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형 작 연출의 <만주전선> / 오세곤

(천자평)

박근형 작, 연출의 <만주전선>

오세곤(순천향대 교수, 공연과 이론을 위한 모임 대표)

 

관람일시: 2014년 8월 21일 오후 8시

장소: 소극장 시월

박근형의 연극은 불편하다. 그러나 때로 그 불편함은 우리가 꼭 감수해야 하는 그것이다. 그래서 그의 연극은 필요성을 인정받는다. 사실 연극이 추구하는 “감동”의 뜻이 “마음의 움직임”이라면 “불편해지는 것” 역시 “감동”일 터이니 박근형의 연극은 기본 요건을 갖춘 셈이다. <만주전선>은 핏줄을 중시하는 우리 정서에 크게 반한다. 극의 내용대로라면 경주이씨 국당공파 38대손으로 입적된 아이, 즉 극중 내레이터 역의 아버지는 일본인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사생아이고, 그 생모는 일본인에게 차별받으면서도 철저히 일본인이 되고자 했던 여인이다. 순혈주의와 단일민족을 신봉하는 입장에서는 절대 인정할 수 없는 일이다. 아주 사소한 이야기도 상대방이 싫어할 것 같으면 피해 주는 게 일반적이다. 그러나 박근형은 엄청난 이야기를 눈 하나 꿈쩍 않고 면전에 들이댄다. <청춘예찬>도 그랬고 <대대손손>도 그랬다. 그 동안 만주는 독립운동의 성지로만 여겨졌다. 그 만주가 우리 지식인 청년들의 친일, 아니, 일본에 대한 찬양과 숭배의 현장으로 등장한 것이다. 참으로 인정하기 싫은 불편한 사실이 아닐 수 없다. 그렇다. 만주에는 독립군도 있었지만 만주사관학교를 필두로 수많은 친일 부역자들도 있었다. 아마도 실제로는 전자보다 후자가 훨씬 많았을 것이다. 당대에는 전자의 활동은 불법이었고 후자의 활동은 합법이었을 테니 당연하지 않겠는가. 다만 현재는 전자의 활동은 당당하게 드러내지만 후자의 활동은 교묘하게 은폐되어 있을 뿐이다. 이런 집단 망각 내지 본능적 왜곡에 대해 박근형은 감히 악역을 자처하고 나선다. 그것은 마치 자신의 못난 모습을 구태여 외면하는 얼굴 앞에 잔인할 정도로 집요하게 거울을 들이대는 것 같다. 그렇다. 자신을 정확히 아는 것은 모든 행동의 출발점이다. 그러니 박근형은 아주 필요한 일을 하고 있는 셈이다. 그런데 문제는 그 불편한 일의 효과이다. 과연 관객들은 연극을 보면서 느낀 불편함을 통하여 진정한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고 그것을 토대로 새로운 태도를 취하게 될까? 만약 그렇다면 작품은 성공이다. 그러나 한 마디로 <만주전선>은 그 정도까지 이르진 못 하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 충격 효과가 약하기 때문이다. 내레이터는 여러 차례 자기 아버지의 생부가 일본인이라는 사실을 밝힌다. 불편함의 분산이다. 만약 아무 의심 없이 진행되도록 하다가 마지막 순간에 일본인의 핏줄임을 알게 되었더라면 정말 충격과 분노가 크지 않았을까? 사생아의 양부가 되는 아스카는 만주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장교로 임관한다. 독립군을 토벌하다 해방 후 한국군으로 공산군과 싸우게 되는 그의 이력은 박정희 전 대통령을 생각나게 한다. 그런데 우리 현대사의 얼룩을 고스란히 축약하고 있는 듯한 그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약하다. 물론 몇 마디 암시만으로도 충분히 강하게 전달될 것이라 판단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설령 그렇다 해도 인물의 성격 자체가 불분명한 것이 약점이다. 물론 철저히 일본화하려고 하면서도 결국 조선 사람일 수밖에 없는 정체성 혼란을 나타내기 위해서라고 할 수도 있지만 그것조차도 분명한 성격으로 드러내야 연극적으로 유효하다. <만주전선>은 박근형다운 뛰어난 발상을 토대로 한다. 그러나 이후 전개는 별로 충격적이지 못 하다. 충격이 약한 불편함은 관객들을 움직이기 어렵다. 관객들은 그냥 남의 이야기를 들은 듯이 이성적으로 고개를 끄덕일 뿐이다. 이 정도로는 연극의 할 일을 다 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더욱 강하고 더욱 미세하고 더욱 뜨겁고 더욱 차갑고 더욱 높고 더욱 깊은 박근형표 연극이 나와 주기를 기대한다.

***박근형 작・연출, <만주전선>의 다른 리뷰 보러가기

이주영, “사쿠라 아이들의 신념 – <만주전선>” (제 46호 수록)  http://3.39.255.51/?p=1998

오민아, “만주국 조선인 고등 관료의 후예” (제 47호 수록) http://3.39.255.51/?p=2116
장윤정, “황망한 웃음이 만연한 시대” (제 47호 수록) http://3.39.255.51/?p=2118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