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주14552015/ 최세아

피의 역사 – <숙주14552015>

최 세 아

원작: 신명순 <전하>
각색: 송형종
연출: 송형종
단체: 한국영상대학교 연기과
공연일시2015. 01. 26 ~ 2015. 01. 28
공연장소예술공간 서울
관극일시2015. 01. 27. 8pm.

 

숙주 14552015는 서울연극협회가 주관하는 대한민국 연극 브릿지 페스티벌의 참가작 중 한 작품이다. 올해로 2회를 맞이한 브릿지 페스티벌은 현장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공연예술가와 연극을 전공한 졸업생들을 이어주는 가교이자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프로의 세계로 입성하기 전에 대학로 무대를 미리 경험해볼 수 있다는 것은 졸업생들에게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기회일 것이다. 아직 2회에 지나지 않지만 많은 장점으로 인하여 올해에도 많은 학교에서 참여 신청을 하였고 예선을 통해 선별된 14개의 팀이 본선에 진출하였다.

숙주 14552015는 신명순의 단막 <전하>를 각색한 작품이다. 원작이 일반적인 극중극의 형식을 갖고 있다면 숙주 14552015는 연극과 영상을 결합시킨 또 다른 형식의 극중극을 보여준다. 원작에서 학자는 극을 열어줌과 동시에 작가가 작품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의도를 드러내는 인물이다. 학자의 말을 통해서 관객들에게 사유의 공간을 제공한다면, 숙주 14552015에서는 병풍 위로 흐르는 자막이 그 역할을 대체하고 있다. 연극과 영상의 접목은 더 이상 새로운 연출 기법이 아니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 영상 활용의 미덕은 확장성에 있다. 영상의 역할이 단순히 관객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막에서 벗어나 극의 한 축이 되어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영상은 브레히트의 ‘소외 효과’와 동일한 의도를 지닌 채, 관객들이 극에 몰입하는 것을 끊임없이 방해한다. 관객들이 인물에게 객관적인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여 560년 전의 정치권력과 오늘날의 정치권력이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느끼게 한다. 건국 이전부터 현재까지의 모습을 파노라마처럼 흘려보내기도 하고, 중간 중간에 노래를 삽입하는가 하면 마지막에 이르러서는 관객에게 말을 걸기도 한다. 영상의 역할이 확장되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둘 수 있지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병풍 위의 자막이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병풍과 자막 색깔의 배색의 문제로 관객들에게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다. 이 점을 보완한다면 더 효과적으로 주제를 전달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언뜻 보면 공연은 신숙주와 세조를 옹호하는 것처럼 보인다. 성삼문과 신숙주의 아내가 내세우는 논리는 단지 명예에만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신숙주와 세조가 내세우는 논리는 변화하는 시대에 낡은 관습은 버리고 향상되고 개선되어야 할 국민 생활이 있다는 등의 다채로운 대사를 읊어대고 끊임없이 고뇌한다. 이들의 말은 굉장히 합리적으로 들린다. 신숙주와 세조의 대화를 듣고 있자면 변화를 두려워하여 머물기 바라는 사육신들에게도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가 싶기도 하다. 그러나 작가는 신숙주가 세조와 결탁하는 과정을 보여주면서 우회적으로 문제를 삼고 있다. 모든 인물이 역사의 희생양인 것처럼 끌어안고 있어서 관객에게 판단의 몫을 넘겨주는 것 같지만 오히려 작가의 의도는 분명해 보인다. 신숙주가 동료들의 죽음 앞에서 정당하지 못한 권력과 결탁한 자신을 스스로 합리화 시켜 나가고, 권력을 쥔 자들이 자신의 행동들을 정당화하기 위하여 어떠한 언어를 사용하고, 피지배층을 어떻게 설득하고 있는지를 치밀하게 보여준다. 적극적인 관객들의 참여를 요하는 지점이다.

역사는 피의 역사이자 약육강식의 역사이다. 많은 희생자들의 피 위에 세워진 역사임을 나타내려는 듯이 무대 사면의 틀에는 물이 흐르고 있다. 투명했던 물들은 사육신이 도륙되는 장면에서 핏빛으로 물든다. 세조와 신숙주는 많은 희생자들의 피와 눈물을 밟고 서 있는 장면은 이 공연에서 가장 뛰어난 장면이었다.

양복에 와인 등 공연 배경과 무관해 보이는 소품이 사용되고 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과거를 이야기하고 있지만 오늘날에 가져와서 대입해도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는 의도로 해석해볼 수는 있다. 물론, 원작에서는 현대 의복을 입는 이유, 궁중어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가 분명하다. 배우들이 연구하려는 목적에 부작용을 일으킬 정도로 대단한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학자의 이러한 대사들이 공연에서 배제되면서 관객에게 불친절해졌다. 원작을 읽지 않은 관객들에게도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공연이었으면 좋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첫 발을 내딛는 학생들이 배우가 되어 무대에 서서 관객과 만났다. 프로의 무대보다는 분명히 부족한 점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들의 첫 걸음에 모두가 응원을 해주리라 믿는다. 공연을 통하여 관객들은 젊은 배우들이 가진 에너지와 그들의 성장 가능성을 발견했을 것이다. 이러한 면에서 대한민국 연극 브릿지 페스티벌이 회를 거듭하여 이어지기를 바란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