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 관람의 걸림돌
글_오세곤(극단 노을 예술감독, 순천향대 명예교수)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의 문화향수실태조사를 보면 예술 관람의 장애 요인은 시간부족과 경제적 부담이 대표적입니다. 그러나 연극은 이에 더해 어렵고 재미없다는…
글_오세곤(극단 노을 예술감독, 순천향대 명예교수)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의 문화향수실태조사를 보면 예술 관람의 장애 요인은 시간부족과 경제적 부담이 대표적입니다. 그러나 연극은 이에 더해 어렵고 재미없다는…
글_황승경(연극평론가) 영국의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2013년부터 매년 여성의 노동환경을 평가하는 유리천장 지수를 조사한다. 한국은 OECD 29개국 가운데 12년째 꼴찌를 도맡고 있다. 낮은 유리천장 지수는…
글_김건표(연극평론가) 일본 현대 희곡을 지속해서 무대화하고 있는 배우 고수희의 극단 58번국도는 <접수>(베츠야쿠 미노루 작), <이방인의 뜰>(카리마 카오스 작)에 이어 세 번째 작품…
글_홍혜련 이번 연도 공연예술창작산실 “올해의 신작”은 세상의 편견을 벗겨내는 작품들을 올리는 것으로 일찍부터 화제를 불러 모았다. <테디 대디 런>도 그중 하나다.…
글_김충일(연극 평론가) 겨우내 핼쑥해진 햇살이 짙은 미세 먼지에 가려져 연회색 빛으로 바뀐 갑진년(甲辰年) 입춘의 오후. 대흥동 소극장 고도 앞엔 몇 몇의…
글_장용철(극단 작은신화, 좋은희곡읽기모임 대표) 배우가 무엇을 하는 사람인가를 묻지를 않고, 우리가 어떻게 연기를 하는가를 묻지를 않고, 배우가 어떻게 진짜를 하느냐! 라고 말했습니다. 그게…
글_임야비(tristan-1@daum.net) 소설가, 서울 신포니에타 기획 및 연출 극단 듀공아, 외계 공작소, 동맹, 아레떼 연출부 드라마투르그 정상에 오르기 직전 야무지게 지난 산행을 정리하는 ‘부록 4’다. 이번 연재에는 ‘2인(人)이 연주하는 파우스트’에서 지나쳤던 가곡들 중 휴고 볼프(Hugo Wolf)가 1878년에 작곡한 ‘슬픔의 성모 앞에 그레트헨’을 집중적으로 분석해 보자. 오스트리아 출생의 볼프는 서양 예술가곡사(史)에서 슈베르트의 계승자로 칭송되는 매우 중요한 가곡 작곡가다. 동갑내기 친구인 구스타프 말러와 함께 바그너와 브루크너에 열광했던 볼프는 빈 음악원을 뛰쳐나와 독학으로 음악을 공부했다. 그의 여생은 신경 매독과 양극성 장애(조울증) 그리고 숱한 자살 시도로 완전히 황폐화 되었다. 1903년, 결국 볼프는 정신병원에 갇힌 채 사망했지만, 심오한 미학을 품은 500여 곡의 예술가곡은 불멸의 음악으로 남았다. 예민함과 심오함. 볼프의 예술가곡을 대표하는 두 단어다. 이런 묵직함 때문에 일반 청자가 볼프의 음악에 쉽게 접근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그의 정교한 미학 원리를 한 번만 이해하면, 가늠하기 힘든 깊이로 단번에 빠져들게 된다. …
글_홍혜련 계륵(鷄肋). 말 그대로 닭갈비다. 우리에겐 별미인 닭갈비이지만, 본래 고사에 따르면 그 양이 적어 먹자고 덤비기도 애매하고 그렇다고 버리기도 아까워 이러지도 저러지도…
글_주하영(공연 비평가) 인간의 뇌는 마음을 사용하는 방향에 따라 다르게 변한다. UCLA 정신의학과 교수인 대니얼 J. 시겔은 우리가 주의를 집중하는 방향이나 의도적으로 생각이…
글_김기란 2023년 공연예술창작산실 올해의 신작으로 공연된 <언덕의 바리>(2024.01.06-01.14)는 여성 독립운동가 안경신(安敬信)의 삶을 바리데기에 빗댄 공연이라고 했다. 사실 안경신은 널리 알려진 인물이 아닐…
글_배선애(연극평론가) 작품의 부제목이 흥미롭다. ‘외국인이 춘향전을 연기한다면?’ 춘향전을 외국인이? 왜? 무엇 때문에? 어떤 역할로? 호기심이 마구 생겨나는 문장이다. 그만큼 발상이 도발적이기도…
글_오세곤(연극평론가) 작년 말부터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공연 중인 <고도를 기다리며>(사무엘 베케트 작, 오경택 연출, 신구 박근형 박정자 김학철 김리안 출연, 2023.12.19.~2024.2.18., 국립극장 달오름극장)는…
글_양세라 얼마전 연극 <누구세요?>(박승원 연출, 20214.1.24~28)는 ‘늘푸른연극제’에서 공연되었다. 8회째 진행된 ‘늘푸른연극제’는 원로연극인 가운데 한국 연극사에 기여도가 높은 극작가, 연출가와 배우 외 연극인들을…
글_오세곤(극단 노을 예술감독, 순천향대 명예교수) 학교예술강사 제도의 정상화 촉구 우리 헌법은 제9조에서 예술과 예술가에 대해 명시하고 있다. 헌법 제22조 ①모든 국민은 학문과…
글_채승훈(연극연출가) 1970년대 초반까지 연극을 위한 전용 공공극장은 없었다. 단 하나 충무로5가 골목길, 성만여자상업고등학교 옥상 가건물에 ‘연극인회관’이 있었다. 당시 일반극단은 물론 대학극단 작품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