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백다방/ 김태희

상처의 복기와 마주함, 화해를 위한 조건들 – <흑백다방>

김태희

작 : 차현석
연출 : 차현석
단체 : 극단 후암
공연일시 : 2015/2/4~11
공연장소 : 스튜디오76
관극일시 : 2015/2/9

 

작품과는 조금 먼 곳에서부터 이야기를 시작하려 한다. 매년 대학로에서는 크고 작은 페스티벌이 개최된다. 국공립 기관에 의해 지원을 받아 개최되는 덩치 큰 페스티벌들이 있는가 하면, 열악한 소극장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페스티벌들도 있다. 이미 수십 년 째 지속되고 있는 페스티벌이 있는가 하면, 단발적인 행사로 끝나는 경우도 왕왕 있다. 페스티벌이 허물어지고 흐지부지 되는 것은 비단 자본의 문제하고만 결부 될 수는 없는 문제다. 열악한 환경일지라도 독특한 컨셉과 명확한 지향점이 있는 경우 페스티벌이 살아남을 가능성은 높아진다.
2인극 페스티벌은 올해로 15회를 맞이하며 제법 긴 생명력을 보여주고 있는 페스티벌 중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 애초에 2인극 페스티벌이 열악한 연극 제작 환경을 극복해보겠다는 의미에서 가장 극한의 조건에 몸을 던진다는 컨셉으로 시작된 만큼, 2인극 페스티벌은 엄청난 자본이 투자되는 행사는 아니다. 그럼에도 이 페스티벌이 지속 될 수 있었던 것은, 행사 주최 측이 – 비록 눈에 띄게 새롭지는 않더라도 – 매년 다른 주제와 테마를 제시했고, 그 테두리 안에서 페스티벌을 꾸려 왔던 덕분이다. 여러 가지 운영상의 문제점은 차치하더라도 이들이 보여주는 작품들은 각각이 의미 있는 작품들이었다.
특히 2014년 2인극 페스티벌은 창작극을 주제로 진행되었고, 덕분에 여러 극단에게 다음 작업을 위한 준비의 단계를 마련해주기도 했다. 극단 M. Factory의 <잠수괴물>도 뮤지컬로 확장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 2인극 페스티벌의 무대를 선택했고, 극단 신기루만화경의 <헤드락>도 2인극 페스티벌에서의 작업을 바탕으로 작품을 가다듬어 최근 관객들과 다시 만났다. 이처럼 2인극 페스티벌은 참여한 작품들과 이들의 성장을 통해 끊임없이 자기 존재를 증명해나가고 있다.

<흑백다방>은 2014년 2인극 페스티벌에서 가장 안정적인 완성도를 보여주는 작품이었다. 다방. 참 오랜만에 듣는 단어다. 적어도 수 십 년 전에 시간이 멈춰 버린 것 같은 다방에서, 성호는 커피를 팔고 손님들에게 상담을 해주는 일을 한다. 이런 평화로운 일상을 깨트리고 그 틈을 비집는 것은 상호다. 어딘지 병적이고 불안해 보이는 상호는 등장부터 평화로운 다방과 불협화음을 빚어낸다. 삐딱하고 엇나가는 대화 끝에 성호와 상호가 고문 경찰과 피의자의 신분으로 악연을 맺게 되었다는 사실, 그로 인해 상호가 입었던 육체적, 심리적 상처가 관객들 앞에 실체를 드러낸다. 상호는 이제 성호의 가식을 비웃고 그의 아내의 유골을 들고 도리어 그를 도발한다. 찔러 보라고 아예 칼 까지 쥐어 준다. 관객들이 쉽게 예상하는 식, 요컨대 성호가 상호를 찌르거나 도발 당한 상호가 성호를 찌르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누구도 승자가 될 수 없는 대치 상황, 그 아슬아슬한 경계를 넘나들며 극은 결말을 향해 치닫는다.
한 사람을 향한 미움의 감정은 어떻게 풀어지는 것이고, 내 안의 상처는 어떻게 치유되는 것일까. 상처 받는 일에 익숙하고 용서 해주는 일에 너그러운 사람은 없다. 들춰낼수록 아픈 것이 상처이기에 상처를 복기하고 용서를 길어 올리는 일은 늘 어렵다. 작품은 두 인물이 만들어내는 화해의 여정을, 투박하고 서툰 감정의 변화들을 섬세하게 포착해내고 있다.
거칠게 이 둘의 관계를 정리하자면 성호는 폭력사건의 가해자고 상호는 피해자다. 하지만 이 둘의 관계는 보다 복잡하다. 상호가 성호의 다방에 나타나 과거의 기억들을 들추어 낼 때까지 잔인한 폭행사건에 대한 상처를 밝힐 때까지 상호는 분명 피해자다. 하지만 그가 들고 나타난 것은 성호 아내의 유골이다. 그 순간 상호는 성호에게 아픈 곳을 건드리며 그의 증오를 사고 만다. 이제 상처 받은 두 남자와 증오만이 남는다.
극단까지 치달은 두 남자는 어떻게 화해하게 되는 걸까. 귀가 안들리는 상호가 애타게 경찰에게 도움을 요청하지만, 그의 신고는 경찰들에게 그저 장난전화에 불과하다. 전화기를 붙들고 애원하다가 화내다가를 반복하는 상호를 보며 성호의 증오는 자연스럽게 힘을 잃는다. 인간 대 인간, 날것으로 서로 마주하자 증오 대신 애처로움이 자리한다. 나와 네가 다르지 않다는 사실, 서툴게 시작된 자각은 결국 이 둘을 이해의 과정으로 접어들게 만든다. 이를 가장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은 옷을 바꿔 입는 장면이다. 아내의 유골을 묻어주기 위해 성호는 상호의 옷을 입고 떠나고 혼자 남은 상호는 어색하게 다방을 맴돈다. 성호처럼 커피를 따라 마시고 안경을 쓰고 옷을 입은 채로. 마치 그를 위해 대신 그의 빈자리를 메우 듯 행동하는 성호의 모습은, 어쩌면 성호가 오랫동안 이 증오를 내려놓고 싶었을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의미하는지도 모르겠다. 그렇기 때문에 마지막에 등장하는 노래 부르기 장면은 화해를 암시한다는 측면에서 반복되는 인상을 주지만 반드시 필요한 장면이기도 했다. 귀가 들리지 않는 상호를 위해 성호가 노래를 불러주고, 상호가 이를 따라 부른다. 이제 상호 혼자 성호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 둘이 마주 보고 서로를 이해한다. 이 장면은 분명 지난한 증오와 갈등 끝에 빚어낸 힘겨운 화해의, 눈부신 결말이다.

작품은 시작부터 끝까지 다양한 복선과 오브제들을 활용하고, 배우의 작은 움직임조차 의미 없이 소비하는 법이 없다. 공연 시간과 비슷한 속도로 타 들어가는 향, 묵직하게 떨어지는 가방, 비에 젖은 옷, 덧칠해지는 그림까지. 다만 이 모든 것들을 짚어주고 진행하는 탓에 어딘지 늘어지는 템포는 조금 아쉬움으로 남는다. 늘 암시되는 사건보다 때로는 불현 듯 눈앞에 떨어지는 경악이 더 생생하게 다가올 때가 있으니 말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