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생각은 자유/ 김창화

***이 글은 2017년 6월 22일 <<이데일리>>에 게재되었습니다.

 

극장을 광장처럼, 광장을 극장처럼 : “생각은 자유”

 

김창화 (상명대 교수)

 

 

지난 5월 23일부터 6월 17일까지 두산아트센터 ‘스페이스 111’에서 김재엽 작, 연출의 “생각은 자유”가 공연되었다. 2016년 11월 4일 블랙리스트 문화예술인 시국선언이 있던 날, 광화문 광장에 모인 연극인들이 준비한, ‘검열백서’가 이번 6월에, 준비 1호를 간행했다. 이 검열백서 위원회의 사무국장을 맡고 있는 사람이 바로 김재엽이다. 2015년 2월부터 2016년 1월까지 베를린에 머물면서 겪은 일상의 경험을 바탕으로, 극장을 광장처럼 연출한 공연이 바로 “생각은 자유”다. 연극치료의 방식 가운데 ‘자전적 공연’이라는 형식이 있다. 정신 질환을 겪고 있는 환자의 삶을 이야기로 꾸며, 이야기 속에서 환자의 ‘정체성’을 재발견하고, 탐구하는 프로젝트로서, 환자의 삶이 ‘객관적인 치료의 대상’이 되는 기법이다.

독일에서 10년 가까이 생활했던 사람들보다, 더 정확하고, 간결하게, 독일을, 독일에 이주한 한국인들을, 독일의 극장에서 펼쳐지고 있는 인권을 주제로 한 연극을 소개한 공연이 바로 “생각은 자유”다. 하성광, 강애심, 지춘성이 출연했으나, 연극 속에서 김재엽 역을 맡았던 배우 정원조가 주인공 이였고, 실제 김재엽의 아내인 배우 이소영과 이소영이 인형을 통해 연출한 두 사람의 아이 ‘아론’이 이번 공연의 중심인물들이었다. 베를린에서 일 년을 보내는 이 가족의 이야기가 연극 “생각은 자유”의 중심 플롯이다.

그러나 이 연극은 극장에서, ‘세계시민, 이주민, 그리고 난민’을 만날 수 있는 광장이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극장에서 광장의 이야기를 하고, 광장의 이야기를 극장으로 옮겨, 재현적인 기법을 통해 극장에서 광장을 보여주고 있다. 연극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실제 존재하는, 실제 현실에서 주고받은 이야기를 ‘다큐멘터리’처럼 다루고 있는 연극이며, 공연의 서사는 기록된 이미지와 함께, 작가의 자유로운 ‘연상 작용’을 통해 증폭된다. 즉 가장 사실에 가까운 이야기와 가장 비사실적인 ‘허구’가 동시에 진행된다. 태극기와 촛불처럼, 두 개의 만나지 못할 평행선이 자신의 궤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달리듯, “생각은 자유”라는 연극은 대화와 만남으로 그 어떤 변화가 일어나지 않고, 무한궤도를 달리는 순환열차처럼 숨차게 2017년 대한민국의 현실을 달리고 있다.

연극은 ‘소통의 예술’이다. 그러나 누구에 겐가는 ‘자기 자신만을 위한 광장’일 수도 있다.

세계화를 꿈꾸던 대한민국의 과거와 새로운 일자리를 찾아 독일로 갔던 광부와 간호사들. 지금 대한민국은 세계화의 물결이 넘쳐나고 있지만, 젊음을 ‘손님노동자’로 독일에서 보내야만 했던 독일의 한국인 노동자들의 과거는 고쳐지거나, 달라질 수가 없다. 그들이 생각하는 ‘대한민국’과 지금 광화문 광장에 서 있는 젊은 무리들의 ‘대한민국’은 다르다. 그 다름이 ‘대한민국’을 바라보는 시각과 생각의 차이다. 그리고 그렇게 ‘다르게 생각할 수 있는 자유’가 있어야 한다. 모두의 생각이 다 ‘자유’라는 생각과 다르게 생각할 수 있는 ‘자유’는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각은 자유”라는 연극은 소통의 단절을 위한 연극은 아니다. 그러나 타인의 ‘불행’을 즐기기 위한 ‘샤덴 프로이데(Shadenfreude:남의 불행이나 고통을 보면서 느끼는 기쁨)’의 심정으로만 대한민국의 과거를 되돌아 봐서도 안 될 것이다. 진정한 의미의 ‘광장’은 함께 하는 것이고, 그 ‘광장’은 민주화의 초석이며 동시에 ‘극장’의 신념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