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극단 동이 <심판의 시간>
글_오판진(서울대 강사, 연극평론가) 극단 동이는 2025년 9월 25일부터 10월 4일까지 인천역 근처 P&F 소극장에서 연극 <BLIND 심판의 시간>을 공연하였다. 100분 동안 연행된…
글_오판진(서울대 강사, 연극평론가) 극단 동이는 2025년 9월 25일부터 10월 4일까지 인천역 근처 P&F 소극장에서 연극 <BLIND 심판의 시간>을 공연하였다. 100분 동안 연행된…
글_우수진 (연극평론가) 제10회 여성연극제 연출가전으로 극단 초인의 <낙월도>(천승세 작, 이상희 각색·연출, 서울연극창작센터 서울씨어터 202, 2025.10.16.~19)가 공연되었다. 이 작품은 우리에게 <만선>으로 잘 알려진…
글_이은경(연극평론가) “공평은 사회의 근본이요, 애정은 인류의 본령이라.” 이는 국내 최초 인권운동인 ‘형평운동’의 핵심단체 형평사 창립문의 첫 문장이다. 갑오개혁(1894)으로 신분제가 공식 폐지되었지만, 조선시대…
글_백승무 무대의 에너지는 흔히 젊은이의 전유물이고 그들의 격동과 동일시되곤 하지만, 엄밀히 따지면 그 에너지는 힘의 생성과 전달, 연결, 혼합이라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글_이우정(평론가) 侯準既僭號稱王 爲燕亡人衛滿所攻奪 將其 左右宮人走入海 居韓地 自號韓王 其後絶滅 今韓人猶有奉其祭祀者 조선의 제후 준이 왕이라 칭하다가 연나라에서 망명한 위만의 공격을 받아 나라를 빼앗겼다. 준은…
글_권서의 공연이 시작되기 전, 객석에서 바라본 무대는 마치 동화 속 한 장면 같다. 객석이 어둑해지고 막이 오르면 시작하는 <맆소녀(The Silent One)>(본주 작·연출,…
글_이은경(연극평론가) 강릉 대표 브랜드공연 <로스팅 드림즈>가 재공연(2025.09.12.~13., 강릉아트센터 사임당홀)되었다. 작년 초연 당시 관객의 적극적인 호응을 얻으며 레퍼토리 발전 가능성을 충분히 보여준 이…
글_차성환(연극평론가) <엔드 월(End Wall)-저 벽 너머에는 뭐가 있을까?>(하수민 작/연출, 대학로극장 쿼드, 2025.09.10.~09.28.)는 2021년 4월 평택항에서 청년노동자 이선호 씨가 300kg짜리 컨테이너에 깔려 숨진…
글_김소연(연극평론가) 1995년 3월 20일 출근 시간 도쿄 지하철 역 곳곳에 사린가스가 들어있는 비닐봉지를 터뜨려 사망자와 사상자를 낸 테러사건이 벌어진다. 옴진리교 교주 아사하라…
글_백승무 제목 로제타, 주제 로제타, 등장인물 로제타 공연은 이렇게 시작하고 끝맺는다. “그녀 이름은 로제타, 내 이름은 000. 나는 로제타 역을 연기한다.” 무대…
글_황승경(연극평론가) 거울 앞에 선 무대와 관객 연극 <미러>는 제목 그대로 현실을 비추는 거울을 자처한다. 그러나 이 거울은 언제나 투명하고 평평한 표면만을 보여주지…
글_권서의 일제강점기를 다루는 역사극의 무대는 대체로 일제에 저항하는 영웅 서사, 민족을 배신한 반역 서사, 혹은 폭력이 남긴 끔찍한 비극 서사들로 채워진다.…
글_박병성 지난해 두산아트랩에 선정되어 소개된 <할머니의 언어사전>은 작가이자 연출인 임진희가 할머니의 언어를 찾아가는 과정을 극화한 작품이었다. 작가의 할머니는 언어를 배우기 이전에 청각을…
글_이은경(연극평론가) 1989년 ‘시월연극제’로 출발한 거창국제연극제(이하 연극제)가 올해로 35년이 되었다. 축제공화국이라는 말이 있듯이 지역에 수많은 공연예술축제가 존재하지만 35년 동안 독창적 정체성을 지키며 관객과…
글_오판진(공이모 회원) ‘극단 모시는사람들’이 제작한 연극 <춘섬이의 거짓말>이 2025년 7월 25일부터 8월 3일까지 성수아트홀에서 공연되었다. 허균이 쓴 <홍길동전>의 프리퀄에 해당하는 서사를, 김정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