 외동딸 미츠의 연모를 받고, 요노스케 자신도 미츠를 사랑하지만, 신분 때문에 감히 사랑을 고백하지 못하는 처지다. 요노스케는 아버지가 당한 어처구니없는 누명을 벗기기 위해, 100냥을 마련하려고, 남편의 위패를 늘 품에 품고 지내는 정절 여인이자 고을 최고 갑부인 오카다의 저택에 침입하지만, 무사들에게 붙잡힌다. 그 과정에서 지로키치는 문지기 오소베이가 어린 시절 자신을 내다버린 생부임을 알게 된다. 오소베이가 점을 치니, 아들이 자라서 큰 도적이 되리라는 점괘(占卦)에 놀라 부적을 몸에 붙여 내다버리게 된 사연이 전해진다. 지로키치는 자신이 점괘대로 도적이 되었기에, 오소베이에게 차마 자신이 아들임을 밝히지를 못한다. 게다가 동생인 요노스케 마저 부호 집에 도적질을 하러 들어가 잡힌 것을 알게 되고, 자신이 마련해 준 돈 때문에, 청년 신스케와 기생 오모토가 도적으로 몰려 관아에 연행되어 간 것을 알게 되고, 생부 오소베이 마저 도적과 작당했다는 혐의로 끌려간 것에 비통한 심정이 된다. 한편 부호 여인은 요노스케의 인물됨을 알고, 요노스케를 도적이 아닌, 자신의 정부이기에 저택에 침입한 것이라고 감싼다. 그러나 성주는 부호 여인 오카다의 절개를 알기에, 정부 운운하는 거짓에 넘어가지를 않는다.

한편 지로키치의 아내가 남편의 행방을 알기 위해 점을 치러 여자 사기꾼이자 역술가인 오쿠마를 찾아온다. 그런데 오쿠마는 어렸을 때 버려진 지로키치를 장성할 때까지 길러주고 보살핀 현재의 어머니라는 사실이 지로키치와 오카마의 대화로 알려지고, 평생 거짓으로 살아온 어머니 오쿠마와 아들이자 도적인 지로키치의 갈등이 부각되면서 연극은 절정으로 치닫는다.

대단원에서 얽히고설킨 가족관계가 밝혀지고, 현명한 성주의 명쾌한 판결로 젊은이들의 사랑이 이루어지는 장면에서 연극은 마무리가 된다. 종장은 도입에서처럼 검은 의상의 출연자들의 군무장면에서 끝이 난다.

이와오, 아만 유미, 다니 무네카츠, 고즈 타쿠헤이, 우에다 카즈히로, 기시와쿠라 타로, 야마시타 나오야, 고토 산시로, 야마마루 리나, 히라노 나오미, 사토 하나코, 류진지 쇼 등 출연자 전원의 호연과 열연, 그리고 열창과 무용은 관객을 시종일관 극에 몰입시키는 역할을 하고, 갈채를 받는다.

음악 스와 소우, 안무 기타무라 마미, 무대미술감독 요시키 히토시, 조명 요코하라 유, 영상 하마지마 마시히로, 의상 호리우치 마키코, 자막제작 사하라 유미, 무대사진 요코다 아쓰시, 제작 우네베 나나호, 협력 코마쯔 앙리 등 제작진의 열정과 기량이 드러나, 류잔지 컴퍼니의 가와타케 모쿠아이(河竹黙阿彌) 원작, 니시자와 에이지(西澤榮治) 각본, 김광연 마이다 아스카(三井田明日香) 번역, 류잔지 쇼(流山兒祥) 연출의 <의적 지로키치>를, 윌리엄 셰익스어에 버금가는 걸작 연극이자, 한일수교 50주년 기념초청 공연에 걸 맞는 우수작이라 평하겠다.

 

 

2, 인천시립극단의 에우리피데스 원작, 홍창수 극작, 주요철 연출의 <메데아 네이처>

인천종합문화회관 소공연장에서 에우리피데스 원작, 홍창수 극작, 주요철 연출의 <메데아 네이처>를 관람했다.

메데이아(Μήδεια, Mēdeia)는 에우리피데스가 기원전 431년에 쓴 고대 그리스 비극이다.

테살리아의 왕은 조카 이아손에게 ‘황금 양털’ 을 찾아오면 왕위를 물려주겠다는 명을 내린다. 이아손은 황금 양털을 찾아 아르고 호를 타고 콜키스 – 지금의 조지아(그루지야) 지역으로 간다, 그곳에서 콜키스의 왕의 딸인 <메데이아>가 이아손에게 첫눈에 반한다. <메데이아>는 태양신 헬리오스의 손녀이자 <오디세이아>에 나오는 키르케의 조카로, 마법에 능하여 이아손이 황금 양털을 찾도록 도와주고, 그를 따라 콜키스에서 도망친다. 그 와중에 추격자들을 따돌리기 위해 자기 남동생을 살해해서 시체를 토막 내 바다에 뿌린다. 그리고 이올코스로 온다, 펠리아스 왕은 이아손이 자신의 왕위를 빼앗을 거라는 신의 계시를 받았기에, 이아손을 멀리 쫓아버리기 위해 불가능한 사명을 주었는데 이아손이 사명을 완수하고 돌아오자 마음이 바뀐다. 그러자 <메데이아>는 펠리아스 왕을 회춘시켜 주겠다며, 펠리아스의 딸들을 속이고, 딸들이 펠리아스를 살해하도록 만든다. 그리고 이아손과 <메데이아>는 코린토스로 도망친다, 코린토스의 왕 크레온 (오이디푸스의 뒤를 이은 테바이 왕 크레온과는 동명이인임)이 딸 글라우케를 이아손에게 주겠다고 하자, 이아손은 <메데이아>에게 변심을 한다. <메데이아>는 독이 묻은 옷을 보내 글라우케와 크레온을 살해하고 아테나이로 도망쳐 아테나이 왕 아이게우스에게 의탁한다. 아이게우스는 하나뿐인 자식이 행방을 감춰 적적하든 판에 <메데이아>와의 사이에서 아들도 낳는다. 그러자 아이게우스의 잃어버린 아들 테세우스가 귀가하자, 테세우스를 독이 든 술로 살해하려다 실패하고, 아들을 데리고 도로 콜키스로 도망한다. 거기서 아버지의 왕위를 빼앗은 삼촌을 살해하고 아버지의 왕위를 되찾아 준 후 행복하게 살았다고 전한다. 훗날 아들이 콜키스의 왕이 되면서 나라 이름을 <메디아> 로 바꾸었다고 하며, 한편 이아손은 실의에 빠져 아르고 호 배 밑에서 잠을 자다가 썩은 뱃고물이 떨어지는 바람에 비명횡사했다고 전한다.

에우리피데스의 희곡 <메데이아>는 코린토스에서 버림받은 <메데이아>가 이아손에게 복수하는 부분을 바탕으로 한 것인데, 이 작품에서 <메데이아>는 글라우케와 크레온뿐 아니라, 이아손과의 사이에서 낳은 자신의 두 아들마저 자기 손으로 살해하는 것으로 전개된다. 원래 신화에서는 <메데이아>가 아들들을 시켜 글라우케에게 독이 묻은 옷을 선물로 전해 주게 했고, 분노한 코린토스 시민들이 아들들을 살해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고 하는데, 에우리피데스는 <메데이아>가 복수의 일환으로 이아손의 대를 끊고 가정을 무너뜨려 고통스럽게 살도록 만들기 위해 스스로 아들들을 살해하였다고 재해석한 것이다. 이 ‘복수를 위한 자식 살해’가 작품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홍창수 극작의 <메데아 네이처>에서는 BC 471년에 쓴 에우리피데스의 <메데이아>의 시대적 배경을 21세기로 바꾸고, 작품에 에코페미니즘(ecofeminism)을 부각시킨다. 에코페미니즘은 생태학(ecology)과 여성주의(feminism)의 합성어로, 1970년대 서부 유럽에서 주창된 생태여성학을 지칭한다.

에코페미니즘(ecofeminism)은 자연과 여성에게 자행되는 지배와 억압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학문으로, 1960년대 자연과 여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바탕으로 생태운동과 여성해방운동이 결합되면서 탄생되었고, 1990년대 이후 세계 각국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에코페미니즘은 1974년 프랑스 작가 프랑스아즈 도봉에 의하여 처음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환경 문제와 여성운동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에코페미니즘은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 산업문명 속에서 여성과 자연이 차별과 파괴의 대상이 되어왔다는 시각에서 출발, 환경 문제를 비롯한 현대 산업사회의 여러 측면들을 비판하고 새로운 대안을 모색한다. 또 남성권력이 만들어 놓은 전통적 여성성을 거부하고, 새로운 여성성을 추구한다. 에코페미니즘은 페미니즘 이론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태 이론을 비교ㆍ분석하고 있으며 어떤 페미니즘 이론보다도 실천적 여성운동으로서 발전해 온 ‘행동하는 페미니즘’이라고 할 수 있다.

홍창수의 <메데아 네이처>는 환경문제와 숲을 내용에 발전적으로 삽입시키고, <메데아>의 행위를 긍정적으로 해석하고, 원작에서의 두 아들의 살해로 인한 비극적 결말 대신, 죽은 아들을 소생시키는 귀결로 연극을 변형시켜 마무리 짓는다.

무대는 삼각형의 꼭지 점이 배경 쪽을 향한 경사진 벽면과, 배경에 커다란 창처럼 달린 투명 차단막이 조명효과에 따라 거울로 사용되기도 하고, 출연자의 모습이 그 뒤에 드러나기도 한다. 무대 오른쪽에는 연주석이 마련되고 극 전개에 따라 연주자들의 연주가 극의 분위기와 조화를 이룬다. 무대바닥의 절반은 모래로 되어있어, 출연자들이 모래 위를 뒹굴며 열연을 보이고, 인터넷 모니터 보다 작은 형태의 아이패드를 출연자들이 지니고 들어와 어둠 속에서 각가지 형태의 영상을 만들어 내거나, 저마다 톱을 들고 들어와 휘두르며 톱에 비추인 조명으로 환상적인 분위기를 창출시키고, 톱을 활로 켜 아름다운 음률을 연주해 극적 분위기를 상승시키기도 한다. 바닥에 펼쳐진 모래 한가운데에 웅덩이가 있어, 공중에 매단 커다란 얼음덩이에서 녹아내린 물방울이 웅덩이 안에 고이면 물을 사방으로 튀겨내기도 하면서 <메데아>의 열정과 욕정과 분노를 극 속에 무용하듯 예술적으로 용해시켜 표현한다. 또한 연기자들의 대사보다는 동작과 동선을 부각시키고, 동선마다 부분조명으로 처리하고, 대단원에서 나무의 모형을 들여와 숲을 상징적으로 부각시키는 등 연출가의 계산과 기량이 감지되는, 일종의 표현예술 극치라 평할 만 한 공연이었다.

강주희, 김현준, 송주희, 심영민, 김세경, 강성숙, 정순미, 김문정, 김태훈, 서창희, 김희원, 권순정, 이신애, 이규호 등 출연자 전원의 호연과 열연은 관객을 1시간 40여분동안 완전히 극에 몰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음악 감은규, 무대 임창주, 안무 박이표, 의상 정경희, 조명 이나구, 분장 박팔영, 수품 서정인, 톱악기지도 조남진, 사진 류재형, 헤어디자인 빅토리아헤어, 협력연출 손경희, 드라마투르크 하형주, 영문번역 한은주, 음향감독 이복행, 홍보디자인 김미연, 기획본부장 김화산, 행정팀장 이돈형, 홍보팀장 김새롬 등 스텝 모두의 열정과 기량이 하나가 되어, 인천시립극단의 에우리피데스 작, 홍창수 극작, 주요철 연출의 <메데아 네이처>를 해외 유명 연극제에 출품해도 좋을 한 편의 걸작연극으로 탄생시켰다.

2월 28일 박정기(朴精機)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