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TIS 한담만문] 서울연극제 이야기/ 백승무

(TTIS 한담만문)

               

서울연극제 이야기

백승무(TTIS 편집주간 대행)

지난 몇 년간 서울연극제에 쏟아진 비난은 과도한 것이었다. 작품뿐만 아니라 기획력과 심사까지 싸잡아 얻어맞았다. 욕도 운과 율에 맞아야지, 무진장 퍼붓는다고 약이 되는 건 아니다. 작품성에 대한 논란이 특히 더했다. 국내창작극만으로 연극제를 치러온 주최 측으로서는 억울한 구석이 많다. 눈 가리고 다리 묶고 뜀박질을 하려니 허덕댈 수밖에. 창작극의 수준이 딱 거기까지인데, 개별 작품에 발분하기보다 ‘제도’와 ‘사무국’에 분노를 집중시켰다. 서울연극제는 동네북이 되었고, 심하게 말하면, 한국연극의 불운과 불행을 처리하는 하수구가 되었다.

지젝(Zizek) 식으로 말하면, 서울연극제를 ‘까는’ 행위는 ‘나’의 욕망과 한국연극의 지향점을 하나로 통합할 수 있는 ‘숭고한 행위’였고, ‘나’는 온갖 지엽말단을 제쳐두고 숭고한 대상을 위한 일전을 치름으로써 스스로를 정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숭고한 대상에 몰입했던 것은 한국 창작극의 비루한 현실을 마주하기보다는 차라리 연극제를 비난하는 것이 심리적으로 훨씬 덜 불편했기 때문이다. 제도에 과도한 비난을 가함으로서 가혹함의 부담을 덜고 상황을 통제하고 있다는 안도감을 느낀 것이다.

올해 서울연극제는 장막을 걷고 빗장을 풀었다. 번역극과 재공연까지 경연작으로 받아들였다. 창작극 진흥의 보루라는 장손 콤플렉스는 내던진 셈이다. 창작극 특화 축제에서 한국연극 대표선수로 승격했다. 예술감독이 일을 시작했고, 다양성이라는 화두도 던졌다. 예년보다 나았다는 평가도 꽤 있다. 하지만 그건 착시에 불과하다. 구역확장에 따른 자연증가분일 뿐이다. 개별 작품은 여전히 별 볼일 없었다. 그렇다고 ‘숭고한 대상’을 위한 성전을 치를 생각은 없다. 제도나 사무국이 사람이 아니라고 표적으로 삼는 것은 비윤리적이다. 감정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연극제로 비난의 화살을 날리는 건 올바르지 않다. 그 대신 한데로 제쳐둔 온갖 ‘지엽말단’(?)들에 대해 말해야 한다. 개별 작품 하나하나를 비판해야 하고, 극작술과 연출술, 연기술에 대해 논쟁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연극제를 통해 한국연극의 민낯을 응시할 용기가 있어야 한다.

축제는 인프라의 외화이며 실력의 총화이다. 그 자체로 결과이고 목표이지, 자격증 시험이 아니다. 볼품없는 출품작으로 명품 연극제를 만들라는 건 억지이다. 선정위원들이 명작을 떨어뜨릴 만큼 괴팍할 리 없고, 졸작을 붙일 만큼 무모할 리도 없다. 다행히 서울연극제는 성공을 위한 많은 요소를 갖췄다. 괜찮은 공연장이 있고, 넉넉한 관객층이 있고, 호들갑이 장전된 평단이 있고, 팡파르 불어댈 언론이 있다. 딱 두 가지가 없다. 좋은 작품, 그리고 돈이다. 사무국이나 예술감독에게 오병이어의 기적을 바랄 일이 아니다. 예술감독 자리엔 방석만 놓여있어도 된다. 연극제는 결국 용병술보다 개인기다. 개별 작품의 때깔이 좋아야 전략이든 작전이든 가능하다. 만두는 속맛이고 비빔밥은 나물맛, 그리고 연극제는 작품맛이다. 재료가 맛을 결정한다. 결국 ‘작품’이다.

One thought on “[TTIS 한담만문] 서울연극제 이야기/ 백승무

  1. 우선 백승무교수의 대행취임을 축하합니다. 개인적으로 “계속 맡아주십요” 하는 부탁을 들이고 싶습니다. 지금 연극계는 전반적으로 새로운 수혈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그리고 선거도 끝나서 ‘탈정치화’의 좋은 기회입니다. 더구나 신선한 글쓰기를 하는 분이라 새로운 TTIS가 될 것으로 기대되기도 합니다.
    간단히, 왜 백대행이 ‘결국 작품이다’를 외치는가를 충분히 이해합니다.
    하지만 서울연극제는 한때 서협회장의 ‘선거보너스’ 축제로 전락한 적이 있습니다. 회장 당선자가 이를 ‘전리품’으로 이용해 작품선정, 시상이 이루어지곤 했습니다. 그래서 이 때문에 내가 목소리를 높인 적이 있으며, 이를 기화로 내가 엉떠리지만 글을 쓰기 시작한 것도 사실입니다.
    그래서 저는 지금 연극제에 ‘예술감독’이 취임한 것만 해도 대단한 경사라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물론 그렇다고 연극제가 하루아침에 질적으로 고양되는 것은 아닐 겁니다. 하지만 이런 전리품으로 전락될 때 연극계는 ‘희망’을 가질 수 없다는 사실입니다.
    이제사 우리 모두가 나서서 어떻게 하면 질적인 수준을 높일 수 있을까를 고민할 시간과 공간을 갖게 된 게 사실입니다. 물론 이는 한국연극의 전반적인 질적향상과 직결된 일일 겁니다. 우리 모두 고민해 봅시다. 절대 쉽고 간단한 일이 아니라는 걸 직감할 수 있을 겁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