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제45회 서울연극제 자유참가작 500자 리뷰
극단 전원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백승무(TTIS 편집장, 연극평론가) 무대는 빈상자로 둘러싸여 있다. 상자는 그 ‘무언가’이고 그 ‘무언가’가 가득 찬 무대는 세계 전체에 해당한다.…
극단 전원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백승무(TTIS 편집장, 연극평론가) 무대는 빈상자로 둘러싸여 있다. 상자는 그 ‘무언가’이고 그 ‘무언가’가 가득 찬 무대는 세계 전체에 해당한다.…
글_주하영(공연 비평가) 원수인 두 가문의 자식들의 열렬한 사랑, 하지만 불행한 ‘죽음’으로 끝나는 비극 이야기! 영국의 대문호 윌리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의 <로미오와 줄리엣>은 처음…
글_김충일(연극평론가) 인간은 차이를 본질로 하는 존재이기에 ‘자기 밖’으로 나가 삶을 펼쳐내고자 하는 욕망과 ‘자기 안’에서 삶을 일구다가 지쳐버리는 욕망 ‘사이의 거리’가 어떻게…
글_홍혜련 국립극단의 ‘창작공감:연출’ 기획 공연 <천 개의 파랑>은 천선란 작가의 동명의 SF 소설을 원작으로 삼아 ‘과학기술과 예술’을 주제로 약 7개월간의 개발 과정을…
글: 김충일(연극평론가) 별이 뜨는 초저녁 일곱 시 반에 ‘이해와 의미’의 촛불을 들고 ‘의심과 설명’의 동굴(무대) 속으로 찾아드는 일은 기분 좋은 일이다. 무대를…
글_배선애(연극평론가) 공연을 보고 난 후 꽤 오랫동안 마음이 무거웠다. 그만큼 잔상이 오래 남았다는 얘기인데, 왜? 무엇이? 몇 번을 복기하면서 내린 결론은 참담함과…
글_홍혜련 토미가 죽었다. 교도소에서. 너무도 갑작스럽게. 토미의 죽음의 순간은 고스란히 CCTV에 담겼고, 토미의 죽음에 책임이 있는 듯 보이는 교도관, 마커스는 자신은 규칙에…
글_양세라(연극평론가) ‘창작집단 상상두목’의 연극 <이상한 나라의, 사라>(원인진 작, 최치언 연출; 2024.02.23.~03.03)는 2023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지원하는 ‘공연예술창작산실, 올해의 신작’ 가운데 하나다. 필자는 이 작품이…
글_황승경(연극평론가) 영국의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2013년부터 매년 여성의 노동환경을 평가하는 유리천장 지수를 조사한다. 한국은 OECD 29개국 가운데 12년째 꼴찌를 도맡고 있다. 낮은 유리천장 지수는…
글_김건표(연극평론가) 일본 현대 희곡을 지속해서 무대화하고 있는 배우 고수희의 극단 58번국도는 <접수>(베츠야쿠 미노루 작), <이방인의 뜰>(카리마 카오스 작)에 이어 세 번째 작품…
글_홍혜련 이번 연도 공연예술창작산실 “올해의 신작”은 세상의 편견을 벗겨내는 작품들을 올리는 것으로 일찍부터 화제를 불러 모았다. <테디 대디 런>도 그중 하나다.…
글_김충일(연극 평론가) 겨우내 핼쑥해진 햇살이 짙은 미세 먼지에 가려져 연회색 빛으로 바뀐 갑진년(甲辰年) 입춘의 오후. 대흥동 소극장 고도 앞엔 몇 몇의…
글_김기란 2023년 공연예술창작산실 올해의 신작으로 공연된 <언덕의 바리>(2024.01.06-01.14)는 여성 독립운동가 안경신(安敬信)의 삶을 바리데기에 빗댄 공연이라고 했다. 사실 안경신은 널리 알려진 인물이 아닐…
글_주하영(공연 비평가) 인간의 뇌는 마음을 사용하는 방향에 따라 다르게 변한다. UCLA 정신의학과 교수인 대니얼 J. 시겔은 우리가 주의를 집중하는 방향이나 의도적으로 생각이…
글_홍혜련 계륵(鷄肋). 말 그대로 닭갈비다. 우리에겐 별미인 닭갈비이지만, 본래 고사에 따르면 그 양이 적어 먹자고 덤비기도 애매하고 그렇다고 버리기도 아까워 이러지도 저러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