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예술 정책의 첫걸음
글_오세곤(극단 노을 예술감독) 새 정부가 들어서고 문화부 장관도 바뀌었다. 새 정부 문화예술 정책이 과도하게 콘텐츠 중심이고 새 장관도 산업적 성향이라고 우려들을 한다.…
글_오세곤(극단 노을 예술감독) 새 정부가 들어서고 문화부 장관도 바뀌었다. 새 정부 문화예술 정책이 과도하게 콘텐츠 중심이고 새 장관도 산업적 성향이라고 우려들을 한다.…
글_임야비(tristan-1@daum.net) 소설가, 연출가(총체극단 ‘여집합’), 클래식 연주회 기획가 2023년 12월, ‘일이백 명이 연주하는 파우스트 – 부조니의 파우스트 박사(Doktor Faust)’까지 올라와서 캠프를 치고 ‘부록’편으로 충분한 휴식을 취했다. 이제 정상인 ‘천 명이 연주하는 파우스트’가 코 앞이다. 일단, 남은 일이백 명이 연주하는 파우스트를 힘차게 올라가 보자. 러시아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1891~1953)는 총 6개의 오페라를 남겼다. 안타깝게도 1919년 작 ‘세 개의 오렌지에 대한 사랑’ op.33만 종종 무대에 오르고 나머지 다섯 작품은 내용도 어렵고 말(러시아어)도 어려워 쉽게 접하기 힘들다. 이중 도스토예프스키의 동명 소설에 음악을 붙인 ‘도박사’ op.24 (1926)와 톨스토이의 대작을 오페라로 옮긴 ‘전쟁과 평화’ op.91 (1952)는 원작 소설이 엎치는데 복잡한 음악까지 덮쳐, 난해에 난감을 얹은 격이 되었다. 비록 오페라는 실패했지만, 러시아를 대표하는 두 명의 대문호 – 도스토예프스키와 톨스토이를 오선지로 옮긴 작곡가라는 타이틀을 쥔 것만으로도 큰 영광이었을 것이다. 음악이 어찌 되었든, 오페라 대본의 원작자가 뿜어내는 광휘를 무시할 수 없다. 프로코피예프는 독일을 대표하는 대문호 괴테 그리고 파우스트를 놓칠 수 없었다. 바로 1927년 작 오페라 ‘불의 천사’ op.37 에서 파우스트와 메피스토펠레스가 전격 등장한다. 오페라 ‘불의 천사’는 중세 독일을 배경으로 하지만 파우스트 이야기가 아니다. 마법에 걸려 반쯤 미친 연인 레나타를 구원하려는 기사 루프레히트의 고군분투기로, 파우스트와 메피스토펠레스는 전체 5막 중 4막에서 처음 등장한다. 실의에 빠진 루프레히트가 맥줏집에 들렀다가 마법을 부리고 있는 메피스토펠레스와 파우스트를 만난다는 설정이다. 파우스트 비극 1부 ‘라이프치히의 아우어바흐 지하 술집’의 오마주다. 앞 열 왼쪽에 지팡이를 짚고 있는 남자가 3막의 결투로 다친 주인공 루프레히트고 붉은 옷이 악마 메피스토펠레스 그리고 우측에 모자를 들고 서 있는 사람이 파우스트다. 재미있는 건 파우스트와 메피스토펠레스가 오페라의 주연인 루프레히트에게 조언하는 역할의 조연이라는 점이다. 가장 높은 남성 성부인 테너가 맡는 악마 메피스토펠레스는 ‘세상천지 남자들은 늘 술에 취해 여자 뒤나 쫓지’라며 비아냥거리고, 가장 낮은 성부인 베이스가 부르는 학자 파우스트는 ‘행복은 돈으로 살 수 없고, 사랑은 힘으로 얻을 수 없지’라는 묵직한 조언을 던진다. 이 지점에서 프로코피예프의 음악적 연출이 반짝인다. 높은 음자리표에서 테너가 부르는 메피스토펠레스(빨간 실선 박스)는 8분음표로 잔망스럽게 노닐고, 낮은 음자리표의 베이스가 부르는 파우스트(파란 실선 박스)는 2분음표와 4분음표로 묵직하게 이어진다. 재미있는 건 높은 테너의 음형을 따라가며 반주하는 악기가 저음 첼로(빨간 점선 박스)의 스타카티시모(Staccatissimo; 원음 길이의 1/4로 짧게 끊어 연주하는 기법, Staccato의 1/2)고, 낮은 베이스의 반주는 가장 고음을 맞는 제1 바이올린 독주(파란 점선 박스)라는 점이다. 오페라의 남자 주인공 루프레히트는 중간 성부인 바리톤이 맡는다. 즉, 성악부에서 위는 악마인 테너, 아래는 파우스트인 베이스에게 포위된 모양(초록색)이 되고, 기악 반주부에서는 위아래가 바뀌어 다시 한번 포위된다. 주인공에게 파우스트와 악마를 따라가는 것 이외엔 다른 선택지가 없다는 걸 각 성부의 높낮이로 구현한 기발한 음악적 연출이다. 루프레히트가 파우스트와 메피스토펠레스를 따라 퇴장하면 술집 주인과 세 명의 술꾼이 ‘아, 저 남자에게 차라리 십자가에 키스하라고 말하면 어떨까?’라는 여섯 마디를 부르며 4막을 닫는다. 이는 괴테 원작에 등장하는 아우어바흐 술집의 네 술꾼 프로슈, 브란더, 지벨, 알트마이어를 떠올리게 하는 프로코피예프의 깨알 연출이다. …
글_백승무 제목 로제타, 주제 로제타, 등장인물 로제타 공연은 이렇게 시작하고 끝맺는다. “그녀 이름은 로제타, 내 이름은 000. 나는 로제타 역을 연기한다.” 무대…
‘해맑은 상상의 바람개비’가 만들어낸 신선한 바람, <제29회 대한민국청소년연극제 밀양> -“어른들이 만들어 준 축제가 아닌 청소년이 스스로 만든 연극 축제”를 기획한 김종필 기획경영국장를 만나다.…
글_황승경(연극평론가) 거울 앞에 선 무대와 관객 연극 <미러>는 제목 그대로 현실을 비추는 거울을 자처한다. 그러나 이 거울은 언제나 투명하고 평평한 표면만을 보여주지…
글_이은경(연극평론가) 1989년 ‘시월연극제’로 출발한 거창국제연극제(이하 연극제)가 올해로 35년이 되었다. 축제공화국이라는 말이 있듯이 지역에 수많은 공연예술축제가 존재하지만 35년 동안 독창적 정체성을 지키며 관객과…
글_박병성 지난해 두산아트랩에 선정되어 소개된 <할머니의 언어사전>은 작가이자 연출인 임진희가 할머니의 언어를 찾아가는 과정을 극화한 작품이었다. 작가의 할머니는 언어를 배우기 이전에 청각을…
글_권서의 일제강점기를 다루는 역사극의 무대는 대체로 일제에 저항하는 영웅 서사, 민족을 배신한 반역 서사, 혹은 폭력이 남긴 끔찍한 비극 서사들로 채워진다.…
글_오판진(공이모 회원) ‘극단 모시는사람들’이 제작한 연극 <춘섬이의 거짓말>이 2025년 7월 25일부터 8월 3일까지 성수아트홀에서 공연되었다. 허균이 쓴 <홍길동전>의 프리퀄에 해당하는 서사를, 김정숙…
[TTIS의 새로운 코너 ‘궁금하다, 이 사람’입니다. 이 사람일 수도 있고 이 집단일 수도 있고 이 극단일 수도 있습니다. 선정 기준이 뭐냐고요. 없습니다. 그냥…
글_오세곤(극단 노을 예술감독) 진흥과 지원은 어떻게 다를까? 사전을 찾아보니 진흥(振興)은 “떨치어 일어남. 또는 떨치어 일으킴.”이고 지원(支援)은 “지지하여 도움.”이라고 되어 있다. 그러니까 지원이…
글_임야비(tristan-1@daum.net) 소설가, 연출가(총체극단 ‘여집합’), 클래식 연주회 기획가 파우스트의 음악화 대장정. 정상 목전에 베이스캠프를 차리고 지난 산행에서 놓친 음악들을 주워담는 시간을 가졌다. 이제 리스트, 라프 그리고 잊힌 파우스트 작곡가들을 정리한 후 ‘부록’ 캠프를 끝내고자 한다. [1] 리스트의 작은 곡들 자신이 메피스토펠레스이자 파우스트라 생각했고, 더 나아가 괴테가 되고 싶었던 작곡가 프란츠 리스트. 장장 5년에 걸친 ‘음악으로 듣는 연극 – 파우스트 편’에 가장 많이 등장했음에도 아직 관련 작품이 남았다. 뛰어난 편곡가이기도 했던 리스트는 다른 작곡가의 음악은 물론, 자기 작품도 다양하게 편곡했다. 자신의 가곡 ‘툴레의 왕 (S.278/1)’을 성악 없이 피아노 연주곡으로 편곡한 ‘노래 책 1권(Buch der Lieder I)’의 제4곡 리스트 작품 번호 S.531/4도 그러한 예 중 하나다. 노래 부분을 피아노 선율로 옮겼기 때문에 어딘가 빈 느낌이 나지만, 무언가(無言歌)의 휑한 분위기가 전혀 다른 연극적 효과를 낸다. 가곡(S.278/1)이 무대 위 등장인물 그레트헨이 부르는 노래와 정서를 직접적으로 표현한다면, 피아노 연주곡(S.531/4)은 그레트헨의 방이라는 무대적 공간을 만들어낸다. https://www.youtube.com/watch?v=o3xmU4m1-vc&list=RDo3xmU4m1-vc&start_radio=1 바단조 3/4박자가 부드럽게 바닥 공사를 하면 그 위로 부점이 강조되는 멜로디 라인이 얹힌다. 36마디 전조되는 부분에서 공간이 잠시 환하게 확장하지만, 다시 원조로 돌아와 무대가 흔들리기 시작한다. 이후 조금씩 추락하는 공간은 기교적인 아르페지오를 지나 조명이 옅어지듯 점점 작아진다. 마지막 94마디에 이르러 그레트헨의 가난한 방은 그녀의 운명처럼 완전히 소멸한다. 4분 남짓한 음악은 뚜렷한 종지음 없이 끝나는데, 평생 낭만 가득한 삶을 산 리스트의 멋들어진 마무리다. …
[TTIS의 새로운 코너 ‘궁금하다 이 사람’을 시작합니다. 이 사람일 수도 있고, 이 집단일 수도 있고, 이 극단일 수도 있습니다. 선정 기준은 뭐냐고요? 없습니다.…
글_이연심(호서대학교 공연예술학부, 한국연극교육지원센터, 오늘의서울연극 편집위원) 2024년 3월에 폐관했던 ‘학전(學田) 소극장’이 올해 7월4일 ‘아르코 꿈밭극장’이 되어 재개관하였다, ‘배움의 밭’이 ‘관객과 창작자의 꿈이 움트는…
글_우수진(연극평론가) <춤추는 립스틱>은 지난 7월 4일에서 6일까지 대학로 이음센터 이음홀에서 공연되었다. 이 작품은 주연을 맡은 김진옥 배우가 직접 쓴 자전적 내용의 희곡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