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으로 듣는 연극(4)/ 임야비

음악으로 듣는 연극(3)

– 임야비

뮤즈를 울린 극작가

셰익스피어 (4)

5. 심벨린

Jupiter: Whom best I love, I cross, to make my gift,

The more delayed, delighted. Be Content.

 

주피터: 내가 가장 사랑하는 자를, 내가 방해하는 것은, 나의 선물을,

더 늦게 주어, 더 많은 기쁨을 주려 함이다. 투덜대지 말라.

 

– Cymbeline; Act 5 Scene 5

심벨린은 어떤 문헌에서는 비극으로 또 다른 문헌에서는 희극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후에는 페리클레스, 템페스트, 겨울이야기와 묶어 낭만극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약간은 억지스럽지만 사극에 슬쩍 편입되기도 한다. 하지만 ‘음악으로 듣는 연극- 셰익스피어 편’의 연재를 시작하면서 명시한대로 ‘퍼스트 폴리오’ 분류에 입각하여 심벨린을 비극의 범주에 넣고 글을 시작하고자 한다.

위에 인용한 주피터의 대사처럼 심벨린은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유명한 작품들로부터 순서대로 읽어가며 전집을 독파하려는 독자에게 있어서 ‘늦게 받아서 더 기쁜 선물’이 아닐 수 없다. 다소 어거지가 있는 이야기의 구성과 전개는 – 이 작품에 혹독한 비평과 함께 개작을 감행한 버나드 쇼만을 제외한다면 – 대부분의 독자와 관객들은 ‘뭐 그 시대에는 그럴 수도 있겠지…’ 하며 넘어 갈 수 있는 흥미로운 플롯이다. 인물설정 또한 개성이 넘치며, 곳곳에서 터져 나오는 셰익스피어 특유의 명대사들은 절로 감탄을 자아낸다. 특히 2막 3장에서 이너젠의 침실에서 악사들이 부르는 ‘아침의 노래’와 4막 2장에서 귀더리어스와 아비레이거스가 이너젠의 장례를 치르며 부르는 ‘만가’는 너무나 아름다운 운문으로 후대의 문학가 (버지니아 울프의 소설 ‘댈러웨이 부인’과 T. S. 엘리엇의 시 ‘요크셔 테리어에게’에서 그대로 인용된다.)와 작곡가 (슈베르트, 쳄린스키 등)에게 예술적 영감의 원천이 되었다.

Hark, hark! the lark at heaven gate sings, / And Phoebus gins arise, / His steeds to water at those springs

On chaliced flowers that lies, / And winking Mary-buds begin to ope their golden eyes;

With everything that pretty is, my lady sweet, arise, / Arise, arise!

Horch, horch, die Lerch’ im Ätherblau, / Und Phöbus, neu erweckt, / Tränkt seine Rosse mit dem Tau, / Der Blumenkelche deckt.

Der Ringelblume Knospe schleusst / Die goldnen Äuglein auf; / Mit allem, was da reizend ist, / Du süsse Maid, steh auf!

들으라, 들으라, 종다리 하늘 대문에서 노래해, / 포이보스도 일어나려 해, / 그의 말들 물 마시려 해 /

잔처럼 생긴 꽃 속에 고인 샘물을, / 눈 감은 금잔화 꽃봉오리도 뜨려고 해, / 그 황금빛 눈을,

어여쁜 온갖 것들이 깨어나니, 상냥한 애 여인, 일어나요, / 일어나요, 일어나!

– Cymbeline; Act 2 Scene 3

(독일어 번역: August Wilhelm Schlegel)

슈베르트가 1826년에 작곡한 Ständchen(세레나데) ‘Horch, horch! die Lerch” D.889는 슐레겔의 독일어 번역본을 가사로 해서 만들어진 밝고 상쾌한 가곡이다. 슈베르트는 친구들과의 식사 모임에서 이 책을 우연히 읽고 큰 영감을 받아서 순식간에 곡을 썼다고 전해진다. 고귀한 공주님의 기상을 조심스레 재촉하는 세레나데 풍의 연가로 고음의 소프라노가 내는 새소리와 같은 청아함이 극의 분위기와 절묘하게 맞아 떨어진다.

셰익스피어의 열광적인 팬이었던 이탈리아의 작곡가 마리오 카스텔누오보-테데스코 (Mario Castelnuovo-Tedesco (1895-1968))는 수 많은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음악화했다. 셰익스피어의 작품 중 11개를 제목만 이태리어로 바꾸어 관현악곡으로 작곡했으며, 작곡가 자신이 생각하기에 명대사라고 판단되는 부분만을 추려서 연가곡집을 만들기도 하였다. 거의 대부분의 작곡가들이 셰익스피어의 유명한 몇몇 작품에만 집중했다. 하지만 카스텔누오보-테데스코는 셰익스피어의 비교적 덜 유명한 작품까지 모두 포함하여 음악화를 했다는 점이 이 작곡가의 가장 큰 특징이자, 작곡가의 유별난 셰익스피어 사랑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카스텔누오보-테데스코는 심벨린의 가장 유명한 노래부분을 가곡화 했는데 하나는 ‘Arise’로 슈베르트와 같은 ‘아침의 노래’이고 다른 하나는 ‘Come to Dust’로 4막 2장의 ‘만가’이다.

먼저 ‘Arise’는 슈베르트의 곡보다 훨씬 더 감미롭고 유연하다. 아마도 독일어가 아닌 영어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일 것이다. 청명한 소프라노는 말로서 ‘일어나라’라고 노래하지만, 부드러운 피아노 반주의 아르페지오는 아직도 꿈결을 연주한다. 인성과 피아노의 묘한 대비가 막 잠에서 깨어나는 순간의 몽롱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Come to Dust’는 셰익스피어가 글로 만들어낸 ‘아름다운 애도’의 분위기를 음악적으로 아주 잘 구현한 곡이다. 원작에서는 청년 둘이 번갈아 부르는 것이지만, 음악에서는 소프라노 한 명이 부른다. 소프라노는 애통과 명복의 경계를 미끄러지듯이 노래하며, 장송 행진곡풍의 피아노 반주는 덤덤하게 4분간의 장례식을 이끌어 나간다. 음악과 글을 번갈아 음미해 보자.

Fear no more the heat o’ the sun,/ Nor the furious winter’s rages;
Thou thy worldly task hast done, / Home art gone, and ta’en thy wages:
Golden lads and girls all must, / As chimney-sweepers, come to dust.

Fear no more the frown o’ the great; / Thou art past the tyrant’s stroke;
Care no more to clothe and eat; / To thee the reed is as the oak:
The sceptre, learning, physic, must / All follow this, and come to dust.

Fear no more the lightning flash, / Nor the all-dreaded thunder-stone;

Fear not slander, censure rash; / Thou hast finish’d joy and moan:

All lovers young, all lovers must / Consign to thee, and come to dust.

No exorciser harm thee! / Nor no witchcraft charm thee!

Ghost unlaid forbear thee! / Nothing ill come near thee!

Quiet consummation have; / And renowned be thy grave!

이제 걱정 마라 따가운 햇살도, 길길이 뛰는 겨울의 분노도.

너는 이 지상의 일을 다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 상을 받았네.

황금의 청년도 소녀들도 모두 굴뚝청소부와 같이, 먼지로 돌아가네.

이제 걱정 마라, 찌푸린 왕의 얼굴 너는 폭군의 손아귀를 벗어났으니.

이제 염려 마라, 입을 것과 마실 것, 너에겐 갈대와 떡갈나무 매한가지니.

왕홀도, 학문도, 의학 지식도 모두 이 길을 따라 먼지가 되나니.

이제 걱정 마라 번쩍이는 번갯불도. 누구나 무서운 벼락도.

걱정 마라 중상모략도, 성급한 비난도. 기쁨과 신음 모두 끝났으니.

온갖 젊은 연인들, 온갖 연인들 모두 너를 따라 먼지가 되리니.

어떤 심령술사고 너의 영 불러내지 않고. 어떤 마법도 널 홀리지 않지.

떠도는 유령들 너를 삼가지. 나쁜 것은 일체 네 곁에 오지 못하지.

적멸을 맞으라, 그리고 너의 무덤 명성 있으라.

– Cymbeline; Act 4 Scene 2

알렉산더 폰 쳄린스키 (Alexander von Zemlinsky (1871-1942))는 구스타프 말러와 아르놀트 쇤베르크 사이의 교량적 역할을 한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겸 지휘자이다. 후기 낭만주의와 현대음악의 두 거성의 그늘에 가려져 있기 때문에 쳄린스키의 작품은 지금까지도 큰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필자 역시 이 작곡가의 작품에 대해 몇 가지 단편들만 알고 있었을 뿐이었다. 그러다가 이번 글을 준비하면서 쳄린스키가 심벨린의 극부수음악(Incidental Music)을 작곡했었다는 사실을 우연히 알게 되었다. 워낙 안 알려진 곡이라 어렵게 음반을 구해서 들어 보았는데, 주피터의 대사처럼 음악은 ‘늦게 받아서 더 기쁜 선물’이었다.

전설적인 공연 기획자이자 연출가 막스 라인하르트가 위촉하여 작곡된 이 곡은 1914년에 완성되었다. 라인하르트의 연출 구상은 쟁쟁한 연극배우들의 캐스팅, 스펙터클한 전쟁장면, 엄청난 규모의 무대, 군무 발레까지 포함된 ‘블록버스터’급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음악 또한 3관 편성의 오케스트라와 혼성 합창단 그리고 무대 밖 오케스트라까지 동원되는 어마어마한 규모의 대곡을 의뢰하였다. 그러나 곧바로 터진 2차 세계 대전 때문에 이 곡은 빛을 보지 못하게 되었다. 원작이 독일의 최대 적대국인 영국의 작가 셰익스피어의 작품이고, 주인공인 포스튜머스가 영국을 구하는 영웅이었기 때문이었다. 이후 100년간 잊혀졌던 이 작품은 쳄린스키의 미망인의 허락을 받아 음반으로 제작되어 다시 세상의 빛을 보게 되었다. (CHANDOS 레이블에서 발매된 아래 음반은 전곡 연주로는 세계 최초의 녹음이다.)

Prelude, 1막의 introduction, 1막의 closing, 2막의 ‘아침의 노래’, 3막의 opening, 4막의 introduction, 4막의 Solemn Music, 4막의 ‘만가’, 4막의 closing, 5막의 introduction, 5막 4장의 Melodrama 총 11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음악만 들어도 원작의 장면들이 떠오를 만큼 서사성이 강한 무대음악이다. 원작을 몰라도 오케스트라가 뿜어내는 강력한 사운드 그 자체만으로도 충분한 가치를 지니는 음악으로, 쳄린스키의 뛰어난 관현악법과 극적 효과를 노린 무대음악적 기능성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11곡 모두 훌륭하다. 특히 공연의 시작을 알리는 Prelude, 다양한 악기로 아침의 정서를 더욱 풍부하게 표현한 ‘아침의 노래’, 저음 현과 금관의 무게감과 두 명의 배우가 나지막이 읊조리는 대사가 일품인 4막의 ‘만가’, 큰 전투를 예고하는 5막의 introduction, 위기의 주인공 포스튜머스에게 힘을 돋아주기 위해 등장하는 유령과 주피터의 장면(5막의 Melodrama)은 무대효과를 염두한 쳄린스키의 기지가 엿보이는 곡이다. 원작을 읽으며 이 음악들을 들어보기를 강력하게 권유한다. 음악과 텍스트의 시너지 효과를 제대로 만끽함은 물론 텍스트의 가독성과 음악의 이해를 두 배 이상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심벨린을 무대화하려는 공연기획자나 연출가에게도 이 곡의 일청을 자신 있게 권해본다.

6. 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

Come thou monarch of the vine, / Plumpy Bacchus, with pink eyne!

In thy fats our cares be drown’d, / With thy grapes out hairs be crown’d:

Cup us till the world go round, / Cup us till the world go round!

Bacchus, feister Fürst des Weins, / Komm mit Augen hellen Scheins,

Uns’re Sorg’ ersäuf’ dein Fass, / Und dein Laub uns krönen lass.

Füll’ uns, bis die Welt sich dreht!

오라 포도주의 지배자여, / 분홍 눈을 가진 살찐 바커스여!

당신의 풍요로움으로 우리의 걱정은 잊혀질 것이고, / 당신의 포도로 우리는 왕관을 쓰게 될 것이다

세상이 돌 때까지 부어라, / 세상이 돌 때까지 부어라!

Antony and Cleopatra; Act 2 Scene 7

(독일어 번역: Ferdinand von Mayerhofer)

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로부터 영감을 얻어 작곡된 음악은 슈베르트의 가곡과 카스텔누오보-테데스코의 관현악 서곡 그리고 미국의 작곡가 사무엘 바버의 오페라가 있다.

슈베르트의 Trinklied(권주가) D.888은 셰익스피어 원작의 2막 7장에서 가사를 따온 짧은 가곡으로 위의 심벨린에서 소개한 Ständchen(세레나데)와 같이 1826년에 작곡되었다. 모두 손을 잡고 거나하게 마셔보자는 도미티우스의 호기와 취기가 느껴지는 흥미로운 곡이다.

카스텔누오보-테데스코의 관현악 서곡 ‘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는 이집트 풍의 배경선율과 두 주인공의 운명적인 사랑을 묘사한 달달한 멜로디가 듣는 재미를 더해주는 매력적인 곡이다.

사무엘 바버의 오페라 ’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는 연출가였던 프랑코 제페렐리의 기획력 부족으로 세상에 나오자마자 바로 사장된 오페라이다. 연주는 커녕 음반조차 없는 이 불쌍한 작품은 오페라 3막에 나오는 안토니의 죽음과 클레오파트라의 죽음 장면의 합창음악만이 간혹 녹음 될 뿐이다.

7. 코리올라누스, 쥴리어스 시저, 트로일러스와 크레시다, 아테네의 타이먼

베토벤의 ‘코리올란’ 서곡, 헨델의 오페라 ‘줄리오 체자레’, 월튼의 오페라 ‘트로일러스와 크레시다’는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모티브 또는 대본으로 쓰여진 음악 같지만 실상 셰익스피어와는 전혀 무관한 음악들이다.

베토벤의 비장미 넘치는 ‘코리올란’ Op.62은 오스트리아의 시인 하인리히 요제프 폰 콜린이 1804년에 발표한 동명의 희곡에서 영감을 받아 1807년에 작곡된 연주회용 서곡이다. 비록 원작이 다르기는 하나 셰익스피어, 베토벤, 콜린의 근원은 모두 플루타크 영웅전에 등장하는 비운의 영웅 코리올라누스라는 공통 분모를 가지고 있는 것임은 분명한 사실이다. 이 점을 감안하고 곡을 감상한다면 운명의 무게를 버티지 못하고 결국 굴복해 버리고 마는 코리올라누스의 비극을 대뇌와 귀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헨델의 대표적인 오페라 ‘줄리오 체자레’는 ‘줄리어스 시저’의 이탈리아어식 발음이다. (헨델의 작품은 당시 오페라가 모두 이탈리아어로 쓰여졌기 때문에 ‘줄리오 체자레’가 정식 명칭으로 사용된다.) 줄리오 체자레의 대본은 1720년경에 니콜라 프란체스코 아임이 플루타크 영웅전을 모체로 이탈리아어로 쓴 것이다. 하지만 헨델이 영국에서 오랫동안 활동한 점, 시대적 연관성, 그리고 연극과 음악의 합일체인 오페라라는 점 때문에 헨델의 작품의 대본이 막연히 셰익스피어일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헨델의 오페라와 셰익스피어의 비극은 전혀 상관이 없을 뿐 더러 아예 등장인물과 내용 조차 다르다.

마찬가지로 월튼의 오페라 ‘트로일러스와 크레시다’ 역시 영국의 작가 크리스토퍼 하살이 제프리 초서의 장시 ‘Troilus and Criseyde’를 바탕으로 오페라 대본화 한 것이다.

위의 작품들처럼 살짝 빗나간 사실이 조금 아쉽다면, ‘오선지 위의 셰익스피어’인 카스텔누오보-테데스코를 찾아 들으면 된다. 그는 셰익스피어의 원작을 바탕으로 1934년에 ‘Giulio Cesare’ Op.78을 1947년에 ‘The Tragedy of Coriolanus’ Op.135를 관현악 서곡 형식으로 작곡했으며, 가곡 ‘Apemantus’s Grace’는 아테네의 타이먼의 1막 2장의 대사를 그대로 음악화 한 것이다.

8. 타이터스 안드로니커스

필자가 찾아본 바로는 타이터스 안드로니커스를 모티브로 만들어진 음악은 존재하지 않는다. 셰익스피어의 초기작이지만 시대를 초월하는 이 걸출한 잔혹극을 알반 베르크의 오페라 보체크(Wozzeck, 뷔히너의 ‘Woyzeck’가 대본)나 룰루(Lulu, 베데킨트의 ‘지령(地靈)’과 ‘판도라의 상자’를 대본으로 사용)처럼 그로테스크한 무조(無調)의 현대음악으로 만들면 어떨까라는 재미있는 상상을 해본다.

 

* 이번 편으로 4회에 걸친 셰익스피어의 비극을 마무리 짓고, 다음 편부터는 ‘뮤즈를 울린 극작가 – 셰익스피어’ 제 5편 ‘사극(History)’이 연재될 예정입니다.

* 원문은 Stanley Wells, Gary Taylor의 ‘William Shakespeare The Complete Works Second Edition’ (Oxford), 번역본은 김정환 번역의 ‘셰익스피어 전집’(아침이슬)과 신정옥 번역의 ‘셰익스피어 전집’(전예원)을 참조 인용하였습니다.

임야비(tristan-1@daum.net)
– 자유기고가, 서울 신포니에타 기획 및 연출
– 극단 듀공아 / 극단 동맹 연출부 드라마투르기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