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인 권리 보장법’ 통과와 향후 과제
오세곤 예술계가 근 4년에 걸쳐 염원하던 ‘예술인의 지위와 권리의 보장에 관한 법률’(약칭 ‘예술인 권리 보장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앞으로 1년의 준비 기간을 거쳐 본격적으로…
오세곤 예술계가 근 4년에 걸쳐 염원하던 ‘예술인의 지위와 권리의 보장에 관한 법률’(약칭 ‘예술인 권리 보장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앞으로 1년의 준비 기간을 거쳐 본격적으로…
이연심(무학여자고등학교 교사) 용어에 민감한 이유는…… 당연히 통용되는 용어가 사람들의 생각과 행동을 규정하기 때문일 것이다.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이 꼬박 2년째 지속되면서 장기간의 거리…
이럴 줄은 몰랐다. 메르스도 겪었고, 조류독감도 겪어봤지만 이건 또 다른 종류의 난감함이고 두려움이다. 물론 지금의 여기에서의 화두는 코로나가 아니다. 코로나로 인해 비어버린 극장이다.…
요한 볼프강 폰 괴테 ‘파우스트 (Faust)’ – 임야비(tristan-1@daum.net) 자유기고가, 서울 신포니에타 기획 및 연출 극단 듀공아 / 극단 동맹 연출부 드라마투르기 거인 괴테의…
오세곤 벌써 10여 년 전의 일이다. 모 대학 박사과정 수업에서 연극단체 평가지표 개발을 한 학기 동안 진행한 일이 있었다. 3명의 박사과정 학생들과 함께…
요한 볼프강 폰 괴테 ‘파우스트 (Faust)’ – 임야비(tristan-1@daum.net) 자유기고가, 서울 신포니에타 기획 및 연출 극단 듀공아 / 극단 동맹 연출부 드라마트루기 덜 알려진…
<살아있는 자를 수선하기> Réparer les vivants 연극평론가 고수진 열아홉 살 청년 시몽 랭브르는 친구들과 새벽 서핑을 하고 돌아오는 길에 교통사고를 당해 코마상태에 빠진다.…
십 년 쯤 전 대학로의 게시판이 사시사철 ‘체홉’으로 도배된 것만 같던 때가 있었다. 2010년 러시아의 극작가 안톤 체홉(Anton Chekhov, 1860~1904) 탄생 150주년을 맞이하면서…
이지은 지난 5월 17일 밤 팔꿈치 뼈에 금이 갔다. 일반적으로 뼈라고 생각하는 모양에서 양끝의 둥글어진 부분이 있잖은가. 위쪽 뼈와 아래쪽 뼈가 닿는 그…
요한 볼프강 폰 괴테 ‘파우스트 (Faust)’ – 임야비(tristan-1@daum.net) 자유기고가, 서울 신포니에타 기획 및 연출 극단 듀공아 / 극단 동맹 연출부 드라마트루기 매우 유명한…
공연명: <이유는 있다> 관람일시: 2021.06.02.19:30 극장: 스튜디오76 <이유는 있다>에는 노포의 그윽함이 있다. 소극장의 살가움, 능수능란한 고수 배우들의 친근한 연기, 3면 객석배치의 구경꾼 분위기…
오세곤 1. 예술 진흥의 중심 이동 예술은 국가의 필수 요소이다. 그래서 헌법에서도 예술과 예술가에 대해 명시하고 있다. 지원(支援)의 사전적 의미는 “지지하여 도움”이다. 반드시…
<자본론> Das Kapital 연극평론가 고수진 독일의 철학자이자 경제학자 칼 마르크스가 쓴 『자본: 정치경제학 비판(Das Kapital: Kritik der politischen Ökonomie)』은 우리나라에는 『자본론』이라는 제목으로 더…
이연심(무학여자고등학교 교사)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책이라면 학교 공부는 얼마나 재미있을까 우리에게 교과서는 어떤 존재인가? 교과서를 생각하면 누군가는 교과서를 빌리러 이 학급 저…
공연명: <노인과 여자를 위한 나라는 없다> 관람일시: 2021.05.07.19:30 극장: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제목을 보고 무리다 싶었다. 감히 저 명작 영화와 견주겠다고? 오마주든 패러디든 결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