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 진흥의 기반 확립
오세곤 1. 예술 진흥의 중심 이동 예술은 국가의 필수 요소이다. 그래서 헌법에서도 예술과 예술가에 대해 명시하고 있다. 지원(支援)의 사전적 의미는 “지지하여 도움”이다. 반드시…
오세곤 1. 예술 진흥의 중심 이동 예술은 국가의 필수 요소이다. 그래서 헌법에서도 예술과 예술가에 대해 명시하고 있다. 지원(支援)의 사전적 의미는 “지지하여 도움”이다. 반드시…
<자본론> Das Kapital 연극평론가 고수진 독일의 철학자이자 경제학자 칼 마르크스가 쓴 『자본: 정치경제학 비판(Das Kapital: Kritik der politischen Ökonomie)』은 우리나라에는 『자본론』이라는 제목으로 더…
이연심(무학여자고등학교 교사)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책이라면 학교 공부는 얼마나 재미있을까 우리에게 교과서는 어떤 존재인가? 교과서를 생각하면 누군가는 교과서를 빌리러 이 학급 저…
공연명: <노인과 여자를 위한 나라는 없다> 관람일시: 2021.05.07.19:30 극장: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제목을 보고 무리다 싶었다. 감히 저 명작 영화와 견주겠다고? 오마주든 패러디든 결과는…
지난 1월 공연기획자를 목표로 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멘토링에 참여했다. 이전 같았으면 직접 얼굴을 마주하고 참가자 개개인에 대한 특성도 파악해가며 함께 이야기를…
요한 볼프강 폰 괴테 ‘파우스트 (Faust)’ – 임야비(tristan-1@daum.net) 자유기고가, 서울 신포니에타 기획 및 연출 극단 듀공아 / 극단 동맹 연출부 드라마트루그 앞선 연재였던…
공연명: <우투리: 가공할 만한> 관람일시: 2021.04.15.20:00 극장: 선돌극장 <우투리: 가공할 만한>은 내래이터가 극을 이끄는 전형적 (넓은 의미의) 서사극이다. 1, 2, 4, 5의 배우(배역)이…
요한 볼프강 폰 괴테 ‘파우스트 (Faust)’ – 임야비(tristan-1@daum.net) 자유기고가, 서울 신포니에타 기획 및 연출 극단 듀공아 / 극단 동맹 연출부 드라마투르기 드디어 1인(人)이…
이연심(무학여자고등학교 교사) 오늘은 백승무의 연재에 기대어 연극 감상과 비평에 대한, 더 정확히는 『연극 감상과 비평』 교과서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려 한다. “비평가야말로 예술가의…
<소년이 온다> 연극평론가 고수진 2014년 5월 19일에 출간된 한강의 소설 『소년이 온다』는 5.18 광주민주화운동 과정에서 숨진 소년 동호와 그를 둘러싼 6명의 이야기를 통해…
지난 2월 26일 함께 일하는 프로듀서로부터 연락이 왔다. 서울문화재단에서 ‘2021년 예술창작활동지원사업’의 선정 프로젝트 중 내가 참여하는 것으로 약속된 작품이 무사히 포함되었고, 이로써 나는…
예술 관련 법의 명칭을 보면 궁금해지는 게 있다. 왜 문화예술진흥법에서는 ‘진흥’을 쓰고 문화예술교육지원법에서는 ‘지원’을 쓰는 걸까? 더 이상한 건 문화예술진흥법에 근거를 둔 기관은…
요한 볼프강 폰 괴테 ‘파우스트 (Faust)’ – 임야비(tristan-1@daum.net) 자유기고가, 서울 신포니에타 기획 및 연출 극단 듀공아 / 극단 동맹 연출부 드라마투르기 리스트가 베토벤에게…
필자의 소개를 겸하는 두서없는 첫 글을 보내고 연재가 시작된 글에는 ‘이지은의 연극공장이야기’라는 제목이 붙었다. 누군가는 연극이라는 예술을 대하는 것에 ‘공장’이라는 단어를 더한 것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