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달/ 정윤희

예측할 수 없는 것들로 가득한 세상에서 진실하게 살아가기

연극 <종이달>

 

정윤희

 

작, 연출: 윤기훈

공연일시: 2016/05/25~05/27

공연장소: 영등포아트센터

주최: 경계없는아트센터

 

 

과거의 기억이 불쑥 그녀를 찾아왔다

 

1막 1장, 윤희는 비행기 안에서 프랑스 농부의 손에 들린 수원과 오산이라는 아기와 만나게 된다. 남자는 아기를 무척 좋아했지만 아기를 돌보는 모습이 꽤나 정신없어 보였고, 게다가 그의 집에는 다섯 명의 아이가 더 있다고 한다. 파리의 사무실로 돌아와서도 그녀는 비행기에서 만난 아이들 생각에 사로잡혔고 회의 도중 불쑥 한 가정에 그토록 많은 아이들이 필요한 이유가 ‘노동력’이 필요해서라는 말을 내뱉고 만다.

윤희는 프랑스에서 유학생활을 마친 후 많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현재는 사람들의 존경을 받는 일을 하고 있다. 그녀는 30년 전 열악한 여건 속에서 유학길에 떠나기 위해 한국의 입양아를 프랑스의 입양기관으로 데려오는 대신 비행기 티켓을 대가로 받았다. 이로 말미암아 성공을 위해 이 아이를 이용했다는 괴로움을, 자신의 행동이 아이와 부모에게 실제로 어떤 아픔을 주었는지 차마 헤아리지도 못한 채 가슴 속에 묻고 살아왔다.

 

극은 이처럼 세상의 많은 일들이 개별적인 인생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지 예측하지 못하고 벌어진다고 말한다. 이날 유네스코 본부에서는 A지역에 몰린 기금을 어떻게 B, C지역에까지 분배할 것인지에 대하여 논의되고 있다. 최근 A지역에서는 세계 최대 매장량의 리튬 광산이 발견되었고 채굴권을 두고 기업들이 경쟁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유네스코 본부 직원인 윤희, 마틸다, 토마는 기금 투입의 결과로 이 나라의 자원이 헐값에 넘어가고 아이들이 교육을 받아야 할 시간에 노동력을 제공해야 할지도 모른다고 여기면서도 상황의 조금 더 밝은 면을 바라보자고 마음을 다지며 조금이라도 더 공정하게 기금을 분배하기 위하여 머리를 짜내고 있다. 그 와중에 유니세프의 국제 입양아를 위한 새로운 프로젝트와 협력하는 안이 나오게 되었고, 윤희는 유니세프와의 협의를 담당하게 된다. 불쑥 소환된 과거로부터 새로운 길이 열렸다.

 

윤희는 비행기 안 두 아기와의 만남을 처음에는 그리 달가워하지 않았지만, 그로인해 환기된 과거의 기억과 그것이 불러일으킨 내면의 복잡한 감정들에 차근차근 응하기 시작한다. 유학길에서 자신이 데려온 아이와 아이의 생모를 찾고 이들의 만남을 주선한다. 이러한 윤희의 행위는 오랜 세월 과거로 괴로워하는 아이와 엄마의 심정에 응하는 것이기도 했다. 윤희는 복잡한 심연에 놓인 이들을 서로 만나게 하는 것이 정말 잘하는 일인지 확신하지 못해 고민하지만, 정작 그들을 서로를 향해 강력하게 끌어당긴 힘은 그들 마음속에 깊이 자리 잡고 있던 깊은 회한의 감정이었다.

 

 

달은 한 번도 똑같은 모양을 하지 않는다

 

극에 등장하는 여러 사건들은 실제로 있었던 일들을 모티브로 하고 있다. 젊은이들이 자국의 입양아를 해외의 입양기관까지 데려다 주는 일은 실제로 행해지고 있는 일이고, 아랍 청년이 여자 친구의 아버지가 모는 차에 치이는 사건은 이화원 교수가 유학 시절 직접 목격했던 일이다. 각각 다른 사람들이 다른 시점에서 겪은 일들이 작품 속에서 하나의 일인 것 마냥 녹아들었다. 보는 각도에 따라 달라보여도 모두 달의 모습이듯 세계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사건들도 하나의 본질을 향하고 있다. 진실이란 여러 가지 사건들을 관통하며 은밀한 빛을 띠게 마련이기에, 드라마의 애매모호함은 현실을 비추는 좋은 거울이 될 수 있다. 작품의 모호한 극의 전개는 이편에서 일어나는 일이 지구 저편에서 일어나는 일과도 맞물려 있다는 것을, 타인과 관계 맺지 않고 따로 떨어져 그냥 벌어지는 일이란 결코 없다는 것을 암시한다.

 

한편 극의 모호함은 아프고 참담한 현실을 여러 켜의 달빛에 걸러서 전달한다. 윤희는 신중한 인물이며 상황에 따라 자신의 의사를 영리하게 전달한다. 배우가 들려주는 불어가 그 나라 말을 모르는 한국인에게 아름답게 들렸던 만큼, 한국어를 모르는 프랑스인들에게도 그러했을 거라고 짐작된다. 윤희는 공부도 많이 했고 좋은 자질을 두루 지닌 인물이지만 그가 가진 가장 큰 자산은 뛰어난 소통능력이며, 그것으로 인해 유네스코와 유니세프의 중첩된 역할을 담당할 수 있고, 30년 만에 처음 만나는 엄마와 딸의 대화도 통역할 수 있다는 것을 관객들은 알아챈다. 그러나 영선이 과거 성폭행을 당했던 사건 만큼은 오롯이 통역되지 못한다. 삶에 허구와 모호함이 요구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달은 매번 다른 모습을 한다. 아무리 과거의 일이 후회스럽고 아파도 언제까지나 그러지 않아도 되는 이유는 삶에서 매번 다른 국면이 우리를 찾아오기 때문이며, 강렬한 햇빛이 아닌 숨은 빛이 우리를 비추고 있기 때문이다. 달빛 안에서라면, 언제라도 우리를 찾아온 낯선 감정들과 기억들과 인연들에 화답할 용기를 내봄직 하다. 역시 애매모호한 연극이 우리의 삶에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