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우란문화재단 <꽃병물갈이>
글_ 주하영(공연 비평가) 15년 동안 죽은 자들이 누워있는 묘지를 자신의 정원처럼 가꾸면서 홀로 살아가고 있는 중년의 여인이 있다. 밝은색의 하늘거리는 원피스…
글_ 주하영(공연 비평가) 15년 동안 죽은 자들이 누워있는 묘지를 자신의 정원처럼 가꾸면서 홀로 살아가고 있는 중년의 여인이 있다. 밝은색의 하늘거리는 원피스…
글_양세라 그 겨울 그 고시원 <여기가 집이다>는 2013년 초연되었고, 2015년에는 명동예술극장 ‘우수공연 초청 시리즈1‘에서 공연된 나름의 공연사를 가졌다. 특히 이번 공연은…
글_홍혜련 최근 몇 년 사이, 일련의 사회적 사건을 겪으며 사람들의 입에 ‘공감 능력’이라는 말이 오르내리기 시작했다. 공감(共感)의 의미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남의 감정,…
글_채승훈(연극연출가) 2024년 학교예술강사 지원사업 예산이 2023년도 약 605억 원에서 약 54% 삭감된 287억 원으로 편성됐다고 한다. 24년째 이어온 이 사업은 그동안 약…
글_김충일(연극평론가) 연극은 형이상학적이고 존재의 원천을 발견하는 거울과도 같다. 자기 자신을 만나려면 ‘거울 속의 거울’인 무대를 들여다보아야 하는데, 그곳은 베일에 싸인 ‘언어사회적 미적존재’들이…
학교예술강사지원사업 제도의 쟁점과 과제 : 예술강사 근무환경 중심으로 글_김광중(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예술강사분과 사무국장, 국악예술강사) <목차> 1. 학교예술강사지원사업 현황 2. 학교예술강사지원사업 연혁 및 추진체계 3. 학교예술강사지원사업…
글_장용철 (극단 작은신화, 좋은희곡읽기모임) 하지만 그건 진심이었을 거야! 아주 오래 전이다. 한 여름이었다. 무더웠다. 혜화역앞 횡단보도를 건너다가 우연히 연출 선생님을…
글_김혜정 기자 반갑습니다, 연출님. <컬렉션> 개막이 코앞으로 다가왔어요. 관객을 만나기 직전인데 소감이 어떠세요? 많이 기대되고 설렙니다. 자신 있다기보다는 어떻게 보실지 궁금해요.…
글_허태경(연극예술강사) 창의적이란 주변세계에 관심을 갖고 늘 관찰하는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다. 남들과는 다른 관점과 시각으로 사물과 현상을 바라보고 새로운 언어와 참신한 표현으로 나타낼…
글_김기란(연극평론가) 2022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등단 작가인 황수아가 쓰고, 주애리가 연출한 <실종법칙>(2023.11.18.-11.19, 민송아트홀 2관)은 제23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 공식참가작으로 공연되었다. 2인극은 단 두…
글_배선애(연극평론가) 2023년 연극계 중요한 화두 중 하나는 ‘돌봄’이었다. 페미니즘의 관심이 간병과 돌봄으로 확장되면서 사회적 담론의 연극화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올해 초 공연된…
글_김건표(연극평론가) 극단 지즐, 극발전소301, 극단 필통, 극단 행복한 사람들이 모여 2016년 제1회를 개최한 ‘도담도담 페스티벌’ (10.18~11.26. 대학로 우리소극장, 예술감독 정범철)이 올해 8회로…
리뷰_홍혜련 작년 10월 초연됐던 <그녀를 용서할 수 있을까>가 올해 제2회 연극 판 페스티벌의 참가작으로 다시 무대에 올랐다. 두 번이나 퓰리처상 후보로 올랐던…
글_임야비(tristan-1@daum.net) 소설가, 서울 신포니에타 기획 및 연출 극단 듀공아, 외계 공작소, 동맹, 아레떼 연출부 드라마투르그 부조니(F. Busoni)의 음악을 위한 시(詩) ‘파우스트 박사(Doktor Fau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