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째 빅뱅
채승훈 (연극연출가) <두 번째 빅뱅> 대학로의 거리 풍경은 예전과는 크게 달라졌다. 여기저기 큼직큼직한 빌딩들이 들어섰고, 거의 모든 건물에…
채승훈 (연극연출가) <두 번째 빅뱅> 대학로의 거리 풍경은 예전과는 크게 달라졌다. 여기저기 큼직큼직한 빌딩들이 들어섰고, 거의 모든 건물에…
글_임야비(tristan-1@daum.net) 소설가, 연출가(총체극단 ‘여집합’), 클래식 연주회 기획가 지난 4년 동안 괴테의 ‘파우스트’와 관련된 수많은 음악과 음악적 연출을 자세히 살펴보았는데, 90% 이상이 심각하고 무거운 음악이었다. 그럴 만하다. 괴테의 파우스트는 ‘비극’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노학자 파우스트를 주제로 한 음악은 어두웠고, 악마 메피스토펠레스를 주제로 한 음악은 기괴했으며, 여주인공 그레트헨을 주제로 한 음악은 비극적이었다. 음악과 글의 깊고 심오한 맛도 좋지만, 지나치면 질리기 마련이다. 그래서 듣는 이의 고막과 읽는 이의 정수리를 짓누르는 무거운 쇳덩이를 잠시 내려놓을 수 있는 음악을 소개하고자 한다. 오스트리아 왈츠의 왕족인 요제프 슈트라우스와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가볍고 신나는’ 파우스트다. 슈트라우스 가문이 ‘왈츠’라는 영지에 왕이 된 것은 요한 슈트라우스 1세(1804~1849)의 공이 크다. 빈 군악대 악장으로 근무하다 궁정 무도회 음악감독을 맡았던 그는 왈츠, 폴카, 카드리유 등 수많은 춤곡을 작곡했는데 그중 가장 집중한 음악이 왈츠였다. 왈츠의 대유행에 크게 이바지한 그는 ‘왈츠의 아버지’라는 별칭을 얻었고, 대표작 ‘라데츠키 행진곡’은 매년 빈 신년 음악회의 마지막 앙코르곡으로 연주된다. 아버지가 닦아놓은 탄탄대로 위에서 장남 요한 슈트라우스 2세(1825~1899), 차남 요제프 슈트라우스(1827~1870), 사남 에두아르트 슈트라우스(1835~1916)는 왈츠 작곡가로 승승장구했다. 아버지의 이름을 그대로 물려받은 장남 요한 슈트라우스 2세는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강’, ‘빈 기질’, ‘봄의 소리’ 등 수많은 왈츠 곡으로 가문의 전성기를 이끌면서 ‘왈츠의 왕’이 되었다. 두 동생 요제프와 에두아르트도 형과 경쟁하며 아름다운 왈츠로 빈을 넘어 유럽 전체를 춤추게 했다. 이중 장남 요한 슈트라우스 2세와 차남 요제프 슈트라우스가 파우스트와 관련된 음악을 작곡했는데, 제목이 ‘파우스트 카드리유(Faust Quadrille)’로 동일하다. 카드리유(Quadrille)는 무엇인가? 프랑스어 ‘카드리유’라는 단어에는 왈츠, 미뉴엣, 탱고처럼 춤의 뜻과 음악의 뜻이 함께 있다. 어원상 ‘넷’이라는 의미인 ‘quad’가 눈에 띄는데, 카드리유 춤이 총 네 명(남자 두 명과 여자 두 명)이 사각 대형으로 추기 때문이다. 19세기 프랑스에서 크게 유행했지만, 춤의 기원은 이탈리아의 연극 ‘코메디아 델라르테 (Commedia dell’arte)’에서 배우들이 추는 춤, 영국에서 건너온 ‘콩트라당스 (Contredanse)’가 한 데 섞였을 가능성이 높다. 프랑스, 이탈리아, 영국으로부터 춤의 지분을 받은 카드리유지만, 음악으로서 카드리유는 오스트리아의 지분이 가장 크다. 왈츠의 왕가 슈트라우스 가문이 왈츠 외에도 수많은 카드리유를 작곡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19세기 유럽의 무도회에는 카드리유를 들으며 카드리유를 추는 흥으로 가득 찼다. 음악 카드리유는 6개의 개별적인 곡이 연달아 연주되는 구성인데, 각 곡마다 고유의 이름과 악곡 형식이 있다. 제1곡 팡타롱(Pantalon)은 이탈리아의 연극 ‘코메디아 델라르테의’ 영향이 고스란히 남아있다. 연극에서 욕심쟁이 늙은이로 등장하는 전형적인 인물 판타로네(Pantalone)가 그 어원으로, 음악은 세 개의 짧은 주제를 엮어 쾌활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제2곡 에떼(Été)는 여름이란 뜻이다. 팡타롱의 쾌활한 분위기는 이어가지만, 여성이 치마끝을 들고 넓은 공간을 쓰며 움직이기 때문에 단순하고 우아한 멜로디가 주를 이룬다. 제3곡 풀(Poule)은 암탉이란 뜻으로 6/8박자의 빠른 론도 형식이다. 제4곡 트레니스(Trénis)는 가장 춤곡의 색이 두드러진다. 당시 유명했던 안무가 트레니츠(Trenitz)가 2/4박자에 맞춘 춤을 추기 위해 삽입한 부분이다. 제5곡 파스투레유(Pastourelle)는 ‘양치기 소녀’라는 뜻으로 비교적 목가적이고 다소곳한 분위기의 음악이다. 제6곡 피날레(Finale)는 두 마디의 서주 후, 강한 음이 터져 나오고 음악과 춤이 절정에 이른다. 각 곡의 마지막은 짧고 강한 총주(Tutti)로 끝나고 사이에 약간의 쉼이 있다. 그래서 다음 곡과 구분이 명확하고, 춤을 추는 사람들은 다음 동작을 준비할 수 있는 여유가 생긴다. …
글_오세곤(극단 노을 예술감독) 글을 시작하기 전 먼저 헌법을 살펴보기로 하자. 헌법 제9조 국가는 전통문화의 계승·발전과 민족문화의 창달에 노력하여야 한다. 헌법…
글_채승훈(연극연출가) 예술 강사사업비 지원 삭감 2025년도 예술 강사 사업 지원비가 전년도에 비해 다시 대폭 삭감되었다. 2023년도의 574억 원에서 2024년도 287억 원, 2025년도엔 81억…
글_오세곤(극단 노을 예술감독, 순천향대 명예교수) 연극에서 관객은 배우와 함께 작품을 완성한다. 객석에서 즉각적으로 반응을 보내는 관객이 없다면 배우의 연기는 달라질 것이다. 물론…
글_임야비(tristan-1@daum.net) 소설가, 연출가(총체극단 ‘여집합’), 클래식 연주회 기획가 부록 제10편에서는 덜 알려진 작곡가들의 덜 알려진 파우스트 관련 작품을 소개하고자 한다. 어차피 ‘괴테의 파우스트에 관련된 모든 음악 작품’을 두루 살펴보는 약 4년에 걸친 길고 험난한 산행이었다. (2020년 10월부터 괴테의 비극 ‘파우스트’ 편 연재 시작) 정상에 오르기 직전 ‘파우스트-부록’ 편으로 중간 휴식을 하고 있다. 기왕 앉은 김에 그리고 정상에 우뚝 솟은 거암의 벅찬 감동을 느끼기 전에, 지나쳐버린 작고 귀한 조약돌을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첫 번째로 소개할 작곡가는 프랑스에서 주로 활동한 독일 태생의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 프리드리히 부르크뮐러다. 이름조차 생소한 작곡가지만, 소싯적에 피아노를 꾸준히 배운 사람이라면 부르크뮐러의 피아노 교본 ‘25개의 연습곡 op.100’이 얼핏 기억날 것이다. 고전파 시대의 독일에서 태어났지만 26세에 파리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줄곧 활동했고, 창작 시기가 낭만주의의 복판이었기 때문에 부르크뮐러의 음악은 ‘프랑스 낭만’의 색채가 짙다. 19세기 중반, 파리 문화계는 괴테 파우스트에 사로잡혀 있었다. 1828년 제라르 드 네르발이 프랑스어로 번역한 파우스트가 문학계를 강타했고, 1831년 작곡가 루이스 베르탱(1805~1877)이 발 빠르게 오페라 ‘파우스트’를 무대에 올렸다. 예나 지금이나 책으로 원작을 읽기보다는 개작한 공연 관람으로 독서를 대신하려는 경향은 똑같았기에, 베르탱의 오페라 ‘파우스트’는 성공을 거둔다. 이후 베르탱을 거울삼아 여러 작곡가가 파우스트에 손을 댔고, 그리 나쁘지 않은 흥행 성적을 거뒀다. 하지만 이는 ‘밑밥’에 불과했다. 1859년 샤를 구노의 오페라 ‘파우스트’가 파리 리리크 극장에서 초연되고, 그야말로 ‘초대박’을 터뜨린다. 구노의 오페라 ‘파우스트’ 이후 ‘파우스트-오페라’를 다루려는 작곡가는 크게 두 부류로 갈라졌다. 한 부류는 구노가 차지한 ‘최고의 파우스트 오페라’를 빼앗기 위해 도전장을 던진 ‘야심 찬 도전자들’이었다. 1866년 24살의 청년 쥘 마스네(Jules Massenet; 1842~1912)가 ‘툴레 왕의 잔 (la coupe du roi de thule)’이라는 파우스트-오페라를 완성했지만 상연조차 되지 못했다. 이어 1873년, 26살의 청년 외젠 디아즈(Eugène Diaz; 1837~1901)가 마스네 작품과 동일한 리브레티스트들의 대본으로 동명의 오페라를 완성해 후배 마스네를 제치고 작곡 대회 우승까지 따낸다. 하지만 150년이 지난 지금, 디아즈의 오페라 ‘툴레 왕의 잔’은 작곡가의 이름과 함께 완전히 묻혔다. 디펜딩 챔피언 구노의 방어력은 대단했다. 하지만 신중한 구노는 거듭되는 도전에 안전장치를 걸어둠과 동시에 관객들의 혼동을 피하고자 오페라의 제목을 ‘Margarethe’로 변경해 극장에 올리기도 했다. 다른 부류는 공전의 히트작인 구노의 파우스트에 묻어가는 전략을 취한 ‘소심한 편곡자들’이었다. 구노의 오페라에는 아름다운 멜로디들이 즐비한데, 그 인기가 대단하여 파리의 어느 살롱에 가도 사람들이 구노 파우스트의 멜로디를 흥얼거리고 있었다고 한다. 이에 수많은 작곡가가 원작의 멜로디에 악기 편성을 다르게 하여 편곡하거나, 여러 변주를 붙여 ‘구노의 오페라 파우스트 주제에 의한 OOO 곡’ 형식으로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먼저, 헨릭 비에니아프스키는 1865년 ‘구노의 오페라 파우스트 주제에 의한 화려한 환상곡’을 세상에 내놓았다. 이어 1868년에는 쟝-델핀 알라르가, 이듬해인 1869년에는 앙리 비와탕이 각각 ‘파우스트 환상곡’을 경쟁하듯 발표했다. 1874년에는 파블로 데 사라사테가 ‘구노의 오페라 파우스트 주제에 의한 새로운 환상곡’을 연주회장에 올린다. (TTIS 2022년 4월 연재 – 괴테 파우스트 ‘부록(2)’ 편 참조) 이 유행에 비엔나의 왈츠 대가들까지 가세한다. 1861년 요제프 슈트라우스는 구노의 원곡을 인용한 ‘파우스트-콰드리유(op.112)’를 선보였고, 그의 형 요한 슈트라우스 2세는 3년 뒤 한술 더 떠 파우스트-콰드리유에 파우스트-왈츠와 파우스트-로망스까지 연작으로 작곡했다. …
글_채승훈(연극연출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연극에 관한 정의들은 아직도 현대연극을 지배하고 있다. 특히 그중에서도 기승전결을 가져야 한다는 그의 정의는 연극세상을 지배하는 것은 물론, 아마도 관객들의…
글_임야비(tristan-1@daum.net) 소설가, 연출가(총체극단 ‘여집합’), 클래식 연주회 기획가 코로나가 한창이던 2021년 국립극단이 올린 ‘파우스트 엔딩’을 흥미롭게 본 기억이 있다. 조광화 연출이 국립극단을 이끌고 명동예술극장에 올린 무대에서…
글_오세곤(극단 노을 예술감독, 순천향대 명예교수) 관객 관객(觀客)을 그대로 풀이하면 ‘보는 손님’이 될 것입니다. 그러나 연극 관객에 대해서는 그보다 훨씬 적극적인 해석이…
글_채승훈(연극연출가) 연극이 우리나라에서 잘 되던 때도 있었다. 1920, 30년대 신파극이나 신극이 유행하던 시대, 1960년대 말이나, 70년대 초 소극장이 활성화되던 시기를 우리나라 연극의…
글_임야비(tristan-1@daum.net) 소설가, 연출가(총체극단 ‘여집합’), 클래식 연주회 기획가 부록 제8편에서는 불세출의 종합 예술가 바그너가 18살(1831) 때 작곡한 ‘파우스트에 의한 7개의 노래(7 Kompositionen zu Goethes Faust, WWV 15) 중…
글_임야비(tristan-1@daum.net) 소설가, 연출가(총체극단 ‘여집합’), 클래식 연주회 기획가 부록 제7편에서는 파우스트 연재에서 여러 번 언급된 리스트와 슈만의 소곡을 정리해 보자. 헝가리의 리스트와 독일의 슈만은 초기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글_오세곤(극단 노을 예술감독, 순천향대 명예교수) ‘연극’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배우가 각본에 따라 어떤 사건이나 인물을 말과 동작으로 관객에게 보여 주는 무대 예술”이라고 나옵니다.…
글_임야비(tristan-1@daum.net) 소설가, 연출가(총체극단 ‘여집합’), 클래식 연주회 기획가 부록 여섯 번째로 2022년 10월 ‘100~200명이 연주하는 파우스트’에서 ‘괴테 파우스트의 정경(Szenen aus Goethes Faust)’로 소개한 바 있는 로베르트 슈만(Robert Schumann; 1810~1856)의 다른 작품을 알아보자. 양극성 장애를 앓고 있던 슈만은 조증 시기였던 1849년에 실러, 팔러스레벤, 헵벨, 뫼리케 등 다양한 시인의 작품에 짧은 음악을 붙이는 가곡을 작곡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한 달 반 만에 29곡을 완성하여 ‘어린이를 위한 노래 앨범 (Liederalbum für die Jugend)’ Op. 79를 출판한다. 그가 선택한 시 중 팔러스레벤이 작품이 총 10편으로 가장 많고, 괴테의 작품은 세 편 포함되어 있다. 이 중 파우스트를 텍스트로 작곡한 작품은 제28곡 ‘탑지기 린케우스의 노래 (Lied Lynceus des Türmers)’다. 탑지기 린케우스의 이미지. 우측 사진은 Peter Stein 연출의 파우스트 비극 2부. (2000, 하노버) 린케우스는 천리안(千里眼)의 파수꾼으로 그리스 신화 아르고호 원정대에서도 망을 보았다. 괴테 파우스트 비극 2부의 매우 중요한 조연으로 2막에서 이름이 언급되고, 3막과 5막에 등장한다. 3막에서는 아주 멀리 있는 헬레나의 아름다운 자태에 눈이 멀 뻔하고, 마지막 5막에서는 지금까지 보았던 것을 아름답게 추억하며 곧 어두워질 미래를 노래한다. 비극 2부 5막 3장 ‘깊은 밤’의 도입부에서 린케우스가 부르는 노래는 11,288행부터 11,337행까지 총 50행으로 두 번의 휴지를 갖는 긴 운문이다. 위에 인용한 텍스트는 이 중 처음부터 첫 번째 휴지까지 총 16행(11,288행~11,303행)이다. 인용하지 않은 노래의 마지막 부분은 긴 휴지 후 두 행(11,336행~11,337행)인데 ‘예전에 볼 만하다 했던 것, 수백 년 세월과 더불어 사라졌구나’로 끝난다. 이 노래 다음 4장에서 파우스트는 ‘근심’에 의해 눈이 멀고, 5장에서 마지막 대사 ‘멈추어라, 너 참 아름답구나! (Verweile doch, du bist so schön!)’를 말하고 죽는다. 그리고 마지막 7장 ‘심산유곡’에서 파우스트는 구원받고, 거대한 비극이 끝난다. 즉, 린케우스의 노래에는 이후에 벌어질 일들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극작가 괴테는 ‘먼 곳’이라는 공간과 ‘미래’라는 시간까지 볼 수 있었던 그의 눈을 통해 결말을 암시한다. 린케우스의 눈은 시공간을 초월해 만물을 보았던 파우스트의 눈이다. 영원할 것만 같았던 이 눈이 곧 감기려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KmDvAs8J_G8 슈만은 괴테 원문의 앞부분에만 음악을 붙여 3분 남짓한 가곡을 만들었다. 괴테가 원문에 ‘노래한다.’라는 지시어를 써놓았고, 대사 자체가 각운이 딱딱 맞아떨어지는 운문이기 때문에 슈만이 텍스트에 음을 붙이는 것은 무척 수월했을 것이다. 성악이 잠시 쉬는 부분에서 피아노가 린케우스의 뿔피리 또는 종탑 소리를 흉내 내는 부분이 재미있다. 그리고 파우스트의 마지막 대사 ‘멈추어라, 너 참 아름답구나! (Verweile doch, du bist so schön!)’를 강력하게 암시하는 ‘그건 무엇이었든 다 참 아름다웠어! (Es sey wie es wolle Es war doch so schön!)를 곡의 마지막에 두 번 더 강조한다. 그런데 이게 전부다. 슈만은 이 중요한 텍스트에 딱 ‘음’만 보탰다. 아무리 어린이를 위한 곡이라지만 22마디 정도의 악보는 단순하기 짝이 없고, 편평한 선율이 한 마디 또는 두 마디씩 반복된다. 피아노 반주는 성악의 음정과 박자를 동시에 복사할 뿐이어서, Lied(예술가곡)라 칭하기도 부끄러울 지경이다. 결정적으로 도돌이표를 사용해 지루한 전체 19마디를 한 번 더 노래한다. …
글_채승훈(연극연출가) 얼마 전에 한국연극협회(이하 ‘한협’) 정기총회에 대의원자격으로 참석했다. 내가 왜 대의원으로 지명되었는지도 잘 모르겠다 싶었고 앞으로 단체활동에는 관여하고 싶은 생각이 없어서 불참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