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극단 헬레나즈 <죽은 남자의 휴대폰>

글_주하영(공연 비평가)

 

랍스터 비스크 수프를 먹으며 카페에 앉아 있던 여자는 옆 테이블에서 울리는 휴대폰 벨소리를 듣는다. 옆 테이블의 남자는 고개를 숙이고 가만히 앉아 있을 뿐 끊임없이 울리는 전화를 받을 생각이 없어 보인다. 참다못한 여자가 남자에게 다가가 전화벨이 울리고 있으니 전화를 받아달라고 요청한다. 하지만 남자는 여전히 미동도 없이 그대로 앉아 있다. 계속해서 울리는 벨소리에 여자가 남자의 휴대폰을 대신 받는다. 전화를 건 사람의 메시지를 남자의 테이블 위에 놓인 냅킨 위에 펜으로 적어놓고 전화를 끊은 여자는 남자를 가만히 들여다본다. 여자는 남자가 숨을 쉬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소스라치게 놀란다. 앉아 있는 상태로 죽음에 이른 낯선 남자와 그의 휴대폰으로 전화를 걸어오는 사람들…. 여자는 낯선 남자의 ‘죽음’과 마주한 그 순간부터 그의 ‘삶’ 속으로 들어가기 시작한다.

 

죽은 남자인 ‘고든(Gordon)’의 휴대폰을 우연히 갖게 된 여자 ‘진(Jean)’은 남자의 가족과 지인을 만난다. 진은 갑작스러운 심장마비로 죽음에 이른 고든이 마지막 순간 주변 사람들에게 무엇을 남기고 싶어 했는지, 어떤 말을 남겼는지에 대해 거짓말을 하기 시작한다. 진은 고든의 휴대폰을 갖고 있는 이유를 묻는 가족들에게 자신이 고든과 함께 일하던 사이였다고 둘러대지만, 실제로 고든이 어떤 일에 종사하고 있었는지를 전혀 알지 못한다. 고든의 어머니 ‘고트립 여사(Mrs. Gottlieb)’와 동생 ‘드와이트(Dwight)’, 아내 ‘허미아(Hermia)’, 그리고 정부이자 사업 파트너인 ‘칼로타(Carlotta)’와의 만남이 있을 때마다, 진은 고든에 대해 알게 되고, 처음 그녀가 상상했던 것과는 전혀 다른 그의 삶에 노출된다. 그녀는 왜 거짓말을 지속하는 것일까? 고든은 어떤 삶을 영위해 온 것일까? 도대체 진은 왜 고든의 휴대폰을 놓지 못하는 것일까?

 

사진 제공: 극단 헬레나즈

 

퓰리처상 드라마 부문 최종후보에 두 차례나 올랐을 뿐 아니라 수잔 스미스 블랙번상, 스타인버그 극작가상, 맥아더 펠로십의 수상 경력이 있는 미국 극작가 사라 룰(Sarah Ruhl)의 연극 <죽은 남자의 휴대폰(Dead Man’s Cell Phone)>은 “디지털 시대의 죽음, 사랑, 그리고 단절에 관한 명상”을 겨냥한 작품이다.1) 2007년 워싱턴 D.C.에서 초연된 <죽은 남자의 휴대폰>은 일부 수정을 거쳐 2008년 오프브로드웨이와 시카고에서 공연되었고, “2009~2010년 미국에서 가장 많이 공연된 희곡 2위”를 차지했다.2)

 

룰은 2008년 『뉴요커』와의 인터뷰에서 “휴대폰과 아이팟(iPod), 무선인터넷이 사람들을 우리가 이해할 수조차 없는 방식으로 바꾸게 될 것”이라면서, 점점 더 현재 발을 딛고 서 있는 곳이 아닌 다른 어떤 곳에 가 있는 현실을 염려했다.3) 그녀는 소통과 연결에 있어 혁신을 가져온 기술의 대명사인 ‘휴대폰(cell phone)’을 중심으로 죽음으로 인한 상실과 기억, 애도, 비밀, 사랑, 그리고 관계와 같은 인간 삶의 조건에 어떤 변화가 생겼는지를 탐구하고자 했다. 더불어 기술 산업이 인간 사회에 불러온 비인간성과 냉담함, 단절, 고독, 몰이해와 수요와 공급을 중심으로 한 자본주의 시스템의 폐해에 관해 관객이 사유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를 원했다.

 

룰은 무거운 주제들을 “가벼움(lightness)”과 유머로 다루는 경향이 있다. 가벼움은 “깊이가 있는 일종의 지혜”이며, 한 발자국 떨어져서 상황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해준다고 말하는 룰은 아리스토텔레스적인 플롯보다는 오비디우스적인 변형을, 심리적 사실주의보다는 마술적 사실주의를 선호한다.4) 고대 로마의 시인 오비디우스의 『변신이야기』에 나오는 신화 속 인물들처럼 변화하고, 이동하며, 변형되고, 경계를 넘는 방식은 룰의 작품에 기이한 일들이 현실 속 일상과 함께 존재하는 ‘마술적 사실주의(magical realism)’로 구현된다.

 

사진 제공: 극단 헬레나즈

 

인간이 느끼는 감정이란 본질적으로 합리적인 설명이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어떤 이유로 인해 그러한 감정에 이르게 되었는지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일이 부적합하다는 그녀의 생각은 인물의 내면에 “욕망의 흐름(the currents of desire)”이 솟구칠 때마다, 다른 공간으로 이동을 하거나 변형을 일으키는 방향으로 극에 환상적인 요소를 부여하게 된다.5) 이 때문에 인물들의 행동 원인이나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따질 수 없는 어려움이 발생하는데, 룰은 유머와 상상력을 통해 관객이 등장인물의 여정을 함께 해나가면서, 각 상황마다 작가가 부여하는 사유의 지점들에 잠시 머무르다 이동할 수 있도록 이끈다.

 

소극장 산울림에서 공연된 극단 헬레나즈의 <죽은 남자의 휴대폰>은 “현실과 환상을 잇는 래빗홀로의 초대”라는 홍보문구 아래 “단절된 인간관계 속 사랑과 죽음, 기억”의 문제를 “환상동화”와 같은 판타지이자 블랙코미디로 유쾌하게 그려내고자 했다.6) 영국 작가 루이스 캐럴의 소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와 유사하게 ‘휴대폰’이 토끼굴과 같은 매개가 되어 여주인공의 기묘한 여정을 이끄는 맥락을 적용한 <죽은 남자의 휴대폰>은 원작의 대부분을 그대로 따르면서도, 연출적인 상상력을 효과적으로 발휘해 룰이 말한 “관객들의 위축된 상상력을 재소환”하는 결과를 잘 만들어낸 것으로 보인다.7)

 

박선희 연출은 룰이 대본에서 「연출가를 위한 노트」를 통해 조언한 ‘휴대폰 발레(cell phone ballet)’를 코믹하면서도 아름답게 표현했고, 요하네스버그 공항에서의 싸움 장면에 ‘필름 누아르(film noir)’를 적용하기를 바라는 작가의 의견에 슬로 모션 액션을 더했다. 특히 작가는 드와이트와 진이 함께하는 문구점에서의 장면에서, 올록볼록한 엠보싱 인쇄가 된 고급 종이의 느낌을 강조하고, 드와이트가 진의 머리를 두 갈래로 따주고 서로 키스하게 될 때 종이로 된 집이 ‘스노우 퍼레이드(snow parade)’처럼 그들에게 내려앉는 것을 제안하는데, 박선희 연출은 조금 다른 방식을 택했다. 천장에 위치한 수레바퀴 모양의 이동식 스탠드에 길게 줄로 꿰어 이어진 하얀 종이들은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조명과 함께 환상적인 느낌을 부여하고, 디지털 기술의 차가운 공간이 아닌 아날로그의 정적이고 따뜻한 분위기를 만들어냈다.

 

사진 제공: 극단 헬레나즈

 

오프브로드웨이 공연을 거치면서 수정된 룰의 대본에서, 드와이트와 진의 키스 장면에 고든이 조용히 나타나 관객들을 마주하고, 무슨 말을 하려는 듯 입을 벌린 채로 1부가 끝나고 인터미션이 시작되는 맥락은, 헬레나즈의 <죽은 남자의 휴대폰>에서는 적용되지 않았다. 대신 관객 앞에 처음으로 고든이 자신의 말을 쏟아내는 독백 장면이자 ‘장기 밀매(trafficking organs)’라는 그의 직업이 노출되는 지점을 강조하기 위해, 테이블 위에 올라선 그의 모습을 거인처럼 만들어, 진이 예측했던 것과는 전혀 다른 ‘사회의 악’과 같은 인물의 모습을 드러냈다. 헬레나즈의 <죽은 남자의 휴대폰>은 수요와 공급을 이어주는 ‘매개체’로서 시스템 속 자신의 역할을 강조하는 ‘고든’과 사람 사이의 소통과 연락, 관계를 이어주는 매개체인 기술, 즉 ‘휴대폰’의 연계성에 집중하기 보다는, 소외와 사랑, 가족 관계와 애도에 초점을 맞춘 경향이 있다. 따라서 홀로코스트 박물관에서 일하면서 기억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고립된 ‘섬’과 같은 속성을 지닌 진이, 에드워드 호퍼(Edward Hopper)의 그림처럼 정지된 느낌을 선사하는 부분을 강조하기보다는, 가족사진 액자를 활용해 ‘관계성과 기억, 존재를 바라보는 시선’이라는 의미를 더했다.

 

가족사진은 배우들이 액자 틀을 들고 서서 사진처럼 포즈를 취하는 방식으로 연출되는데, 진이 가족사진을 보게 되는 장면에서 뿐 아니라, 고트립 여사와 허미아가 고든에 관한 이야기를 할 때나 진이 고든에 대해 거짓말을 하게 되는 장면에서, 액자를 든 고든이 그들을 바라보도록 설정한다. 액자는 사고의 틀이자 기억의 틀이라는 측면에서, 각자의 입장과 생각을 의미하게 되고, 인간은 고든의 말처럼, “의미로 채워지기를 기다리는 떠다니는 빈 용기”와 같은 존재가 된다. 죽은 이의 삶은 남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 각자의 의미로 다르게 채색되고, 이상화된 연민의 사랑은 진실의 가혹함 속에 현실 속 사랑의 중요성을 깨닫게 만든다. 수요와 공급이 구축한 경제논리에 함몰되어 거래와 매개, 이익의 극대화만을 추구하는 일은 본질적인 인간의 선함을 끝없이 깎아내는 “거대한 강철 솜 수세미”와 같은 세상의 부작용이자 해악이라고 할 수 있다. 죽은 이의 기억을 보존하고 관계를 이어주는 훌륭한 매개라고 생각했던 휴대폰은 사업을 지속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소의 의미만 있을 뿐, 사실상 가족들을 상실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만들어 준 것은 진이 그들을 위로하기 위해 만들어낸 거짓말, 룰의 표현을 적용하자면 “작화(confabulation)”이다.8)

 

사진 제공: 극단 헬레나즈

 

룰은 마음속으로 이야기를 지어내는 스토리텔링, 혹은 대화를 이어나가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더해지는 추가적인 맥락이라는 관점에서 진의 거짓말을 ‘작화’로 규정한다. 이는 고든과 관계를 맺었던 모든 인물들이 마음속에 품고 있던 자신만의 ‘비밀’을 진에게 털어놓게 되는 계기가 되는데, 룰은 비밀의 맥락을 강조하기 위해 고트립 여사가 아들의 추도사를 하는 장면과 허미아의 입을 통해, 찰스 디킨스의 소설 『두 도시 이야기』의 ‘비밀스러움’과 관련된 문장들을 차용한다. 한 사람의 삶을 ‘책’에 비유한다면, ‘죽음’은 책장을 아직 제대로 넘겨보지도 못한 상태에서 더는 열어볼 수 없게 된 것과 같다. 그 책이 품고 있을 비밀들은 더 이상 알 방법이 없지만, 각자 뛰는 심장을 가진 사람들은 모두 자기만의 내밀한 생각을 품은 채 비밀스러운 영역을 보존하고,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으며 살아간다.

 

기술이 웹상에 ‘디지털 발자국(digital footprint)’이라 불리는 흔적들을 도처에 남기도록 만들고, SNS를 통해 수많은 사진과 음성, 영상들을 저장하도록 만드는 시대이지만, 여전히 한 사람의 깊이와 내면에 닿는 길은 어렵고 멀기만 하다. 인간의 관계와 기억에 있어 기술이 매개할 수 있는 영역의 한계는 분명히 존재한다. 그렇다면, 우리에게 기술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기술이 우리의 삶과 관계, 기억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기는 할까?

 


1) John Lahr, “Surreal Life”, The New Yorker, 10 Mar 2008, Web.

2) 김영식, 「연극 <죽은 남자의 휴대폰> 5월 8일 티켓 오픈」, 『위드인아트』, 2024. 5. 7. Web.

3) John Lahr, Ibid.

4) Ibid.

5) James Al-Shamma, Sarah Ruhl: A Critical Study of the Plays, McFarland & Co, 2011, 1072-1073, Kindle.

6) 헬레나즈, 「연극 <죽은 남자의 휴대폰> 리플릿」, 『극단 헬레나즈』, 2024.

7) John Lahr, Ibid.

8) Sarah Ruhl, “Notes for the Director”, Dead Man’s Cell Phone, Theatre Communications Group, 2008, p.103, Kindl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