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기의 공연산책 2017년 2월 공연총평 + 공상집단 뚱딴지 공연평/ 박정기

박정기의 공연산책 2017년 2월 공연총평

 

 

2월에는 차가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연극인들의 열정과 노력이 제대로 무대에 구현된 자랑할 만한 공연이 많았다. 2월 공연총평과 산울림 고전극장 평, 전 훈 사실주의 희곡전평, 그리고 공상집단 뚱딴지의 공연작 평을 별도로 게재한다.

 

1, 극단 시월의 요코우치 켄스케 작 김문광 번안 김영록 연출의 하카나

동양예술극장 3관에서 극단 시월의 요쿠우치 켄스케(横内謙介) 작, 김문광 번안, 김영록 연출의 <하카나>를 관극했다.

요코우치 켄스케(横内謙介)는 1961년 생으로 극단 도비라 좌의 단장, 극작가, 연출가, 프로듀서다. 고등학교 시절에 처녀작 <도룡뇽이다~!>로 전국고등학교연극대회에서 우수상을 수상하고. 와세다 대학 재학 중 극단 선인회의 설립(그 후 도비라 좌로 개명했다. 수퍼가부키<신삼국지> 삼부작, 후쿠오카 메세에서 열린 국민문화제 개회식 이벤트 <인생호>를 구성연출하고, 애지구 엑스포 어트랙션 구성연출. 와세다 대학 연극학과 출강. 2006년 7월, CX의 TV드라마 <단도리 Dance &Drill>의 각본 집필. 2007년 현재, 일본극작가협회 부회장이다.

1992년, <우자에게는 보이지 않는 라만차의 벌거벗은 임금님>으로 제36회 기시다 희곡상 수상. 99년, 수퍼 가부키 <신삼국지>로 제28회 사상 최연소 오타니상 수상. 창작극 <신 라쇼몽>, <우자에게는 보이지 않는 라만차의 벌거벗은 임금님>, <동화의 관>, <드릴혼> <수퍼 가부키 팔견 전>, <신 다케 토리 모노카타리>, <신 삼국지>, <21세기 가부키구미>, <용신전> <리본의 기사>, <불새>, <마녀의 택배>, <SAY YOU KIDS>, <카르멘이라 불린 여자>, <뮤지컬 드릴> 등 <TV드라마: 단도리~Dance&Drill>기타, 희곡집, 에세이집 등 다수 작품을 발표했다.

김영록은 <끝없는 아리아> <빨간 피터의 고백>, <봄봄>, <아버지> <그것은 목탁구멍 속의 작은 어둠이었습니다.> <동화의 관> 등에서 탁월한 연출기량을 발휘한 발전적인 앞날이 예측되는 연출가다.

무대는 일본식 2층 가옥과 그 앞마당이다. 무대 좌우에 2층으로 오르는 계단이 있고 아래 위층의 방 앞에는 테라스 같이 난간이 달린 마루가 있다. 한지를 바른 격자무늬의 여닫이문이 달리고, 이층 창문에는 매화의 그림이 눈길을 끈다. 무대 좌우에도 등퇴장 로가 있고, 무대 중앙에 주사위 놀음을 하도록 긴 다리가 사각의 높은 판이 있다. 아래층 방은 남녀의 밀착과정이 그림자와 교성으로 연출된다. 일본 에도시대인 듯 무사와 낭인, 불한당이 노름꾼으로 등장하고, 곱사등과 애꾸, 유곽의 여인들, 그리고 인간과 요괴가 함께 등장하고 요괴의 해설로 연극의 시작부터 마무리까지 진행된다.

노름의 여신 격인 요정의 절대적인 지원을 받는 낭인이자 무사인 스즈지로는 노름의 귀재라는 소리를 듣는다. 그러니 노름에서 진 적이 없다. 심지어 붉은 색 머리칼의 남성 요괴와의 노름에서까지 이겨, 하카나라는 절세미녀를 얻게 된다. 그런데 하카나는 시체의 조각을 모아서 만든 여성조형물이기에 일정한 기일이 지나야 제대로 사람구실을 한다. 그 기간은 100일로 설정된다. 연극 역시 100일 동안의 이야기로 스즈지로와 하카나의 감동적인 사랑이 이루어지기까지가 내용이다. 하카나는 하루하루가 다르게 아기 같은 의식에서 출발해 아동으로 그리고 사춘기를 거쳐 성인과 같은 의식과 지성의 소유자로 변모한다. 그리고 완전한 여성으로 변신한다. 그런데 100일 전에 하카나의 몸과 접하면 하카나는 물이 되어버린다는 조건이 붙는다. 그렇기에 스즈지로는 하카나를 돌보고 아끼지만 몸을 밀착시키지는 않는다. 하카나의 지적성장을 위해 스즈지로는 내키지는 않지만 땡 중이나 다름없는 묘해라는 승려에게 하카나를 맡겨 교육을 받도록 한다. 당연히 승 묘해는 대가를 요구한다. 그러나 스즈지로는 그 요구를 거절한다. 그런데 하카나가 절로 들어간 이후 스즈지로의 노름 솜씨가 달라진다. 패한 적이 없는 스즈지로가 노름판에서 연속 패하기만 한다. 게다가 스즈지로와의 대결에서 한쪽 눈을 잃은 낭인 무사 조로마사가 등장해 복수를 하려든다. 그리고 눈을 걸고 노름을 벌인다. 그러나 노름의 요괴의 영향력을 잃은 스즈지로에게 승부수는 오지를 않는다. 조로마사는 스즈지로의 눈을 뽑지 않고 큰돈을 요구하고 되돌아간다. 판돈을 마련하기 위해 스즈지로는 살인까지 저지른다. 그 돈으로 놀음을 하지만 역시 패하기만 한다. 날짜가 지나가고 하카나가 지성과 미모를 겸비한 여인이 되어 되돌아 온다. 그리고 하카나의 스즈지로를 향한 따뜻한 마음과 사랑이 살포시 전달된다. 그러나 물로 화하게 된다는 붉은 머리 요괴의 예언 때문에 스지지로는 하카나에게 몸을 밀착시키지 못 한다. 하카나는 계속 스즈지로에게 파고들지만 스즈지로는 철석같은 냉정을 유지한다. 다시 노름판에 간 스즈지로가 연속 패하자, 스즈지로는 마지막 판에 하카나를 판돈 대신 건다. 그러나 노름의 여신의 외면으로 스지지로는 하카나 마저 잃게 된다. 외눈의 낭인 무사 조로마사는 하카나를 데려가려 들지만, 목숨을 건 하카나의 스즈지로에 대한 지극한 사랑에 감동해, 하카나를 그대로 두고 동료낭인들과 떠나간다. 그 사이에 날짜는 하루 모자라는 100일이 된다. 하카나가 스즈지로에게 달려들고 진정한 사랑과 애절한 밀착요구에 이끌려 비록 하루가 남았지만 스즈지로는 하카나와 몸과 마음을 밀착시킨다. 그러자 물로 변해버릴 줄 알았던 하카나는 완전한 여인이 되고, 두 사람은 꽃보다도 아름다운 사랑의 화신이 되어 사랑의 은총 같은 수천 개의 꽃잎의 세례 속에 포옹이 계속되고, 이를 지켜보는 붉고 푸른 요괴의 모습에서 연극은 마무리를 한다.

스즈지로 김장돌, 하카나 서혜림, 푸른 요괴 김병철, 붉은 요괴 진영선, 조로시마 서동석, 노름 요정 선정화, 묘해 스님 김영찬, 그리고 황원, 유석민, 이수경, 이승현, 허주희, 이효선, 김서정, 서 웅, 장주빈, 황민우, 김영주, 이성진, 정소애, 정현혜 등 출연자 전원의 호연과 열연은 물론 성격창출과 무예대결 그리고 춤사위에 이르기까지 혼신의 열정을 다한 듯싶은 연기에 관객은 도입부터 극 속에 몰입이 되고 대단원에서 우레와 같은 갈채로 극적 감동에 보답을 한다.

의상디자인 박소영, 무대디자인 이 헌, 조명감독 탁형선, 사진 그래픽디자인 김 솔, 조연출 황민우 한예나 등 스태프 전원의 열정과 기량이 드러나, 극단 시월의 요코우치 켄스케(横内謙介) 작, 김문광 번안, 김영록 연출의 <하카나>를 남녀노소는 물론 연극인이 관람할만한 흥미와 감동만점의 걸작연극으로 탄생시켰다.
2월 3일

 

2, 극단 SOUL MATE의 안상우 작 연출의 검둥이

혜화동 동국소극장에서 극단 SOUL MATE의 안상우 작 연출의 <검둥이>를 관극했다.

안상우(1976~)는 배우이자 작가 겸 연출가다. 영화 <대호> <소수의견> <러닝 맨> <배우는 배우다>에 출연했고, 방송은 <청담동 살아요> <로얄 빌라> <감격시대-투신의 탄생>, <송곳> <욱씨 남정기> 연극은 <죽이는 이야기> <용서를 넘어선 사랑> <햄릿 분신놀이> <세월이 가면> <캘리포니아> <소월> <미스터 로비> <짐라와 솔레> <사람을 찾습니다> <소심한 가족>에 출연한 미남 배우다.

직접 쓰고 연출을 한 작품은 <Oh, my 갓! Entertainment> <디어 앤 포(Dear N For)> <안녕 쿤!> <양벌리 미스터 킴> <핫 걸> <검둥이> 등이 있다.

<검둥이>는 유기견과 그것을 데려다 기른 여인의 이야기다. 여인의 집 거실이 무대이고, 무대 왼쪽 객석 가까이에 출입문이 있는 것으로 설정이 되고, 담장이 허물어진 뒤쪽의 뚫린 창 같은 공간으로 주인 없는 고양이 두 마리가 들어오고, 정면의 안락의자 뒤쪽 벽 틈으로 쥐가 들락거린다. 무대 정면 중앙 벽 앞에 냉장고와 찬장이 있고, 탁자가 있어 음식통과 식기를 올려놓았다. 그 오른쪽에 내실로 들어가는 문이 있다.

안락의자에 앉아 TV를 켜면 화면은 객석에 있는 것으로 설정이 된다. 무대 오른 쪽 객석 가까이에는 벽돌담장이 있어, 그 앞이 주인공 <검둥이>가 버려진 장소로 연출된다. 남녀 출연자가 개와 고양이 그리고 쥐 역할을 맡아 한다. 개 짖는 소리, 고양이 울음소리, 쥐의 소리와 함께 동물들이 말도 하고 의사를 주고받는다. <검둥이>는 여인과 대화도 나눈다.

두 마리의 커다란 개가 서로 으르렁 거리며 싸우다가 한 마리가 심하게 물어 뜯겨 벽돌담장 앞에 기진해 쓰러진다. 마침 남자와 이별을 하고 새로 이사를 할 집으로 향하던 트렁크를 든 여인이 바로 이 쓰러진 개를 발견하고, 먹이를 주고 자신의 이사할 집으로 개를 데리고 가고 <검둥이>라는 이름을 붙여 부른다. 함께 살게 된 검둥이와 여인은 차츰 의사소통을 하고, 검둥이는 여인의 말귀까지 알아듣게 된다. 거기에다 한 발 더 나아가서 말까지 주고받기에 이른다. 이 집에는 나이든 쥐와 암고양이 두 마리가 들락거리고, 차츰 개와도 친한 사이가 된다. 짐승들은 음식을 뒤져먹기도 하고 먹이로 준 음식을 나눠먹는다. 검둥이는 자신을 데려다 기르는 여인을 좋아하고, 사랑하는 마음도 품는다. 이 때 여인과 헤어졌던 남성이 찾아온다. 음주벽이 있는 인물인지 취한 상태로 찾아온다. 물론 여인은 마음으로는 반기지만 겉으로는 쌀쌀하기가 북극의 빙하 같다. <검둥이>는 당연히 낯선 남성에게 으르렁 거리지만, 덤벼들지는 못한다. 여인의 냉대에 남성을 돌아간다. 여인이 외출을 하면 고양이와 쥐는 제 세상을 만난 듯 부산을 떨지만, <검둥이>는 진중함을 보인다. 여인이 귀가하면 <검둥이>는 여인의 기분과 기색을 살피고 정중하게 여인을 맞이하고 여왕을 모시는 기사처럼 행동한다. 여인이 남성을 다시 만나고, 남성이 여인을 다시 찾아오면서, 여인은 <검둥이>의 목에 고리를 매어 붙들어 둔다. 남성이 간 후에도 여인은 <검둥이>의 고리를 풀어주지 않는다. 남성으로 인해 여인의 속이 상 할대로 상하고 야멸차게 대하면서도 여인은 남성을 떨쳐버리지 못한다. <검둥이>는 그런 여인을 지켜보며 애간장이 타는 모습이다. 마치 남편이 아내가 다른 남정네에게 연민의 정을 보이는 것을 못 참겠다는 표정이 된다. 다시 남성이 만취해 비틀거리며 여인을 찾아온다. 그리고 여인에게 소리까지 지르며 소파에 널브러진다. 여인은 차마 남성을 내쫓지를 못한다. 그리고 잠든 남성에게 담요까지 가져다 덮어준다. 이를 지켜보는 <검둥이>는 증오심으로 으르렁거리기 시작한다. 여인이 방으로 들어간 후, 검둥이는 스스로 고리를 풀어버리고 남성에게 다가간다. 그리고 남성의 목을 힘껏 물어뜯는다. 남성이 비명을 울리고 죽은 듯 쓰러진다, 비명소리에 놀란 여인이 방에서 나와 이 광경을 보고 놀라 여인도 그 자리에 털썩 주저앉는다.

대단원은 언젠가 길가 벽돌담장아래 버려져 쓰러져 있던 <검둥이>의 모습처럼 담장아래 누워있는 <검둥이>의 모습과 이를 무심한 듯 지나치는 트렁크를 등 여인의 모습에서 연극은 끝이 난다.

김영기, 문혜준, 김 욱, 황배진, 이규태, 이도연, 김지수, 최아진, 장문희, 장다빈 등 출연자 전원의 열연과 호연은 물론 동물 역 또한 탁월한 성격창출과 기량을 발휘해, 관객의 우레와 같은 갈채를 받는다.

총괄제작 김정석, 무술감독 곽진석, 무대 서지원 그 외 스탭 진의 열정과 기량이 드러나, 극단 SOUL MATE의 안상우 작 연출의 <검둥이>를 창의력과 연출력 그리고 출연자의 기량이 조화를 이룬 우수 걸작연극으로 탄생시켰다.
2월 4일

 

3, 문화창작집단 수다와 수현재컴퍼니의 장 진 작 연출의 꽃의 비밀

대명문화공장 비발디파크홀에서 문화창작집단 수다와 ㈜수현재컴퍼니의 장 진 작 연출의 <꽃의 비밀>을 관극했다.

장 진(張鎭, 1971~)이 연극과 만난 것은 중학교 3학년 때 교회에서 성극을 하면서다. 연극의 매력에 푹 빠졌고, 고등학교 내내 주말마다 연극을 볼 정도가 됐다. 연기도 잘해서 고등학교 연극제에서는 ‘최우수 연기상’을 받았다. 연극 전공 학자가 되고 싶어서 지원한 미학과에 떨어진 후 별 고민 없이 서울예대 연극과에 지망했다. 대학에 들어간 후 그의 숨은 재능이 만개했다.

1994년 서울예전 문학상을 생전 처음으로 연극과 학생 장 진이 ‘허탕’이라는 희곡으로 수상했고, 연이어 1995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서 ‘천호동 구사거리’라는 희곡이 당선된 것. 더군다나 그 해 서울예대 재학생 중 유일한 신춘문예 당선자가 연극과 장 진이었다.

작품으로는 <매직타임> <아름다운 사인> <박수칠 때 떠나라> <웰컴 투 동막골> <택시 드리벌> <세일즈맨의 죽음> <로미오 지구 착륙기> <리턴 투 햄릿> <허탕> <서툰 사람들> <디셈버> <꽃의 비밀> <얼음> 등을 집필 연출했다.

2014년 대한민국 인천에서 열린 제17회 아시안게임 개 · 폐막식 예술감독으로서 총감독 임권택과 함께 연출을 맡았다. 현재 문화창작집단 수다의 대표다.

<꽃의 비밀>은 이태리의 한 전원마을에서 벌어진 이야기다. 포도를 재배해 와인을 만드는 일이 생업이지만, 남정네들은 축구경기에 열광해 빠지지 않고 경기를 관람하고, 축구경기를 보러 감네 하고 다른 여자에게 바람을 피우러 가기도 한다. 주부들이 가정을 지키고 자식을 키우지만 남편들이 설마 그러리라고는 생각을 못한다. 주요 경기가 있는 날 주부들의 모여 있는 집에 휴대전화가 걸려온다. 경기장 너머 유곽동네로 가는 산길 마루터기에서 남정네들이 타고 가던 승용차가 아래로 추락했다는 남편 중 한 사람의 전화다. 주부들이 놀래 어쩔 줄을 모르고, 마침 동석했던 나이어린 주부가 남편의 바람 끼와 축구경기가 있는 날 다른 여자에게 간다는 것을 알고 브레이크에 고장을 냈다고 고백을 한다. 여인들은 자신들의 남편의 그런 행동을 비로소 알고, 남편의 죽음이 천벌을 받은 당연한 것이라고 친다. 그러면서 아직 사망사실이 알려지지 않았으니, 남편이름으로 사망보험을 들도록 해서, 남편이 사고로 죽은 것을 발표하고 거액의 보험금을 각자 타내자고 약속한다. 보험사 직원이 오는 날, 부인들은 각자 남편모습으로 변장을 하고 보험사의 남녀 직원을 맞이한다. 당연히 직원들은 보험계약에 앞서 한 사람 한 사람 건강검진을 한다. 여인네들의 남성연기가 시작되고, 직장검사를 받아야 하는 주부의 남정네 연기는 보험사 직원에게 깊은 인상을 심기도 한다. 모든 검사를 마치고 각자 보험서류에 서명을 한 후 보험사 직원은 돌아간다. 그 때 휴대전화가 다시 울리고, 산길에서 추락한 남정네들이 다행히 높이 쌓인 눈 위에 떨어져 모두 생존을 했고, 마침 옆에 온천수가 흘러 추위를 모면했다는 소식의 전화다. 주부들의 허탈한 표정과 축 늘어진 모습에서 연극은 끝이 난다.

무대는 한 주택의 거실이다. 이층으로 오르는 계단이 보이고, 무대 오른 쪽에는 싱크대와 식기 그리고 선반에는 양념그릇들을 올려놓았다. 싱크대 오른 쪽으로 냉장고가 있다. 무대 중앙에는 긴 안락의자가 있고, 무대 왼쪽에는 벽난로에 불이 타오르고 그 옆에 의자를 놓아두었다. 정면에 커다란 문이 있어 외부로부터 출연자들이 들어오고, 무대 좌우에도 화장실과 내실로 들어가는 문이 있다. 천정에는 샹들리에가 매달려 있고, 갓을 씌운 백열등도 있다. 무대 오른쪽 중앙에 긴 기둥이 세워져 있다. 무대 왼쪽 객석 가까이는 눈이 덮인 산길로 설정이 되고 구불구불 산길을 오르는 교통 표지판이 백색의 긴 바위 같은 조형물에 부착되어 있다.

이선주, 구혜령, 배종옥, 조연진, 소유진, 이청아, 김보정, 박지예, 이동현, 최태원, 한아련, 전윤민 등 출연자가 각기 더블 캐스팅 되어 출연해, 각자 독특한 성격창출과 호연 그리고 열연으로 관객을 폭소로 이끌어 간다. 여성출연자들의 남성역의 연기 역시 폭소를 유발시키고 대단원에서 우레와 같은 갈채를 받는다.

무대디자인 이엄지, 소품디자인 이은아, 조명디자인 나한수, 음악디자인 김중우, 의상디자인 오수현, 분장디자인 오창렬, 조연출 유낭웅 이남수 그 외 스태프 전원의 기량이 공연에 드러나, 문화창작집단 수다와 ㈜수현재컴퍼니의 장 진 작 연출의 <꽃의 비밀>을 창의력과 연출력 그리고 연기자의 기량이 조화를 이룬 걸작희극으로 탄생시켰다.
2월 5일

 

4, 극단 영감의 임덕영 원작 연출 동이

<동이>의 원작자인 무속인이자 작두 여장군 임덕영은 신이 주신 귀한 금전의 반은 나누고 살자는 초심으로 신당에 들어오는 쌀을 한 번도 식솔들과 먹어본 적 없고, 그 쌀을 근 7년 동안 단 한 번도 빠짐없이 구로에 자리한 브라엘 지체 장애자 고아원으로 매달 보냈고, 또한 안산 치료 사업 노인들을 돕고 있다

MBC 에브리원 에서 나라의 비통한 국상 (고 노무현 대통령)을 예언, 또한 고 김대중 대통령의 서거 직전 당년이 고비라는 예언을 하여 화제가 되었다.

임덕영은 생년월일을 묻지 않고 당사자의 기운을 느끼며. 순수 영점을 보기로 유명하며, 의사는 아니지만 영적으로 맥을 짚어 병환의 70프로 정도는 정확히 맞추며. 이따금..당사자의 조상을 접신하기도 한다.

임덕영은 현재 10년 가까이 6개 방송프로에 출연했으나 잠시 방송을 멈추고 간혹 들어오는 강의와 공연 등 을 올 스톱 시키고, 무속에 대한 선입감을 없애고 싶은 취지에서. 무당의 삶이라든지 에피소드를 잔잔하게 엮어, 그저 평범치 못한 한 사람의 운명에 희노애락을 담아 <동이>를 집필했다.

2013년에는 스스로 빚은 도자기 전시회를 해운대 아트센터에서 한 미녀 엑소시스트다.

<동이>의 할머니는 무녀였다. 무당도 대부분 대물림을 하지만, 동이의 어머니는 그걸 거부해서 그런지 치매 증세나 정식착란 증세가 일찍 찾아왔다는 설정이다. 남편이 음주벽과 과음으로 요절을 하자, 어린 동이 하나를 기르면서 어머니는 동이에게 온 정성을 다한다. 남편의 여동생이 자주 찾아와 어려움을 함께 한다. 동이가 장성을 하고 장차 결혼을 할 선영이라는 아가씨를 집으로 데려다 어머니께 인사를 시킨다. 그런데 선영이가 차사고로 목숨을 잃는다. 동이는 그 때부터 정신착란과 환영에 시달린다. 정신과병원이나 동이가 다니는 교회에서는 기도를 해도 치료되지가 않는 병이다. 동이의 증세를 지켜보던 이모는 유명한 무당에게 데려가 치료를 부탁한다. 물론 동이의 어머니는 반대를 하지만, 이모는 잡신과 재액이 달라붙은 것을 뗄 방법은 굿을 하는 수밖에 없다며, 박수무당 박 씨에게 내림굿을 부탁한다. 교회를 다니기에 안 된다며 거부하던 동이는 박수무당 박 씨의 위엄 있는 권고와 굿 집 분위기에 젖어들어 동이는 벽에 걸린 부처그림과 제사상 앞에 큰절을 한 후 무당 옷으로 갈아입고 백색 고깔을 쓰고 백색의 깃털로 쌓여있는 신당 대를 쥐게 된다. 무녀들의 장구와 징 꽹과리가 어우러지고 동이를 둘러싼 모든 악귀와 재난을 물리쳐 달라는 박수무당의 주문이 점차 높아지면서 동이도 신당 대를 흔들기 시작한다. 신당대의 흔들림이 강해지자 돌연 동이 어머니의 정신이 맑아지고 의식을 되찾게 된다. 이모가 언니의 의식을 되찾은 모습에 탄성을 지른다. 그러나 언니인 동이 어머니는 아들 동이가 자신이 거부를 하던 무당복장을 입은 모습에 안 된다고 소리를 지른다. 이모가 언니를 끌어안고 진정을 시키고, 동이의 껑충 껑충 춤추듯 뛰는 모습이 신들린 듯 이어지면서 박수무당 박 씨는 작두를 준비시킨다. 작두는 종이를 올려만 놓아도 두 쪽으로 갈라지는 날카로운 칼날로 되어있기에, 동이 어머니나 이모는 물론 관객들도 눈을 커다랗게 뜨고 동이의 행동을 지켜본다. 드디어 동이가 버선을 벗고 맨발로 작두 위로 올라선다. 타악기 소리가 쾅하고 굉음을 울리지만, 작두위에 올라선 동이의 발은 전혀 한 치의 상처나 변화를 보이지 않는다. 동이 어머니의 안도, 이모의 안심, 이어서 관객의 박수가 터져 나오기 시작하고, 박수소리가 극장 전체를 채우면서 공연은 끝이 난다.

황원규, 오민휘, 성낙경, 김자미, 김윤미, 권준영, 매 화, 김태현 김지현 등 출연자 전원의 호연과 열연 그리고 연주와 노래는 갈채를 받는다.

예술감독 장재권, 공동각색 조연출 김연빈, 제작 PD 방윤정, 제작 매니저 박 훈, 조명 최영환, 의상 신재원, 분장 김민정, 영상 서경국, 영상 조연출 신상훈 등 스텝 진의 노력과 기량이 드러나, 극단 영감의 임덕영 원작 연출의 <동이>를 성공적인 공연으로 창출시켰다.
2월 9일

 

5, 극단 물리의 김민정 작 한태숙 연출의 하나코.

대학로 공간아울에서 극단 물리의 김민정 작, 한태숙 연출의 <하나코>를 관극했다.

<하나코>는 일제 강점기 종군 위안부로 끌려간 자매의 이야기다.

김민정(1974~)은 충남 당진 출생으로.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하고.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예술전문사 극작을 전공했다. 작품으로는 <가족의 왈츠> <십년 후> <나, 여기 있어> <해무> <길삼봉뎐> <그 길에서 너를 만나다> <미리내> <너의 왼손>. 각색은 국립극단 <오이디푸스> 대전 문화예술의 전당 <인형의 집(家)> 수상경력은 ’04 제7회 국립극장 신작희곡 페스티벌 당선 <가족 왈츠> ’05 제5회 작은 신화 우리연극 만들기 희곡 공모 당선 <십년 후> ’07 한국연극 베스트 7선정 <해무>08 서울 아트마켓 선정<해무> 09창작팩토리 우수작 선정 <해무> 12 김민정 희곡집 우수문학도서 선정 14 창작산실 대본공모 당선 등 앞날이 발전적으로 예측되는 미모의 여성극작가다.

한태숙은 <하나코> <단테의 신곡> <레이디 맥베스> <안티고네> <장화홍련> <아워 타운> <오이디푸스> <있었다> <유리동물원> <서안화차> <꼽추 리차드 3세> <배장화 배홍련> <우당탕탕 할머니의 방> <고양이 늪> <광해유감> <네바다로 간다> <짐> <도살장의 시간> <맹목> <베르나르다 알바의 집> 그 외의 다수 작품을 연출하고, 동아연극상, 김상열 연극상, 영희 연극상, 이해랑 연극상 등을 수상한 미모의 작가 겸 연출가로 극단 물리의 대표다.

<하나코>는 일제치하 캄보디아로 끌려 간 군 위안부 피해자의 실화를 극으로 만들었다.

실화를 소개하면 1997년 여름 언론에서는 ‘훈 할머니’라는 군위안부 피해자의 이야기가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캄보디아에서 약재상을 하는 황기연 씨가 1996년 약초를 구입하기 위하여 캄보디아 프놈펜의 작은 마을인 스쿤에 들렸다가 ‘훈 할머니’의 손녀로부터 할머니 이야기를 듣게 되었다. 그는 1년 동안 수차례 훈 할머니를 만나면서 2차 대전 말기에 일본에 의해 위안부로 낯선 땅 캄보디아로 끌려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이를 97년 6월 언론에 알렸다.

한국인임을 숨기고 살아온 캄보디아에서의 50여년 세월은 할머니에게서 한국말과 어린 시절의 기억들을 거의 모두 앗아갔다. 때문에 훈 할머니는 다른 군위안부 피해자보다 세간의 주목을 더 받았다. 처음 훈 할머니의 이야기가 연합통신에 띄워졌을 때 대부분의 신문은 크게 다루지 않았다. 그러나 한국일보에서 바로 캄보디아로 기자를 파견하여 집중적인 취재를 시작하면서 훈 할머니의 이야기는 고향에 대한 모든 기억을 잊어버린 한 군위안부 피해자의 고향과 가족 찾기에 집중되어 세간의 관심을 모으게 되었다.

당시 훈 할머니가 자신의 한국이름과 부모의 이름마저 제대로 기억을 못했지만 고향은 진동이라고 분명하게 말했고, 황기연 씨는 마산시 진동이라고 나름의 결론을 내리고 있던 상태였다. 훈 할머니 이야기가 알려진 후 마산시 진동면사무소에는 ‘훈 할머니 가족 찾기 대책본부’가 설치되었고, 곧이어 일제 때 행방불명된 누나가 ‘훈 할머니’인 것 같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나타났다. 언론에서는 가족을 찾았다고 보도했고 한국과 캄보디아를 연결하여 화상으로 서로의 얼굴을 확인하고 통화를 하였다. 그러나 훈 할머니는 그들이 가족이라는 확신을 갖지 못하였고, 보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 유전자 감식까지 하게 되었다. 결과는 가족일 가능성이 전혀 없다는 것이었다.

이즈음에 불교 조계종의 후원으로 나눔의 집 원장인 혜진 스님과 싱가포르에서 군위안부 생활을 했던 김복동 할머니 그리고 기자가 캄보디아로 가게 되었다. 3명이 캄보디아로 간 표면적인 목적은 그렇게 고향에 오고 싶어 하는 훈 할머니를 한국에 모시고 오자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에 앞서 캄보디아에 도착하자마자 그 목적은 일단 멀어지고 훈 할머니가 진짜 한국 사람이고 군위안부 경험을 했던 것이 맞느냐는 것에 모든 관심이 집중되었다. 이유는 캄보디아에 도착한 날 찾았다는 가족과 훈 할머니의 유전자 감식결과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발표가 나왔고, 이에 주변의 모든 분위기는 그동안의 가족 찾기가 해프닝으로 끝나는 듯해 씁쓸해 하는 상태였다.

그럴 때 1997년 8월 경남 합천에 사는 이순이씨가 훈 할머니가 바로 자신의 언니 같다는 연락을 해 왔고, 언론사에서는 미심적기는 했어도 두 분을 상봉을 마련하기로 하고, 인천 길 병원에서 두 분의 극적인 상봉이 이루어졌다. 두 분의 얼굴이 너무도 닮아 가족이라는 확신을 가질 수 있었고, 유전자 감식의 과정까지 거쳐 가족임이 최종적으로 확인되었다. 이 사실이 보도되자 전 국민의 가슴에 전율이 일고 뜨거운 눈시울, 뭉클한 가슴과 함께 세간의 관심이 집중됨은 물론 일제치하의 군 위안부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했다.

향후 한 일 간의 중요 사안으로 부각되었고, 그럴 때마다 이미 유신정권시절에 청구권문제와 함께 해결된 일이라는 일본정부의 일관된 주장이 되풀이되기를 20년 가까이 계속되자, 유엔을 비롯해, 세계 각국의 비난여론이 비등하고 2015년 12월 28일 박근혜 정부가 위안부 문제를 일본과 협상, 일본 정부는 위안부 문제의 관여라는 표현으로 책임을 인정했으며, 아베 총리도 총리대신으로써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진심으로 사죄와 반성을 표한다고 밝혔다. 그리고 한일 양국 정부가 협력하여 모든 전(前) 위안부 분들의 명예와 존엄의 회복 및 마음의 상처 치유를 위한 사업을 행하기로 함으로써 이 문제는 극적인 타결을 보게 되었다.

무대는 배경에 캄보디아의 종군위안부의 숙소로 설정된 장치 이외에는 사각의 입체 조형물을 이동 배치해 의자로 사용한다. 영상을 투사해 역사적인 장면이 소개되고, 카메라, 단검, 피스톨이 소도구로 사용되고, 조명강약으로 장면변화가 연출된다.

연극은 여성학 교수 1인이 방송사 직원과 함께 캄보디아에 현재 거주하고 있는 군 위안부였다는 할머니를 찾아가는 장면에서 시작된다. 그 사연을 제공한 또 한명의 군 위안부 할머니, 바로 현재 캄보디아 거주 위안부 노인과 자매지간이며 함께 캄보디아로 끌려가 위안부 노릇을 했다는 노인과 함께 캄보디아의 수도 프놈펜을 방문한다. 드디어 자매의 상봉이 이루어지지만, 자매라고 보기에는 외모라든가 모국어를 기억하지 못하는 캄보디아 거주 여인의 모습에서 좀처럼 공통점을 찾기 힘들어 방송사 부장은 상여금을 노려 위안부였다는 행세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까지 하게 된다. 그러나 캄보디아 거주 노인의 기억이 차츰 되살아나기 시작하고, 간단한 모국어를 내뱉기도 하면서 드디어 위안부시절의 과거가 하나하나 떠오르기 시작한다. 그러나 기억에서 영원히 지워버리고 싶은 쓰라린 과거를 비록 자신의 언니가 왔다고 하드라도 밝히거나 재현해 내고 싶지 않음을 누가 알랴? 캄보디아 거주 노인은 귀국이라는 것을 염두에 두지 않고 자신의 손녀딸의 손을 굳게 잡고 과거를 영원히 잊는 듯 숨긴 채 그저 거주지로 되돌아간다.

대단원에서 홀로 의자에 앉아 역사적 비극을 되씹듯 뇌까리는 한 위안부 노인의 방백장면과 객석의 숙연한 분위기가 한동안 계속되면서 연극은 마무리가 된다.

예수정과 전국향이 위안부 노인 역으로 출연해 관객의 가슴에 서글픈 그림자를 드려놓는다. 우미화가 여교수로 출연해 절제된 내면연기로 깊은 인상을 남긴다. 신안진과 신현종, 김귀선이 출연해 나름대로의 성격창출과 호연으로 주목을 받는다. 박종태, 이지혜 역시 독특한 성격창출과 호연으로 갈채를 받는다. 강다윤, 류용수, 권겸민 등 출연자 성격창출과 호연도 기억에 남는다. 민경은, 박수진의 호연도 갈채를 받는다.

무대디자인 이태섭, 조명디자인 김창기, 의상디자인 김우성 전요나, 분장디자인 백지영, 음향디자인 지미세르, 영상디자인 김나래, 협력무대디자인 박은혜, 무대어시스턴트 이윤미, 조명크루 정유석 홍주희 김병희, 사진 장제훈, 캘리그라피 장사익, 캄보디아어 번역 지도 초웁찬피런, 일본어 번역지도 손지형, 조연출 강소희 근종천 류예슬 기획 홍보 림에이멤시, 총괄 서정림, 제작PD 정영희, 기획 장성은, 홍보 박지영, 홍보물디자인 디자인소통 등 스텝진의 열정과 기량이 제대로 드러나, 극단 물리의 김민정 작, 한태숙 연출의 <하나코>를 한편의 문제작이자 기억에 길이 남을 공연으로 창출시켰다.
2월 11일

 

6, 창작공동체 아르케의 김승철 작 연출의 툇마루가 있는 집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에서 창작공동체 아르케의 김승철 작 연출의 <툇마루가 있는 집>을 관극했다.

김승철은 동국대학교 연극영화과 출신의 배우이자 작가 겸 연출가로 현재 창작공동체 아르케의 대표다. <소풍> <수갑 찬 남자> <소뿔자르고주인오기전에도망가선생> <어느 물리학자의 낮잠> <평상> <피의 결혼 콜라주> <벚나무 그늘 아래서 벌어지는 한 가문의 몰락사> <전하의 봄> <안티고네> < 그류? 그류?> <팝콘> <전하> <놀이로 풀어본 맹진사댁 경사> <아름다운 살인자 보이첵> <즐거운 나의 집> <전야제> 등을 연출했다.

2008 밀양여름예술축제 젊은 연출가전 대상 연출상, 2015 서울연극인대상 연출상, 2015 공연과 이론 작품상, 2015 창작산실 대본공모 우수작품상 등을 수상한 발전적인 앞날이 예측되는 작가 겸 연출가다.

무대는 대청을 가운데로 안방과 건넌방, 문간방, 사랑방, 부엌, 부엌방 그 외의 작은방이 있고 마당에는 평상 돌절구, 수돗가, 그리고 연못이 있고, 무대 하수 쪽에 대문이 있는 곳으로 설정된다.

오래된 낡은 집이고 재개발지역인 듯싶다. 반백의 주인공 부부가 오랜만에 집에 찾아와 집안을 둘러본다. 아내는 잠시 외출을 하고, 주인공은 회상에 잠긴다. 하나하나의 방마다 주인공의 할머니, 아버지, 어머니, 형의 생전의 모습과 습성이 그려지고, 세 들어 살던 여인들의 모습도 소개가 된다. 김밥을 팔아 살림을 도왔던 억척 할머니의 활달하고 따듯한 마음씨를 가졌던 모습에서 백발의 이빨이 빠지고, 치매노인으로의 변모, 노상 술 푸념 술타령에 폭음으로 몸을 가누지 못하고 결국 몸까지 마비가 된 아버지, 예나 지금이나 가정과 자식들을 한 결 같이 돌보고 책임지는 한국의 모든 어머니와 똑 같은 주인공의 어머니의 모습, 정치적으로 어두웠던 시절 시위에 대부분의 청년이나 학생들처럼 시위에 앞장섰던 주인공의 형, 그리고 이 집에 세 들어 살던 유곽의 여성, 백화점 안내원 복장의 여인과 여학생의 모습이 차례로 펼쳐진다. 특히 주인공의 소년시절, 술병으로 어머니에게 상처를 입힌 아버지를 증오하고 대청에 취해 널브러져 잠이 든 아버지를 칼로 찌르려다가 차마 그러지를 못하고 종이에 싸서 철 도시락 곽에 넣어 마루 밑 궤 속에 감춘다, 시대적 배경은 1980년대가 집중적으로 소개가 되고, 당시 서민들의 생활상이 무대 위에 재현된다. 시위를 하다가 피투성이가 되어 돌아온 형이 세 들어 살던 유곽여인의 따뜻한 보살핌에 마음과 몸을 밀착시키는 모습은 명장면에 속하고, 할머니의 변화와 치매 노인 역 설정은 국민배우 감 강애심의 열연으로 제대로 된 성격창출로 표현된다. 어머니 역과 주인공의 부인 역을 함께 한 이경성은 마치 이 역을 맡기 위해 배우가 되지 않았나 하는 느낌의 호연을 보이고, 주인공의 아버지와 형의 호연은 물론, 주인공의 소년시절 역을 하는 김보라의 호연이 기억에 남는다. 세든 여인과 여학생 그리고 아버지의 술친구까지 호연을 보임으로 해서 관객은 제대로 된 연극 한편을 모처럼 깊이 빠져들어 감상하게 된 느낌이다. 명배우 이대연과 절대배우 장용철이 주인공으로 더블 캐스팅되어 출연해, 절제된 연기와 내면연기는 물론 다른 출연자들의 연기까지 돋보이도록 배려하는 모습에서, 배우의 기량이 세계정상급임을 감지하게 되는 연극이다.

강애심, 이대연, 이경성, 장용철, 김성일, 신 욱, 한보람, 김현중, 구선화, 박시내, 송현섭, 김보라, 김혜은 등 출연자의 호연과 열연 그리고 성격창출은 관객의 우레와 같은 갈채를 받는다.

드라마터그 배선애, 무대 박찬호, 음악 공양제, 조명 김성구, 의상 최윤희, 분장 목진희, 사진 그래픽 김 솔, 제작지원 이유라, 기획총괄 한가을, 기획팀 한양화 이분홍 송영주, 무대감독 유성준, 종연출 정다정 그 외 스텝진의 기량과 열정이 조화를 이루어 창작공동체 아르케의 김승철 작 연출의 <툇마루가 있는 집>을 남녀노수 누구나 관람해도 좋을 우수 걸작연극으로 창출시켰다.
2월 11일

 

7, 극단 글로브의 김용을 작 연출의 음악극 프라미스

대학로 두레홀 4관에서 극단 글로브의 김용을 작 연출의 음악극 <프라미스>를 관람했다.

김용을은 극작가 겸 연출가로 서울예술대학 연극과 출신이다. 사)한국여성문화예술인총연합(KoWACA) 법인 사무국장, 사)한국연극협회 정책개발위원회 정책위원, 극단 글로브극장(110-91-80162) 代表, 도서출판 글로브(제307-2011-51호) 代表다.

주요 작품으로는 희곡 <퍼펙트 라이프> <환생> <누이야> <첫사랑> <동치미> <쾌도난마 정도령> <The Lord><Made in USA> <손님> <Dream &Vision> 등과 뮤 지 컬 <누이야> <연가> <위기탈출 넘버원>을 발표하고, 시나리오로는 <동치미> <누이야> <그 여자 엘림, 수선화> 등이 있다.

연극 <동치미>로 2015년 대한민국 국회대상 ‘올해의 연극상’을 수상하고, 2014년 ‘대한민국 창조문화예술대상’에서 특별상, 인기상, 공로상, 남녀신인상 등을 수상 한 바 있고, 지난 2013년 ‘대한민국 창조문화예술대상’에서는 영예의 작품상을 수상한 바 있다.

음악극 ‘프라미스’는 아주 조금 먼 옛날 우리 어렸을 적 대학생 언니 오빠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공연은 파릇파릇 꿈 많던 대학 시절 어느 대학의 음악동아리 ‘낮은음자리’가 등장해 겨울방학을 맞아 멤버인 공과 여대생 김영한의 고향마을인 한적한 시골 무봉리로 농활(농촌봉사활동)을 떠나는 것으로 시작된다.

유익하고 유쾌했던 6박 7일간의 짧고 강렬한 농활의 시간을 통해 도시 출신의 유망한 법대생으로 변호사가 되어 사회적 약자들과 고락을 함께하겠다는 병태와 졸업 후에 고향으로 돌아와 농촌의 주거문화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겠다며 당찬 포부를 밝히는 순백의 여장부 영한의 수채화 같은 사랑이야기가 펼쳐진다.

두 사람은 모두 이미 예전부터 서로에 대한 그리움을 가슴에 품은 채 긴긴밤 사랑앓이를 해왔지만 병태는 동아리 선배인 연상의 영한에게 마음 속 사랑을 고백하기가 쉽지 않았고, 영한 역시 연하의 후배이자 법학도인 병태에게 쉬이 마음을 열지 못해왔던 터다.

하지만 농촌활동의 마지막 날. 예기치 못한 사고로 병태가 사경을 헤매게 되고, 그 사고소식을 접한 영한이 그의 곁을 지키며 지극정성과 간절함의 기도로 간호를 하면서 둘은 마침내 운명적인 관계가 된다.

무대는 정면에 마루가 달린 방이 있고, 그 좌우 또는 상 하수 쪽으로 조그만 방들이 있다. 무대 좌우로 푸른 잎이 무성한 나무가 서있다. 방마다 남성이나 여성 1인이 거취를 하고, 중앙이 주인 방 기타는 셋방으로 설정된다. 집 앞 마당은 골목길과 연결되고, 노래자랑의 대회장이 되기도 한다. 행사가 개최될 때에는 출연자들이 줄에 맨 만국기를 무대 양쪽에 길게 매달아 축제 분위기를 낸다. 노래도 귀에 익은 가요와 아일랜드 민요, 그리고 새로운 가곡이 어우러져 관객의 호응도가 높도록 구성된 공연이다.

음악극 ‘프라미스’의 남자주인공 송병태 역에는 주승민, 정필범이, 여자주인공 김한영 역에 김나영, 김예지가 더블 캐스팅됐다. 이밖에 복학생 역으로는 이광재와 지인규, 이수경 역은 서유인과 김유나, 양동우 역은 김대경과 박두희, 강미자 역은 김유리와 배희수, 가객 역은 김락현과 정예림이 객석에서 등장한다. 출연자 전원의 호연과 열창그리고 무용은 마치 교회 성극을 보는 듯싶은 느낌으로 따뜻하고 포근한 분위기 창출을 한다.

예술감독 현천행, 드라마터그 이효윤, 음악감독 황혜리, 무대미술 유관호, 사진 민영희, 조명 최재훈, 기획 장예림 등 제작진과 기술진의 열정과 노력이 하나가 되어, 극단 글로브, 창작그룹 코스모스, 이텍 코리아 공동제작 김용을 작 연출의 음악극 <프라미스>를 남녀노소 누구나 관람해도 좋을 포근하고 따뜻한 느낌의 아름다운 음악극으로 창출시켰다.
2월 15일

 

8, 극단 M Factory의 한민규 작 이지수 연출의 혈우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에서 극단 M Factory의 한민규 작, 이지수 연출의 <혈우(血雨)>를 관극했다.

한민규는 추계예술대학교,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희곡전공 박사다. <만약의 일기> <잠수괴물> <진홍빛 소녀> <누가 그들을 만들었는가> <마지막 수업> <혈우(血雨)> 등을 발표 공연해 희곡상, 최우수 작품상 신인작품상 등을 수상하고 선정된 앞날이 발전적으로 예측되는 극작가다.

이지수는 서울남강고등학교, 중앙대 연극학과, 중앙대 일반대학원 연극학과 석사 출신으로 현재 극단 M Factory 대표다. 현재 중앙대 연극학과, 호원대 공연미디어학부, 중앙대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 교수다. <비정규 식량분배자> <주그리 우스리> <디스라이프> <잠수괴물> <진홍빛 소녀> 그 외의 다수 작품을 연출한 기대되는 연출가다.

<혈우(血雨)>는 고려 말 최 씨 무신정권(武臣政權)을 역사적 배경으로 한 로맨스가 곁들인 무협활극(武俠活劇)이다.

고려 무신정권은 고려사회의 문·무반 차별 대우로 인해 1170년 의종 때 일어난 ‘정중부의 난’으로부터 시작한다. 이후 이의방,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으로 이어지던 무신정권 초기의 혼란은 최충헌의 집권으로 수습되었다.

최충헌은 정권을 잡자 자신을 반대하는 세력은 사정없이 제거하였으며, 왕의 힘을 무기력하게 만들고, 농민과 노비들의 봉기를 진압하는 등 강력한 독재 정치로 무신 정권 초기의 혼란을 수습하였다. 그는 최씨 무인 정권이 4대(최충헌, 최우, 최항, 최의)에 걸쳐 60 여 년 간 그들의 세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최충헌은 자신의 신변 경호를 위해 도방을 설치하였으며, 그의 아들 최우는 치안 유지를 위해 야별초를 만들었는데, 나중에 소속 군인의 수가 많아져 이것을 좌별초와 우별초로 나누게 되었고, 몽고와의 항쟁 때 포로가 되었다가 도망해 온 사람들로 신의군이라는 것을 만들게 되어 좌별초, 우별초, 신의군을 합하여 ‘삼별초’라 하였다. 도방과 삼별초는 최 씨 정권을 유지하는 군사적 기반이었다.

최우는 독자적인 인사 행정 기구인 정방을 자기 집에 설치하여 문관과 무관의 인사권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문인들의 숙위 기관인 서방을 만들어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문인들이 고문 역할을 담당하게 하였다.

한편 무신정권 시절에는 무신들의 착취와 수탈로 생활이 어렵게 된 농민과 천민들도 전국 각지에서 난을 일으켰다. 천민과 노비들은 신분 해방을 외치며 봉기하였는데, 공주 명학 소에서 일어난 망이. 망소이의 난, 전주 관노들의 난 등이 대표적인 것이다.

최충헌과 그의 아들 우, 손자 항, 증손자 의가 차례로 정권을 잡고 세도를 부리던 최씨 정권은 1258년 최의가 김준에게 살해됨으로써 무신정치의 막을 내리게 되었다.

김준은 천민 출신으로 최 씨 무인정권의 마지막 계승자인 최의를 타도하고 왕권을 회복한 뒤 10년간 권력을 장악했다.

김준의 원래 이름은 인준(仁俊). 아버지는 최충헌(崔忠獻)의 가내노비인 윤성(允成)이다. 일찍이 활을 잘 쏘고 술을 잘 먹는 호걸로 알려져 최우(崔瑀)에게 발탁되었다. 그 뒤 최우의 신임을 얻어 전전승지(殿前承旨)가 되었으며, 최항(崔沆)이 정권을 세습하는 데 공을 세워 별장(別將)이 되었다. 최의 때에 이르러 정치 기강이 문란해지고 흉년이 계속되어 민심이 동요하는 등 최 씨 정권은 심각한 위기를 맞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최의가 김준 자신을 도외시하고, 능멸까지 함에 분노해 삼별초를 앞세워 최의의 집을 습격하여 죽임으로써 최씨 정권을 타도하고 왕권을 회복시켰다. 이 공으로 위사공신(衛社功臣) 2등에 오르고 우부승선(右副承宣)이 되었다.

<혈우(血雨)>는 최항과 그의 서자 최의가 무신정권의 수장이 되자, 각 지역을 대표하는 무신들과의 암투와 무예대결이 구조를 이루고, 거기에 최의와 김준 사이에 무예와 미모를 겸전한 2인의 기녀(妓女)를 등장시켜 여인과 관련된 갈등이 복선으로 깔린다. 그러면서 출연자들의 소리와 춤 그리고 무예대결, 그리고 호연과 열연, 성격설정이 어우러지고, 최의 역과 김준 역을 하는 출연자의 탁월한 기량과 죽은 최항 역과 최항의 망령이 극의 후반까지 등장해 해설자 역할을 겸한 성격창출로, 연극성과 문학성은 물론 대중성까지 곁들인 한편의 명작연극의 탄생을 보는 듯싶은 느낌이다.

무대는 배경 가까이에 한단 높이의 마루를 깔고 거기에 옥좌형태의 조형물을 여러 개 배치해 놓고, 배경에는 3m 높이와 넓이의 틀을 만들어 거기에 휘장을 늘어뜨리거나, 여러 개의 나무널판을 가로 댄 차단막, 또는 붉은 섬광이 타오르도록 영상을 투사해 극 분위기를 창출시키고, 매화꽃 형태지만 실제보다 무척 큰 꽃과 나뭇가지를 상수 쪽 중간에 고정시키고, 틀은 등퇴장 로가 되고, 무대 좌우도 등퇴장 로로 설정된다. 고려시대 복장으로 설정된 의상이 썩 어울리고, 출연자들이 목검이지만 철검 못지않은 효과를 무예대결에서 발휘하고 무대에서 기계체조 선수 같은 회전동작도 일품이다.

김수현, 김영민, 김종구, 민병욱, 서지유, 신소현, 나경민, 신기섭, 우범진, 박재우, 이준녕, 김관장, 전익수, 서정식, 이원선, 백승문, 이민준, 남기용, 남재영, 조경섭, 맹재렬, 문병재, 이다해, 김지수, 최우진, 전정욱, 김서윤 등 출연자 전원의 호연과 무예수련, 대결, 칼춤, 노래, 방언구사 등은 관객을 시종일관 연극에 몰입시키고 대단원에서 우레와 같은 갈채를 이끌어 낸다.

예술자문 이상우, 드라마트루기 이강임 한경희, 제작감독 유철승, 조명디자인 김광섭, 조명감독 이진우, 조명프로그래머 안윤미, 조명팀 김병주 백하림 이한용, 무대디자인 서정인, 무대제작 어윤호, 영상디자인 최대용 정오, 홍보영상 장정관, 강기호, 음향디자인 김서영, 의상디자인 유진영, 의상제작 예마루, 분장 전예출분장연구소(박영화) 이선화(팀장) 최혜정 최솔, 소품디자인 김다정, 안무감독 임향기, 무술감독 류성철, 무술조감독 조경섭, 무대감독 권혁우, 무대조감독 정형렬, 작곡 정현정, 미디 박진현, 조연출 곽다원, 연기감독(사투리) 정수진 김진옥, 사투리 보조 엄은화 김남일 강은주 최정숙 앤디 나카하라 후미코, 사진 김명집, 그래픽디자인 김우연, 기획 컬쳐루트,(이창훈 김보화) 프로덕션매니저 조진범, 홍보 김수영, 진행 김형균, 제작진행 안성환 홍성룡 그 외 스텝진의 열정과 노력이 드러나, 극단 M Factory의 한민규 작, 이지수 연출의 <혈우(血雨)>를 연출가와 출연자의 기량이 조화를 이룬 한편의 명작연극으로 탄생시켰다.
2월 18일

 

9, 천지컴퍼니의 루이지 피란델로 작 이종한 각색 연출의 작가 찾는 6인물

청운예술극장에서 천지컴퍼니의 루이지 피란델로(Luigi Pirandello) 작, 이종한 각색 연출의 <작가 찾는 6인물(Six Characters in Search of an Author)>을 관극했다.

루이지 피란델로(Luigi Pirandello) <1867∼1936>는 이탈리아의 극작가·소설가·단편작가로〈작가를 찾는 6인의 등장인물 (Sei personaggi in cerca d’autore)〉(1921)이라는 희곡에 극중극을 삽입해 실험극의 효시가 되었고, 한 편의 문제작이자 희곡표현의 선구자로 1934년에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루이지 피란델로(Luigi Pirandello)의 시집으로〈유쾌한 파멸 Mal giocondo〉(1889) 〈제아의 부활절 Pasqua di Gea>이 있고, 단편소설 〈사랑 없는 사랑 Amori senza amore〉(1894)· 〈삶과 죽음의 장난 Beffe della morte e della vita〉(1902∼03)과 초기 장편소설 〈추방자 L’esclusa〉(1901)· 〈차례 Il turno〉(1902) 〈고(故) 마티아 파스칼 Il fu Mattia Pascal〉(1904)있으나, 초기 작품에서는 실험적인 면이 보이지 않는 사실주의적인 소설을 썼다. 피란델로는 프랑스의 실험심리학자 알프레드 비네알프레드 비네(Alfred Binet, 1857~1911)의 저작 <성격의 변화 Les alterations de la personnalite〉(1892)를 읽고 감화되어, 심리학적 주제로 〈함정 La trappola〉(1915)· 〈내일, 월요일… E domani, lunedi〉(1917) 같은 단편집, 그리고 〈목소리 Una voce〉· 〈삶의 고통 Pena di vivere cosi〉 〈다른 눈으로 Con altri occhi〉같은 단편을 발표했고, 장편소설〈늙은이와 젊은이 (I vecchi e i giovani)〉(1913)· 〈하나, 없음, 그리고 10만 (Uno, nessuno e centomila)〉(1925∼26)에서도 알프레드 비네(Alfred Binet)의 영향을 감지할 수 있다.

피란델로는 1898년에 희곡 〈에필로그 L’epilogo>, 1910년에 에필로그의 제목을 바꾼〈족쇄 La morsa>, 1917년 〈네가 그렇게 생각한다면 네가 옳다 (Cos’ ie se vi pare)〉를 집필했고, 〈작가를 찾는 6명의 등장인물〉(1921)과 〈엔리코 4세 Enrico Ⅳ〉(1922)를 발표했다.

<작가를 찾는 6인의 등장인물(Six Characters in Search of an Author)>은 작가에게 거부당한 등장인물들이 한 연극연습장의 무대 위에 등장해 현재 연극연습을 하고 있는 배우들보다 열정적이고 격렬한 표현으로 연출가에게 인정을 받아 작품수정과 함께 실제로 연극에 참여하게 된다는 내용으로 1920년대 사실 극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던 당시에는 파격적인 구성과 표현으로 곧 이어 발표한 희곡<엔리코 4세 Enrico Ⅳ>와 함께 성공작이 되었다. 향후 피란델로의 희곡은 장 아누이 (Jean Anouilh, 1910~1987), 장 폴 사르트르(Jean-Paul Sartre, 1905~1980), 에우제네 이오네스코(Eugène Ionesco,1909~1994), 사뮈엘 베케트(Samuel Beckett, 1906~1989) 등의 작가에게 영향을 주었고 T. S. 엘리엇(Thomas Stearns Eliot,1888~1965)의 종교적 희곡에서도 피란델로의 영향이 나타나 있다.

이종한(李種漢, 1952~)은 중앙대학교 연극영화과 학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연극영화과 석사출신의 연출가다. 극단 가교, 극단 현대극장에서 연출작업을 하고 KBS와 SBS에서 방송극 연출로 “화신”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 “이차돈” “시냇물 흘러 흘러 어디로 가나” “탑리” “시인과 촌장” “왕룽일가” “검생이의 달” “당추동 사람들” “분례기” “관촌수필” “친애하는 기타여러분” “이수일과 심순애” “아리랑” “그들만의 산타” “그대 목소리”“아까딴유” “구하리의 전쟁” “왕룽의 대지” “빗물처럼” “화려한 시절” “그대는 이세상” “토지” “연개소문” “압록강은 흐른다” “아버지, 당신의 자리”와 영화 “압록강은 흐른다(CGV상영) 등을 연출하고, 2010년에는 독일 BR방송사 “압록강은 흐른다” 2012. 채널A 개국주말드라마 “곰배령” 등을 연출했다.

KBS 우수프로그램 작품상 “이차돈”,한국방송 프로듀서상 연출상 “왕룽일가” 한국방송기자선정 작품상 “왕룽일가”, 지역사회개발 상록회상 “당추동사람들”, SBS 평가연출상 “분례기”, 한국방송 프로듀서상 “구하리의 전쟁”, SBS 우수작품상 “아까딴유”

1996 챨스톤 국제페스티벌(World Fest Charleston, Gold Award) TV드라마부문 금상 “구하리의 전쟁(The Battle of Kuhari)” SBS 우수작품상 “화려한 시절” 2003. 휴스턴 국제페스티벌 TV드라마부문 금상(World Fest Houston, Gold Award) “그대는 이세상(You are My World)” 2003. 반프 텔레비젼페스티벌 비경쟁부문(Banff Television Festival, Hors Concours)“그대는 이세상(You are My World)” 2005. SBS 최우수작품상 “토지” 2005. 한국방송대상 올해의 프로듀서상 “토지” 2006. 백상예술대상 작품상 “토지” 등을 수상했다.

현재 중앙대학교, 서울예술대학교, 청운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극단 천지컴퍼니의 예술감독과 연출을 하고 있다.

천지컴퍼니의 <작가 찾는 6인물(Six Characters in Search of an Author)>은 작가의 원작을 한 단계 상승시킨 공연으로, 화가 방 고흐와 마티스, 르노아르, 그리고 뭉크의 그림의 일부분의 영상을 배경 막에 스크린을 설치해 극의 흐름에 맞춰 투사함으로써 극적효과와 실험성을 높였다.

연극은 도입에 극장으로 관객이 입장하면, 장치담당이 무대 위에 각목을 늘어놓고 힘주어 못을 박는 장면부터 시작이 되고, 남녀 등장인물들이 한명 두 명 입장하고 연출자가 도착하면, 여느 연습장처럼 연극연습이 시작된다. 한창 연습이 열기를 더할 때, 돌연 상복차림의 남녀 새 인물들이 들이닥치고, 그 중 어머니는 실제 어린아이 크기의 남녀 인형을 데리고 들어온다. 그네들은 작가를 찾는다며 도움을 청하지만 행동은 당당하기 그지없다. 연습 중이던 단원과 연출은 처음에는 거부반응을 일으키지만 차츰 그들의 설득에 공감대를 형성하게 되고, 종당에는 완전히 새로 등장한 인물들의 연극으로 바뀌게 된다는 내용이다. 대단원은 도입에서처럼 장치담당이 무대 위에 각목을 늘어놓고 힘을 주어 못을 박는 장면에서 연극은 마무리가 된다.

이태훈, 조원종, 이하나, 이영재, 이은혜, 박정현, 김선주, 이주환, 이지영, 유승민, 정한별, 허슬기, 이예은, 정선주, 윤상혁 등 출연진이 더블 캐스팅 되어 출연하거나, 1인 1역으로 출연해, 호연과 열연으로 기량을 발휘한다. 작중인물 성격창출에 심취해 실제로 눈물을 흘리며 연기하는 모습에 관객은 갈채를 보낸다.

예술감독 이 송, 드라마터그 이원기, 무대디자인 임창주, 조명디자인 박주원, 연기감독 강양은, 영상디자인 강지숙, 영상기술 김종욱, 무대감독 박지수, 무대제작 김지수, 홍보디자인 김보람, 소도구 윤상혁, 조연출 정선주 등 스텝진의 열정과 기량이 조화를 이루어, 천지컴퍼니의 루이지 피란델로(Luigi Pirandello) 원작, 이종한 각색 연출의 <작가 찾는 6인물(Six Characters in Search of an Author)>을 연출가의 출연자의 기량이 제대로 드러나는 한편의 표현주의 연극으로 창출시켰다.
2월 23일

 

10, 공연연구소 탐구생활과 극단 창세의 하인리히 뵐 작 김연수 번역 홍진호 각색 드라마투르크 신동일 연출의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

동숭아트센터 꼭두소극장에서 공연연구소 탐구생활과 극단 창세의 하인리히 뵐(Heinrich Böll) 작, 김연수 역, 홍진호 각색 드라마투르크, 신동일 연출의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Die verlorene Ehre der Katharina Blum)>를 관극했다.

하인리히 뵐(Heinrich Böll, 1917~1985)은 독일의 소설가. 노벨문학상 수상자이며, 소설 <열차는 정확했다 (Der Zug war pünktlich)> (1947), <여인과 군상 (Gruppenbild mit Dame)> (1971)’,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 (Die verlorene Ehre der Katharina Blum)> (1974)로 유명하다.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Und sagte kein einziges Wort) (1953)>, <9시 반의 당구 (Billard um halb zehn) (1959)> 등의 소설로 널리 알려진 그는 1972년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는 귄터그라스의 <양철북>과 아서 밀러의 희곡 <세일즈맨의 죽음>을 영화화한 감독인 폴커 슐렌도르프(Volker Schlöndorff, 1939~)에 의해 1975년에 영화화되어 큰 인기를 끌었다.

번역을 한 김연수는 이화여자대학교 독어독문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쾰른 대학교 독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이화여대 이화인문과학원의 인문한국사업단 탈경계인문학 연구단에서 HK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엘프리데 옐리네크의 『내쫓긴 아이들』, 하인리히 뵐의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 등이 있다.

신동일은 프랑스 국립 리옹2대학교와 프랑스 국립 파리8대학교 석사출신의 연출가다. 2016년 거창연극제 작품상과 연출상을 수상했다. 작품으로는 <변신> <미스 줄리> <가보톰파 마스터클래스> <라이겐>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 등을 연출한 발전적인 앞날이 기대되는 연출가다.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Die verlorene Ehre der Katharina Blum)>에서 하인리히 뵐(Heinrich Böll)이 다루는 주제는 공론장(public sphere)의 폭력이다.

내용은 성실하고 평판이 좋은 이혼녀 가정관리사인 카타리나 블룸이 한 남자와 하룻밤을 함께 보냈다는 이유만으로 살인범의 정부, 테러리스트의 공조자, 음탕한 공산주의자로 오해를 받게 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언론의 폭력에 의해 명예를 잃어버린 그녀는 자신을 궁지에 몰아넣은 일간지 기자를 살해한 다음 자수를 하게 된다.

연극에 등장하는 카타리나 블룸은 허구적 인물이다. 하지만 주인공과 유사한 실제 인물이 존재했다. 30년 전 베를린에서 은행 강도 사건이 일어났을 때, 일간지 <빌트>지가 아무런 확인 절차도 없이 좌파 그룹 바더 마인호프의 소행으로 단정하고 몰아간 사건과 바더 마인호프 일원들에게 숙식을 제공했다는 이유로 언론의 비난을 받고, 해직까지 되었다가 나중에 무혐의로 복지되었으나 상당한 명예 실추를 경험했던 하노버 공대 심리학 교수 페터 브뤼크너를 모델로 삼았다.

30여 년 전의 독일과 현재의 대한민국은 아주 비슷한 사회적 정치적 상황에 직면해 있다. 우리나라의 현실과 하인리히 뵐의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가 절묘한 대비를 이루는 연극이다.

무대는 2단과 3단 높이의 객석을 향한 반원형의 마루로 되었다. 카타리나 블룸의 거실, 블로르나 변호사의 거실, 경찰서, 그 외의 장소로 사용된다. 도입에 실내복차림의 카타리나 블룸이 거실에 비스듬히 앉아있는 장면에서 출발해 장총을 든 정복경찰들이 떼 지어 무대를 한 바퀴 돌아 등장을 하고, 범인 은닉죄로 카타리나 블룸을 연행해 간다. 그러나 경찰서에서 취조를 받는 카타리나 블룸의 모습이 천연스럽다. 그녀가 가서 가정부 일을 하던 블로르나 변호사 내외의 모습이 소개가 되고 변호사 내외의 온화하고 다정함이 경찰과 대비되어 연출된다, 변호사인 친구를 찾는 바람둥이 부호 기업가가 카타리나 블룸에게 치근거리는 모습과 익살, 그러나 눈길 한 번 주지 않는 카타리나 블룸의 차가운 모습, 경찰의 수사와 심문이 계속되면서 범죄자의 연인으로 또는 내연녀로 부풀려 방송과 언론매체가 기사를 내보내면서, 범죄자보다는 카타리나 블룸의 일상과 행적을 파헤치는 언론과 방송매체의 행태는 흡사 마녀사냥을 하는 듯한 보도로 점철된다. 대단원에서 변호사의 친구이자 부호인 인물의 별장에 숨은 범인이 체포되니, 카타리나 블룸은 사건을 부풀려 거짓 보도한 기자를 찾아가 권총 다섯 발을 쏘아 사살한다.

변민지가 카타리나 블룸으로 출연해 일생일대의 명연을 해 보인다. 한정현, 서병철, 정재은, 정해연, 황휘재, 이진한, 홍유진, 유재훈, 김채영 등 출연자 전원의 호연과 열연 그리고 성격창출은 관객의 갈채를 받는다.

분장 백지영, 조명 김상호, 의상 더블 스토리(이현주), 움직임 조하영, 무대감독 강원모, 무대 재미없는 고릴라, 그래픽 김 솔 전진아, 음향오퍼 김성찬, 조명오퍼 김주영, 기획 안 훈 김지은, 조연출 손수민, 등 스텝진의 노력과 기량이 드러나, 공연연구소 탐구생활과 극단 창세의 하인리히 뵐(Heinrich Böll) 작, 김연수 역, 홍진호 각색 드라마투르크, 신동일 연출의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Die verlorene Ehre der Katharina Blum)>를 연출가와 출연자의 기량과 열정이 조화를 이루어 기억에 길이 남을 한편의 걸작연극으로 만들어 냈다.

2월 25일 박정기(朴精機)

 

공상집단 뚱딴지 공연평

1, 에이티브 리더스 그룹 8의 베르나르 베르베르 원작 이세욱 역 문삼화 각색 연출의 인간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에서 크리에이티브 리더스 그룹 8의 베르나르 베르베르 원작, 이세욱 번역, 문삼화 각색 연출의 <인간>을 관극했다.

베르나르 베르베르(Bernard Werber, 1961~)는 프랑스 미디피레네주(州) 오트가론 데파르트망의 수도인 툴루즈에서 태어났다. 일곱 살 때부터 단편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독특한 소재에 기발한 상상력을 가미한 작품을 썼다. ‘별들의 전쟁’ 세대에 속하기도 하는 그는, 고등학교 때 만화와 시나리오에 탐닉하면서 만화 신문 ‘유포리 Euphorie’를 발행하였다. 이후 ‘올더스 헉슬리’와 ‘H. G. 웰즈’를 사숙하면서 소설과 과학을 익혔다. 1979년 툴루즈 제1대학교에 입학하여 법학을 전공하였다. 대학 졸업 후에는 ‘르 누벨 옵세르 바퇴르’에서 저널리스트로 활동하면서 과학 잡지에 개미에 관한 평론을 발표했다. 1991년 120여 회의 개작을 거친 《개미》를 발표하여 전 세계 독자들을 사로잡았다. 이는 출간 즉시 프랑스의 모든 매스컴에서 격찬을 받았으며 이 작품으로 ‘과학과 미래’의 그랑프리와 ‘팔리시’상을 받기도 하였다. 이때부터 베르베르는 전업 작가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그러나 사람들이 그를 개미 전문가로 간주하는 것에 화가 나서 그는 같은 소재를 가지고 전혀 다른 이야기를 만들려고 시도했고, 프랑스에서 1992년 《개미의 날》을 출판하였다. 그리고 1993년에는 자신의 작중 인물 에드몽 웰즈가 집필했다고 설정되어 있는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을 비소설 문학으로 출판하였다.

베르베르는 또한 세계의 모든 종교와 신화들에서 공통점을 발견하여 티베트와 이집트의 죽음에 관한 경전들을 연구하였고, 1994년에는 타나토노트라 불리는 새로운 모험가들이 천국을 탐험하는 이야기를 다룬 소설 《타나토노트》를 출간한다. 1995년에는 《개미》와 《개미의 날》의 후속작인 《개미 혁명》을 출간하여 ‘최소 폭력의 길’과 ‘인프라 월드’라는 개념을 창시했다.

2002년 《뇌》, 2005년 단편집 《나무》에 이어 2007년 《파피용》을 펴낸 그는 《개미》와 같은 미시적인 세계, 《천사들의 제국》과 같은 영적인 세계를 넘어 광대한 우주로 눈을 돌리고 있다. 2008년에는 앞서 집필했던 《나무》의 ‘어린 신들의 학교’에서 언급된, 베르나르 베르베르식 우주의 완성판이자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최대 히트작 《신》을 펴냈다. 이 책은 《타나토노트》, 《천사들의 제국》에 이은 후속작으로 영계 탐사 시리즈의 완결판이다. 뒤이어 단편 소설집 《나무》와 같은 형태의 단편 소설집 《파라다이스》를 펴냈고, 2009년에는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의 3번째 증보판과 미래를 볼 수 있는 소녀의 이야기 《카산드라의 거울》을 펴냈다. 2011년에는 한 코미디언의 죽음을 통해 웃음의 역사를 탐색하는 《웃음》을 썼고, 2013년에 《제3인류》라는 인류의 역사와 미래를 담은 책을 냈다.

베르베르의 작품들은 35개국어로 번역되었고 전 세계적으로 1천 5백만부가 팔렸다. 베르나르 베르베르는 마르크 레비(Marc Lévy)와 함께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읽힌 현대 프랑스 작가중에 한명이다.

문삼화는 2003년 연극 <사마귀>로 공식 데뷔하여 10년 넘게 연출가로 살아온 베테랑이며 공상집단 뚱딴지의 대표를 맡고 있다. 연출작품은 <잘자요 엄마> <뽕짝> <바람직한 청소년> <뮤지컬 균> <세자매> <일곱집매> <언니들>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너 때문에 산다> <쿠킹 위드 엘비스> <백중사 이야기> <Getting Out> <라이방> <사마귀> <밥> <블랙 버드> <대한국 사람> 등을 연출했다.

2003평론가협회선정 올해의 베스트3, 2004밀양 여름공연예술축제 제3회 젊은 연출가전 최우수작품, 2005 서울연극제 연기상, 신인연기상, 2006 거창 국제공연 예술제 남자연기상, 2008 서울문화재단 젊은 예술가 지원사업(Nart)선정, 2008대한민국연극대상여자연기상, 2009대한민국연극대상희곡상, 2013 서울연극제 우수작품상, 여자연기상, 2013한국연극BEST7, 2013제1회 이 데일리 문화대상 연극부문최우수상, 2013대한민국연극대상여자연기상, 2014제16회 김상열 연극상 등을 수상한 미모의 연출가다.

<인간>은 우주의 한 공간에 갇힌 한 쌍의 남녀의 이야기다. 인간이 다람쥐를 우리에 가둬놓고 먹이를 주고, 체 바퀴를 달아 운동을 하도록 하고 그걸 들여다보듯, 우주의 거대한 생물이 공룡의 눈처럼 생긴 눈으로 인간을 지켜보는 것이 영상으로 투사되어 나타난다. 인간의 우리에도 다람쥐 체바퀴 형태의 커다란 원통형의 운동틀을 만들어 놓았고, 표면이 거울처럼 생긴 정사각의 입체조형물을 여러 개 배치해 의자나 음료 그리고 음식물의 함으로 사용된다. 역시 표면이 거울로 된 계단 형태의 벽이 한쪽 바닥과 대각선 방향의 천정에 부착되어 있고, 인간의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엄청난 두께의 투명한 벽으로 사방이 차단되어 있는 것으로 설정된다. 인간우리의 바닥은 직사각으로 된 마루로 되었고, 그 가장자리는 형광색의 굵은 선으로 둘레를 장식했다. 남녀가 다툴 때에는 충격파를 보내 싸움을 그치도록 장치가 되고, 다정하게 다가갈 때면 음식 함에 음료와 먹을 것이 채워진다. 중반에는 원형의 침상이 마련되고, 계단식 벽면에 핵폭발의 영상이 투사되기도 한다.

연극은 핵폭발로 인간이 멸종이 된 후 한 우주공간에 한 쌍의 남녀가 외계의 생물체에게 잡혀와 갇혀있는 것에서 시작된다. 남자가 먼저 인간우리에 들어오고 여자는 조금 후에 들어온다. 남자는 과학자, 여자는 호랑이 조련사라는 설정이다. 의상도 남자는 백색 가운에 평범한 차림이고, 여자는 붉은 색의 곡예사 같은 복장이다. 남자는 평범한 거동을 보이지만, 여자는 몸이 유연하기가 체조선수나 요가를 하는 사람 같고

남녀 모두 인물이 미남 미녀다. 남녀가 각기 체 바퀴 형태의 원통에 들어가 운동을 하듯 돌기도 한다. 생면부지의 남녀가 만났으니 처음에는 냉랭하기가 얼음 같지만 차츰 그 얼음이 녹아가고 후에는 마음이 열리면서 따뜻한 물처럼 스며들지만, 멸종된 인간 이후에 이 한 쌍의 남녀가 마음과 몸을 밀착시켜 인간종족을 다시 번식시킬 것인가를, 마치 영미법계에서 배심판결을 하듯 남녀가 변호사와 검사 판사를 맡고 관객이 결정을 하는 것으로 연출된다. 대단원에 이르기까지 티격태격하던 남녀는 드디어 인간을 번식시키기 위한 일종의 사명감 뿐 아니라 진정 사랑하는 마음으로 원형의 침상에 누워 몸과 마음을 밀착시키는 장면에서 연극은 끝이 난다.

고명환, 오 용, 박광현, 전병옥 등이 각기 공연마다 남자로 출연하고, 안유진, 김나미, 스테파니가 여자로 출연해 독특한 성격설정과 연기로 관객을 극에 몰입시키고 갈채를 이끌어 낸다.

필자는 박광현과 스테파니가 한 쌍의 남녀로 출연할 때 관극을 했는데, 1시간 30분의 공연시간 내내 극에 심취해, 공상 과학이나 동화 같은 연극이지만 독특한 창의력과 철학적 사유가 첨가되고, 연기자의 연출가의 기량이 제대로 드러나, 흔쾌한 마음으로 관극을 할 수 있었다.

제작총괄 장준원 이봉규, 무대디자인 김혜지, 조명디자인 김재원, 의상디자인 이원영, 영상디자인 전휘상, 분장 김숙희, 무대감독 박아름 임규수, 조연출 노준영 그 외의 스텝 진의 기량과 열정이 제대로 드러나, 크리에이티브 리더스 그룹 8의 베르나르 베르베르 원작, 이세욱 번역, 문삼화 각색 연출의 <인간>을 연말연시에 남녀노소 누구나 관극을 해도 좋을 독특하고 새로운 개념의 우수걸작연극으로 탄생시켰다.

2월 1일

2, 공상집단 뚱딴지의 신채경 작 문삼화 연출의 소나기 마차

동숭아트센터 동숭홀에서 공상집단 뚱딴지의 신채경 작, 문삼화 연출의 <소나기 마차>를 관극했다.

신채경은 2014 안산문화재단 청소년 뮤지컬 <윈터 호러 하우스>, CJ 크리에이티브 마인즈 <핑키와 그랑죠>, 창작산실 대본공모 우수작 <소나기마차>로 창아기발(創雅奇拔)한 극작으로 발전적인 앞날이 예측되는 신예 여류작가다.

문삼화는 2003년 연극 <사마귀>로 공식 데뷔하여 10년 넘게 연출가로 살아온 베테랑이며 공상집단 뚱딴지의 대표를 맡고 있다. 연출작품은 <대한민국 사람> 인간> <블랙버드> <핑키와 그랑조> <잘자요 엄마> <뽕짝> <바람직한 청소년> <뮤지컬 균> <세자매> <일곱집매> <언니들>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너 때문에 산다> <쿠킹 위드 엘비스> <백중사 이야기> <Getting Out> <라이방> <사마귀>를 연출했다.

2003평론가협회선정 올해의 베스트3, 2004밀양 여름공연예술축제 제3회 젊은 연출가전 최우수작품, 2005 서울연극제 연기상, 신인연기상, 2006 거창 국제공연 예술제 남자연기상, 2008 서울문화재단 젊은 예술가 지원사업(Nart)선정, 2008대한민국연극대상여자연기상, 2009대한민국연극대상희곡상, 2013 서울연극제 우수작품상, 여자연기상, 2013한국연극BEST7, 2013제1회 이 데일리 문화대상 연극부문최우수상, 2013대한민국연극대상여자연기상, 2014제16회 김상열 연극상 등을 수상한 미녀 연출가다.

무대는 정면 배경 가까이 가교 형태의 다리가 가로 놓였다. 그 앞으로 휘장을 드리운 객실처럼 생긴 마차의 뒤 칸이 역시 가로 놓이고, 그 앞쪽으로 여섯 개의 자전거가 두 대는 앞쪽, 네 대는 뒤쪽으로 객석을 향해 세로로 놓여있다. 마차의 칸 오른쪽 위에는 작은 기(旗)가 돌출되어 있고, 자전거 왼쪽에도 커다란 기를 꽂아 놓았다. 굵은 선으로 된 부락의 지붕 모양에 백열등을 여러 개 단 조형물이 청정으로부터 내려와 장면변화마다 무대 상수 쪽으로 이동을 시키고, 마차 칸에는 자주색 여러 개의 긴 끈으로 된 휘장을 내려 공연무대나 평소 공연단원들의 거주공간이 된다.

내용은 소나기를 앞지르거나 소나기가 쏟아질 때, 또는 소나기가 온 뒤에 여러 대의 자전거로 마차를 이동시키며 공연하는 단원들의 삶과 공연하는 모습이다. 유랑극단이기에 관객을 찾아다니며 공연을 하니, 소나기 또는 폭우, 또는 비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 비포장도로를 우천에 달리자면 진창길과 진흙길도 마다 않게 된다. 자주 끼니를 거르며 다음 공연할 마을을 찾게 되고, 허기진 모습에 기진맥진해 아무데나 널 부러지는 모습이 연출되고, 혹시 남은 물이나 음식조각이 없나 찾기도 한다.

중요한 것은 연극성, 문학성보다 대중성이 우선이기에 관객이 좋아하고 즐기며 감동을 받는 공연이어야 하는데, 요즘 대부분의 공연물처럼 관객보다는 자신들만의 이해와 공감대만으로 공연이 형성되듯, 이 유랑극단에서도 관객의 기호나 선호 그리고 내용보다는 늘 상 해오던 대로 자신들이 졸속 제작한 작품을 순회하며 공연하기에 관객의 환호보다는 냉대로 이어진다.

단원들 간의 갈등과 단장의 고뇌가 장면마다 표출이 되고, 단장 부인과 젊은 단원과의 통정, 독안(獨眼)의 남성배우 겸 작가와 젊은 여배우의 몸을 밀착시키는 장면이 연출되고, 폭우 속에서 공연이 중단되어 차기 공연부락으로 이동을 하면서 유랑극단원의 고난의 삶이 여정과 함께 펼쳐지기도 한다.

가끔 공연장을 메운 관객으로 해서 단원들은 음주와 포식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스스로의 고난의 여정과 단원들 간의 사소한 갈등이 축적되면서, 연출가인 단장과 독안(獨眼)배우 겸 작가와의 갈등을 비롯한 남자단원간의 갈등을 극복하기는커녕 오히려 치달아 결국에는 서로를 찌르고 또 찔리며 죽음을 맞는다.

대단원에서 단장 부인과 여배우만 살아남아 소나기 마차를 끌고 사라져 가는 장면에서 공연은 끝이 난다.

오민석이 단장, 김지원이 부인, 구도균과 문병주가 남자단원, 나하연이 젊은 여배우, 김영택이 독안(獨眼)배우로 출연해 독특한 성격설정과 호연으로 관객의 갈채를 받는다.

무대 김혜지, 조명 박성희, 음악 류승현, 안무 최병로, 의상 더블스토리, 분장 이동민 배은경, 조연출 무대감독 정 철, 기획 김혜연 나희경, 사진 그래픽 김 솔 김진아 그 외 스텝 진의 열정이 드러나, 공상집단 뚱딴지의 신채경 작, 문삼화 연출의 <소나기 마차>를 창아기발(創雅奇拔)한 독특한 공연으로 창출시켰다.
2월 21일 박정기(朴精機)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