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ss 쥴리/ 김창화

해석이 있는 스트린드베리이 공연 “Miss 쥴리”

김창화 (상명대 연극학과 교수)

 

 

지난 2012년 11월 28일부터 12월 16일 까지 대학로 설치극장 정미소에서 공연한 “Miss 쥴리”는 극단 ‘루트 21’의 제 21회 정기공연으로 박재완 연출, 김인준 무대디자인으로 준비한 공연이다. 스트린드베리이 서거 100주년을 기념한 한국 최초의 스트린드베리이 축제와는 무관하게 진행된 이 공연에서 스트린드베리이의 대표적인 자연주의 희곡 “쥴리”는 제대로 된 해석과 함께, 연출의 의도가 보였고, 무대미술의 공연에 대한 기여도가 아주 높았던, 그리고 무엇보다도 인물들의 성격과 내면적 ‘자의식’을 적절하게 잘 드러낸 연기자들의 앙상블이 두드러져 보였던 공연이었다.
사실주의 연극과 자연주의 연극의 구분 점은 작가의 의도와 객관적 사실에 대한 접근방식의 차이일 것이다. 한국의 스트린드베리이 축제에 참가한 공연가운데 대부분은 스트린드베리이가 자연주의 시대를 넘어서서, 표현주의, 상징주의, 초현실주의의 경향을 보여준 매우 난해한 작품들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연출양식은 아직 사실주의 연극연출의 기법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미완의 지점에 머물렀다면, 이번 ‘루트 21’의 공연은 ‘자연주의 공연양식’에 대한 나름대로의 접근법을 알고 있었으며, 무대를 통해 재현해야 할 공연의 형식이 단지 ‘줄거리의 재현’이 아니라는 명백한 연출의 해석과 ‘관점’을 읽을 수 있게 했던 공연이었다. 이번 공연에서 가장 아름다웠던 장면은 6명의 남녀 앙상블이 ‘쟝’과 ‘쥴리’의 신분을 넘어선 불륜의 관계를 꽃잎을 휘날리며, 몸으로 재현했던 장면이다. ‘쥴리’역을 맡은 배우 이선정의 섬세하면서도, 카리스마 넘치는 연기가 ‘쥴리’의 내면적 자아와 자신의 환경에 대한 투쟁을 적절하게 잘 표현하면서, ‘쟝’과의 관계가 단순한 ‘치정’이상의 의미를 전달하게 한 것은 이번 공연에서 이룩한 대단한 성과이면서, 동시에 ‘쥴리’가 지니고 있어야 할 ‘육체적 조건 = 젊음’과는 조금의 거리가 있었다면, 6명 앙상블(송아영, 조부현, 이후성, 민윤영, 심재훈, 임지은)의 젊은 몸은 이 작품이 의도했던 ‘쥴리’의 내면에 잠재한 ‘육체적 욕망’을 마음껏 불살랐으며, 혼돈과 무질서의 ‘그룹섹스’를 연상하게 연출한 이 장면을 통해 ‘쥴리’의 욕망은 마음껏 타올랐다. 그리고 그 짧은 순간의 ‘미장센 (mise-en-scène)’은 이번 공연에서 무대미술과 연출, 젊은 앙상블이 이룩한 최대의 성과였다. ‘크리스틴’ 역을 맡은 권경희의 집중력 강한 연기 역시 이 작품의 긴장감과 예측 불가한 미래에 대한 연출의 해석으로 읽혔다. 따라서 ‘크리스틴’이 무대 위에서 단지 그림자처럼 존재할 것이라는 ‘통념’을 벗어버리면서, ‘크리스틴’이 내포하고 있는 또 다른 ‘여성성’, 즉 생활과 함께 억압당했으며, 남자로부터 착취당한, 희생자이면서 동시에 영원한 ‘구원의 가능성’을 유지하고 있는 인물로 다시 태어났으며, ‘하녀의 아들’인 스트린드베리이에게는 ‘어머니’와 같은 ‘여성성’의 하녀 ‘크리스틴’이 무대 위에 제대로 된 해석과 함께 구체적으로 등장하게 된 것이다.

 


“쥴리”의 공연에 등장한 지금까지의 수많은 ‘쟝’ 가운데 가장 ‘쟝’과 적합하게 보였던 배역이 바로 이번 공연에서 ‘쟝’역을 맡은 배우 조영진이다. 연출의 해석과 배우의 ‘표현력’ 사이에서 어떻게 무게 중심을 잡아야 하는지 너무나 잘 알고 있고, 그 조화의 아름다움을 관객이 읽을 수 있도록 만드는, 연기의 탄력과 배우의 지구력을 모두 소유한 배우 조영진을 통해 이번 공연은 스트린드베리이 공연의 새로운 가능성을 경험하게 했으며, 이제 어떻게 이 ‘자연주의 공연양식’의 한계와 벽을 넘어설 것인지 ‘풀리지 않는 함수’ 루트 21의 다음 공연을 기대해 본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