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녀들/ 윤진현

살의(殺意)를 위한 비의(秘儀)
– 연희단거리패 <하녀들>

 

작 : 장 주네
번역 : 오세곤
연출 : 이윤택
단체 : 연희단거리패
공연일시 : 2016/01/06~01/22
금요일 20시, 토 3시/7시, 일요일 3시
공연장소 : 30스튜디오
관극일시 2017/01/14 03:00

 

maids

 

금지된 놀이의 긴장

평범한 촌부인 나의 어머니는 아이들이 즐기는 역할놀이를 좋아하지 않으셨다. 그래서 나는 우리 집에 친구들을 모아 인형놀이나 소꿉놀이 같은 것을 할 수가 없었다. 물론 그런 놀이는 이를 개의치 않는 친구네 집에 가서 얼마든지 할 수 있었지만 친구네 집에서는 배역 선점의 기회가 적었다. 그러니까 내 집이 아닌 곳에서 나의 배역은 늘 아기거나 동생 같은 보호대상, 임팩트 없는 배역뿐이었다.

역할놀이의 핵심은 내가 주체가 되는 것이다. 더욱이 놀이 속에서는 현실에서 결핍된 것을 성취하는 주체가 되는 것이 중요하다. 현실의 아이가 놀이에서는 엄마, 아빠, 오빠, 언니가 될 수 있기에 역할놀이가 즐거운 것이다. 일상에서와 똑같이 막내아기 역을 주구장창 맡아서 기껏해야 “응애~ 응애~~ 맘마, 쭈쭈”와 같은 대사나 해야 한다면, 더구나 잔소리나 듣고 보살핌만 받아야 한다면 도대체 그 역할놀이가 무슨 재미겠는가. 보살핌을 받는 막내아기 역이라면 진짜 엄마나 엄마 대신 동생 돌보느라 고단한 큰 언니가 맡고 싶을 것이 아닌가. 물론 그들은 우리와 소꿉놀이를 할 시간이 없었다.

상황이 바뀌는 것은 우리 부모님이 멀리 외출하여 내가 집을 보면서 친구들을 부를 수 있을 때였다. 친구들은 집을 보는 나를 위해 우리 집을 방문하고 집주인인 나를 존중하여 나에게 엄마나 큰언니, 높은 신분의 여주인공을 양보하였다. 그리고 이때는 그야말로 친구집에서도 하지 못하던 행동을 하면서 마음껏 놀아나 보는 것이다. 한복이나 긴 치마, 멋진 스카프가 없으면 나일론 보자기로도 충분했다. 화장도 해보고 물론 예쁜 그릇을 꺼내서 음식도 담아먹고 온 집안을 놀이터 삼아서 북새를 치면서 어지르고 신이 나는 것이다. 이때의 즐거움과 흥분은 소소하게 친구네 집에서 놀던 때와는 비교할 수 없었다. 금지된 영역이었기에 더욱 즐겁고 신났다.

 

비의(秘儀), 악마와의 거래

장 쥬네의 <하녀들>을 처음 접했을 때, 내 기분은 딱 그랬다. 역할놀이에 열중하던 어린 시절을 다시 보는 기분이었다. 물론 우리의 가족놀이에서 부모님을 살해한 적은 없었지만 그렇다고 어떤 살인도 없었다는 것은 아니다. 요컨대 <하녀들>은 그 자체로 연극이었다. 브레히트처럼 소격효과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객관적 미적 거리를 확보하려고 하지 않아도 그것은 그 자체로 신나는 놀이였다. 심지어 놀이를 시작한 것이 솔랑주와 끌레르인지, 김아라나와 서혜주인지도 확실치 않지만 그래도 무관하지 않은가.

그런데 이들의 놀이는 쉽게 놀이로 볼 수 없는 현실이 엮여 있다. 솔랑주와 끌레르라는 두 여성은 마담의 하녀이다. 이들은 마담이 부재한 사이 끌레르는 마담 역할을, 솔랑주는 끌레르 역할을 한다. 이들의 목표는 마담의 부재이다. 하여 이들은 마담이 떠나도록 이미 마담의 애인을 무고하는 투서를 했고 마담의 애인은 투옥된 참이다. 그러나 마담의 애인은 곧 방면된다. 부재의 최종심급은 죽음이다. 이들은 마담을 죽이기로 모의한다. 이 또한 결국 실패하자 살인을 구현하더니 실제로 끌레르는 독이 든 차를 마셔버린다. 그렇다면 이들의 놀이는 순수한 놀이가 아니라 현실과 뗄 수 없는 놀이형태의 다른 무엇이던가?

이를테면 저주를 위한 비의랄까? 일례로 인형은 보통 놀이에 등장하지만 비슷한 물건이 의례에도 쓰인다. 의례에 사용되는 인형을 ‘제웅’이라고 하니 외관은 비슷해도 용도는 판이하다. 장 쥬네를 아토냉 아르토와 비교하여 잔혹연극, 또는 제의적 연극과 아울러 다루기도 하는데 그렇다면 그 제의의 성격을 따져볼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DSC_2616

본래 제의는 복잡하고 다면적이다. 참여집단의 세력과 위상을 공표하고 과시하는 장엄한 공적 의례가 있다면 기원하는 자의 성취하기 어려운 욕망을 은밀하고 사악한 방법으로 달성하기 위한 비밀 의례도 있다. <하녀들>을 제의에 견준다면 두말할 필요 없이 농밀한 비의로 표현되어야 할 것이다.

무속적 상상력에서 공적 의례는 개방된 대규모 의례를 통해 천지신명의 자발적인 공감과 동의를 끌어내어 대의를 이루려는 행사지만 비밀 의례는 어두운 초월적 존재와 은밀한 거래를 통해 불가능하거나 오픈될 수 없는 욕망을 추구하는 과정이다. 이것은 교환, 심지어 얼마간은 불공정한 교환이다. ‘인어공주’가 그랬듯이 인간의 다리를 얻고 싶으면 마음을 표현할 목소리를 내놓아야 하는 것이다.

대부분 종교에서도 그렇지만 이 경우, 이들의 비의에서 차례로 바뀌는 의상은 의례의 단계를 의미한다. 장 쥬네의 <하녀들>의 공간은 마담의 드레스룸, 검정, 빨강, 하양의 다양한 색채감은 비의적 종교공간의 느낌을 내장하고 있다. 서양의 색채 심상은 우리와 다르지만 인물들의 행동을 통해 이들 색채는 노예적인 복종, 강렬한 지배력, 희생적인 순결 등 각 색채에 따른 심상을 충분히 드러낸다. 여기에 이윤택의 <하녀들>은 을씨년스러운 블루톤의 조명으로 이 화려한 색채가 태양 아래 현실적인 가치와 힘을 가진 것이 아니라 저주를 위해 동원된 것임을 분명하게 드러낸다. 전통의례의 해석에 있어 대체로 이면적인 주술성의 형상화에 특장을 보여온 연희단거리패의 해석이 원만하게 강조되고 있다고 하겠다. 게다가 생화를 사용하기를 권유하는 원작과 달리 조잡하고 뻔한 조화더미도 신당의 지화(紙花)인 듯 잘 어울렸다.

 

‘살의’의 분출

이러한 비의적 공간에서 형상을 얻은 솔랑주와 끌레르의 욕망은 무엇이던가. 그녀들은 마담이 없어지길 원한다. 주인이 죽으면서 유산을 물려주던 전시대 사회의 습속을 거론해도 좋지만 지배계급이 사라지면 억압받던 피지배계급이 해방된다는 사회적인 상징으로 해석해도 좋다. 하여 솔랑주와 끌레르는 마담의 애인이 투옥되어 유형을 당하면 마담이 유형지로 동행할 것이라 예상하고 마담의 애인을 무고한다. 주술은 동시적으로 추진된다. 이들은 투서를 보내고 마담이 외출한 틈을 타 마담을 죽이는 흑마술의 의례를 행한다. 그러나 주술은 실패다. 마담의 애인을 방면되고 마담은 돌아왔으며 주술의 의례도 마치지 못하고 만다. 이들은 자신들의 음모가 밝혀질 것이라는 공포에 휩싸인다. 자신들이 무사하려면 마담을 죽이는 수 밖에 없다. 독이 든 차를 준비하여 마담을 죽이려 하지만 이 역시 실패다.

 

DSC_3197

 

그러나 살의는 그렇게 쉽게 다스려지지 않는다. 마담이 없었으면 좋겠다는 소망은 마담을 죽이고야 말겠다는 의지로 변경된다. 인간의 행동이 특별한 것은 한 번 움직이기 시작한 욕망은 죽음이 아니고는 끝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솔랑주는 드디어 마담역의 끌레르를 죽이는 장면에 도달하고 장엄한 순교와 같은 사형대의 장면까지 일사천리로 구현해낸다. 솔랑주는 드디어 현실적으로 살인의 능력을 갖게 된 것이라고 보아도 좋다. 살인이 가능한 ‘마드모아젤 솔랑주 르메르시에’의 탄생이다.
그러나 끌레르는 그렇지 못하다. 마담이 없기를 바란다면 마담을 인지하는 내가 없으면 된다. 마담으로서 독을 마신다면 마담까지 동시에 없앨 수 있다. 동생으로서 놀이 속에서도 솔랑주의 주도 하에 있던 끌레르의 욕망이 정점에 오른 순간이다.

연극이 대중의 욕망을 대체하거나 살의를 다스리던 시대를 벗어나 욕망을 증폭하고 욕망을 실현하는 매개가 되는 것이야말로 부랑자이고 도둑이고 범법자였던 장 주네의 목표였던 것이다. 연극이 현실의 대체재는 아니다.

 

* 덧붙임

누군가를 죽이고 싶은 욕망이 날로 상승하는 시대를 살면서 마담이 무엇이든 마담을 죽이고 싶은 하녀들의 욕망을 하녀들의 입장에서 고려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마담역의 김소희는 이 살의를 충분히 자극하지는 못했다고 하겠다. 게다가 개인적으로 D&C <혜경궁 홍씨>를 자주 보기 때문인지 마담에게서 ‘혜경궁 홍씨’가 자주 튀어나오는 것도 곤혹스러웠다. 이것이 김소희 연기의 문제인지 필자의 개인적 상황의 문제인지는 좀더 판단이 필요하다. 어쨌든 이러한 측면에서 이윤택의 <하녀들>은 충분하지 못했다. ‘하녀들’의 연극을 구원으로 보는 한, 현실적이고 사회적인 억압에 맞서 억압을 없애고 스스로 강해지길 원하는 ‘하녀들’의 욕망이 당연하다는 사실은 제대로 조명되지 않은 것이라고 하겠다. ‘살의’가 당연히 반사회적이고 부도덕하다는 편견을 재고하면서 주술로서의 <하녀들>들을 살피는 문제를 과제로 남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