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공연창작소 공간X홧김에 박문수 프로젝트 <은의 밤>
전쟁의 이미지는 언제나 압도적이다. 대부분의 경우 그 이미지는 폭력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폭력과 그 잔재는 시각적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은의 밤>(백미미 작, 박문수 연출,…
전쟁의 이미지는 언제나 압도적이다. 대부분의 경우 그 이미지는 폭력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폭력과 그 잔재는 시각적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은의 밤>(백미미 작, 박문수 연출,…
글_황승경(연극평론가) 고선웅이라는 이름 앞에는 언제나 ‘스타 연출가’라는 수식이 따라붙는다. 그가 14년 만에 내놓은 창작극 <유령>은 기대를 모았지만, 관람 후의 인상은 복잡하지 않았다.…
글_정애란(연극평론가) 2025년 대선이 끝난 지 이틀 뒤, 6월 5일, 김현탁 연출, 성북동비둘기의 <호러이쇼 Horror Is Show>가 무대에 올랐다. 2024년 12월 3일 계엄선포부터…
튕김, 그 잔잔하면서 역동적인 제목치고는 꽤 긴, 선문답 같은 <무릎을 긁었는데 겨드랑이가 따끔하여>는 연극의 성격을 잘 나타내준다. 연출가 자신의 실제 경험에서 나왔다는…
글_백승무(연극평론가) 박한별 연출은 감각적이다. 오감을 건드릴 줄 안다. 빛, 소리, 질감, 포즈, 움직임 등에 힘을 쓸 줄 안다. 감각의 힘은 양이 복잡함에서…
글_김충일(연극평론가) 연극을 보기 위해 극장에 앉아 있다 보면 중반부부터 결말이 어떻게 될지 어렴풋이 짐작이 되며 제발 그렇게 끝나지 않기를 ‘초조’한 맘으로 극을…
글_오판진(연극평론가) 2025년 5월 제24회 유니마총회와 춘천세계인형극제가 춘천시에서 열렸다. 5월 23일부터 6월 1일까지 진행된 축제 기간에 국내외 관객들의 눈을 사로잡은 주목할…
글_김충일(연극 평론가) 인간은 자연이 부여한 생명으로 삶을 살아가는 것이며, 존재에 대한 질문이나 삶의 방식에 대한 끝임 없는 의문을 던진다는 함의(含意)적 유기체이다. 그…
글_조훈성 (연극평론가) 노동절, Story Lab 쓰리랑카타이거1)의 <어금니>가 대전 ‘드림아트홀’에서 공연되었다. 오래간만에 르포 형식의 노동극 작품이 무대화되었다. 이 작품은 2021년 대전문화재단 차세대아티스트 지원사업…
글_권서의 극장 문이 활짝 열려 있다. 극장에 들어서려는 순간 바로 앞에 있는 커튼이 가로막는다. 공연장에 들어가기 전, 관객이 마주하는 첫 번째…
글_오판진(연극평론가) 극단 ‘몽중자각’이 제작한 공연 <고딩만담>이 2025년 4월 23일부터 4월 27일까지 동숭무대 소극장에서 공연되었다. 박지원 정민찬 김성진 극작가 세 명이 쓴 희곡을…
글_김충일(연극평론가) 바다에 둘러싸인 외딴 섬처럼, 인간은 누구도 완전히 이해하기 어려운 홀로 존재하는 고립된 하나의 ‘섬’이다. 그곳은 어느 누구도 침범할 수 없는 주체적인…
글_권서의 멕시코 극작가 우도 살세도의 『가객들의 여행』을 원작으로 한 극단 물결의 <돈데보이(Dondevoy): 가객들의 여행>(이하 <돈데보이>)은 1987년 벌어진 사건을 모티프로 만들어졌다. 당시 멕시코인…
글_수진(연극평론가) 삶은 치열하다. 그러나 지금 이 순간에서 살짝 빗겨서면 그다지 치열할 필요도 욕심 부릴 필요도 없는 그저 삶이다. 물론 역사는 치열하게 살아간…
글_오판진(연극평론가) 극단 ‘몽중자각’이 제작한 공연 <엄브렐러, 그 후>가 2025년 4월 1일부터 4월 6일까지 동숭무대 소극장에서 공연되었다. 선욱현 작가가 쓴 희곡을 바탕으로 김성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